전자회로실험2 복합구조 - BJT와 JFET 다중증폭단
본 내용은
"
전자회로실험2_15장 복합구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30
문서 내 토픽
-
1. BJT와 JFET의 기본동작원리BJT는 전류로 전류를 제어하는 쌍극성 소자로 자유전자와 정공이 모두 전도에 참여하며, NPN과 PNP 구조가 있다. JFET는 전압(전계)으로 전류를 제어하는 단극성 소자로 N채널과 P채널이 있다. BJT는 Base/Emitter/Collector 단자를 가지고 JFET는 Gate/Source/Drain 단자를 가진다. 두 소자 모두 빠른 스피드, 큰 전류용량, 높은 입력임피던스, 낮은 온도민감도의 장점을 가진다.
-
2. 교류결합 다중증폭단 시스템높은 주파수 신호 증폭에 사용되며, 증폭단 간에 커패시터를 연결하여 교류 성분은 통과시키고 직류 성분은 차단한다. 이를 통해 각 증폭단의 직류 해석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복잡한 회로도 비교적 쉽게 해석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커패시터가 직류조건에서 개방회로로 작동하여 두 증폭단이 직류적으로 분리됨을 확인했다.
-
3. 직류결합 다중증폭단 시스템DC 성분 또는 매우 낮은 주파수 신호 증폭에 사용되며, 한 증폭단의 Collector를 다음 단의 Base에 직접 연결한다. 한 증폭단의 직류 전압과 전류 변화가 다른 증폭단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실험에서 VCE1과 VBE2의 측정값이 같음을 확인하여 직류 레벨이 직접 연결됨을 입증했다.
-
4. BJT-JFET 복합구조 해석BJT와 JFET를 직류결합으로 연결한 복합 구조에서 두 트랜지스터의 직류 레벨이 직접 연결된다. BJT의 β값과 JFET의 IDSS, VP값을 이용하여 각 노드의 직류 전압을 계산한다. Shockley 방정식을 적용하여 JFET의 동작점을 결정하고, 실험 결과 계산값과 측정값의 오차가 10% 미만으로 이론과 실제가 잘 일치함을 확인했다.
-
1. BJT와 JFET의 기본동작원리BJT와 JFET은 반도체 증폭소자로서 각각 고유한 동작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BJT는 전류제어 소자로서 베이스 전류의 변화가 컬렉터 전류를 제어하며, 높은 전류이득과 낮은 입력임피던스를 특징으로 합니다. 반면 JFET는 전압제어 소자로서 게이트-소스 전압이 드레인 전류를 제어하고, 매우 높은 입력임피던스를 제공합니다. 두 소자 모두 능동영역에서 선형 증폭이 가능하며, 포화영역과 차단영역에서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합니다. BJT는 빠른 응답속도와 높은 전류처리능력으로 전력증폭에 유리하고, JFET는 낮은 잡음과 높은 입력임피던스로 신호증폭에 유리합니다. 이러한 특성의 이해는 회로설계에서 적절한 소자선택의 기초가 됩니다.
-
2. 교류결합 다중증폭단 시스템교류결합 다중증폭단 시스템은 각 증폭단 사이에 커패시터를 삽입하여 직류성분을 차단하고 교류신호만 전달하는 구조입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각 단의 직류 바이어스 포인트를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회로설계의 유연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또한 각 단의 직류 동작점이 다음 단에 영향을 주지 않아 안정성이 우수합니다. 그러나 저주파 신호에서 커패시터의 임피던스가 증가하여 신호감쇠가 발생하고, 주파수 응답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매우 낮은 주파수 신호를 증폭해야 하는 경우 커패시터 용량이 매우 커져야 하므로 실용성이 떨어집니다. 일반적인 음성 및 음향신호 처리에는 적합하지만, 초저주파 신호처리에는 직류결합이 더 적합합니다.
-
3. 직류결합 다중증폭단 시스템직류결합 다중증폭단 시스템은 증폭단 사이에 커패시터 없이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 직류성분을 포함한 모든 신호가 전달됩니다. 이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매우 낮은 주파수부터 직류까지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는 점이며, 주파수 응답이 우수합니다. 또한 커패시터가 필요 없어 회로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그러나 각 단의 직류 바이어스 포인트가 서로 영향을 주어 회로설계가 복잡하고, 직류 드리프트 문제로 인해 안정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특히 다단 구성에서 직류 오프셋이 누적되어 출력신호의 직류 성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교한 바이어스 설계와 온도보상이 필요하며, 주로 저주파 및 직류신호 처리가 필요한 의료기기나 계측기에 사용됩니다.
