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TR 반응기 실험 보고서
본 내용은
"
화공실험 레포트 CSTR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30
문서 내 토픽
-
1. CSTR (연속교반탱크반응기)직렬로 연결된 3개의 교반 탱크에서 농도가 서로 다른 용액을 주입하여 주입방법, 유속, 교반 조작의 변화에 따른 각 탱크의 응답을 측정하는 장치. 계단변화, 충격변화, 유속변화, 교반 조작 변화 등 다양한 조건에서 탱크의 농도 변화 응답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화학공학 실험 장치.
-
2. 계단변화 입력 응답 (Step Input Change)3개의 직렬 연결 탱크에 계단변화 주입 시 1차계 응답으로 S자 형태의 지수곡선을 보임. 계단변화 주입 이후 전달지연으로 인해 천천히 늘어지는 응답을 나타내지만 최종적으로는 초기 입력농도 값에 도달. Tank 1에서 3번 순으로 높은 전도도를 보이며 시간 경과에 따라 농도 변화가 순차적으로 나타남.
-
3. 펄스변화 입력 응답 (Impulse Input Change)3개의 직렬 연결 탱크에 펄스 입력 시 Tank 1의 응답은 펄스 입력 지속 중 지수상승곡선, 펄스 입력 종료 후 지수감소곡선을 나타냄. 다른 탱크에서도 전달지연으로 인해 응답이 늦어지지만 결국 Tank 1과 유사한 응답 패턴을 보임. 증류수 주입 후 Tank 1부터 전도도가 감소하는 지점이 시작됨.
-
4. 유속 및 교반 조작의 영향주입 유속 변화(100ml/min, 200ml/min, 300ml/min)에 따라 탱크의 농도 변화 응답속도가 달라짐. 교반 조작 여부에 따라 탱크 내 물질의 균일한 혼합이 달라지며, 교반하지 않을 경우 밀도차에 의해 층을 이루게 될 수 있음. 입력변화에 따른 탱크 내 시스템의 응답에 영향을 미침.
-
1. CSTR (연속교반탱크반응기)CSTR은 화학공학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반응기 중 하나입니다. 완전혼합 특성으로 인해 반응기 내 농도와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반응 제어가 용이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산업 규모의 공정에서 안정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만 체류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전환율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CSTR의 동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공정 제어 및 최적화에 필수적이며, 1차 지연 시스템으로 모델링되어 제어 이론 학습에도 매우 유용합니다.
-
2. 계단변화 입력 응답 (Step Input Change)계단변화 입력은 시스템의 동적 응답을 분석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입니다. 유입 농도나 유속이 갑자기 변할