-
4. BJT-JFET 복합구조 해석BJT와 JFET을 결합한 복합구조는 각 소자의 장점을 활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설계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JFET 입력단과 BJT 출력단을 조합하면 높은 입력임피던스와 높은 출력전류를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카스코드 증폭기나 다양한 집적회로 설계에 활용됩니다. 복합구조의 해석에서는 각 소자의 동작영역을 정확히 파악하고, 상호작용을 고려한 전체 회로 특성을 분석해야 합니다. 입력임피던스, 출력임피던스, 전압이득, 주파수응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해야 하며, 각 단의 바이어스 조건이 다음 단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히 검토해야 합니다. 이러한 복합구조는 현대 아날로그 회로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기법이며, 고성능 증폭기 설계의 핵심입니다.
-
전자회로실험 15장 복합구조 예비레포트 9페이지
실험 제목: 복합구조조: 이름: 학번:실험에 관련된 이론전형적인 전자 증폭기 시스템은 함께 연결된 여러 개의 트랜지스터 단으로 이루어진다. 증폭의 목적에 다라 각 증폭단 간의 연결방법이 결정된다. 0Hz보다 매우 높은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증폭할 경우 가장 자주 쓰이는 결합 방법은 교류 결합이다. 이 방법에서는 한 증폭단의 컬렉터와 다음 증폭단의 베이스 사이에 커패시터를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컬렉터 출력 전압의 교류성분은 다음 증폭단의 베이스에 연결되지만 컬렉터 전압의 직류 성분은 커패시터에 의해 베이스로부터 차단된다. 실제로...2021.01.11· 9페이지 -
15장 복합구조 4페이지
실험 제목: 복합구조실험에 관련된 이론전형적인 전자 증폭기 시스템은 함께 연결된 여러 개의 트랜지스터 단으로 이루어지는데 증폭의 목적에 따라 각 증폭단 간의 연결방법이 결정된다.(1) 교류 결합 시스템목적 : 0Hz보다 매우 높은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증폭할 경우에 사용.방법: 한 증폭단의 컬렉터와 다음 증폭단의 베이스 사이에 커패시터를 연결.특징: 커패시터로 인해서 직류 성분은 차단되고 교류 성분만 다음 증폭단의 베이스로 연결 된다. 직류 해석은 각 증폭단에 대해 따로따로 적용할수 있으므로 쉽게 해석할 수있다.(2) 직류 결합...2018.01.11· 4페이지 -
전자회로실험 3학년 15. 복합구조 결과 레포트 3페이지
결과보고서 전자회로설계및실험2 실험일: 2013년 월 일실험 제목: 15. 복합 구조조: 이름: 학번:요약문이번 실험에서는 BJT와 JFET을 이용한 복합구조 회로를 구성하고 커패시터가 회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예상대로 커패시터를 두 단 사이에 삽입하는 경우 두 단을 차단하여 서로 영향을 끼치지 않는 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실험내용2.전압 분배기 바이어스를 가지는 커패시터 결합 다중 증폭단 시스템두단 사이에 있는 커페시터가 두 단 사이의 직류 전류를 차단하여 이렇게 회로를 구성하여 동작 시켜도 두 단 간에는 ...2014.11.26· 3페이지 -
복합구조 결과레포트 5페이지
실험 제목: 제 15장 복합구조조: 10 이름: 이윤철 학번:2010709295요약문이번 실험은 전압 분배기 바이어스를 가지는 커패시터 결합 다중 증폭단 시스템과 직류 결합 다중 증폭단 시스템에 대한 실험을 하였습니다. 첫 번째로 한 실험은 저희가 실험에 사용하는 BJT의 β값을 구하는 실험이었습니다. β값을 직접 구할 수 없기 때문에 V be와 Vrc를 측정한 후 이 측정값을 이용해 Ib와 Ic를 계산해서 β를 구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β의 값이 231과 241이 나왔습니다. 두 번째로 한 실험은 전압 분배기 바이어스를 가지...2015.05.25· 5페이지 -
전자회로실험 3학년 15. 복합구조 예비레포트 3페이지
예비보고서 전자회로설계및실험2 실험일: 년 월 일실험 제목: 15. 복합 구조조: 이름: 학번:실험에 관련된 이론-Bipolar Junction Transistor의 줄임말로써, 두개의 pn접합으로 이루어진 트랜지스터라는 의미를 갖고있다. NPN과 PNP 두가지 형태가 있으며 ,가운데 단자를 Base, 양 끝은 Emitter, Collector라 한다.-BJT 증폭①Emitter-Base의 pn접합면에, Emitter보다 Base쪽에 더 높은 전압을 가하게 되면 Forward Bias가 걸리게 된다.②순방향 바이어스로 인해, Bas...2014.11.26· 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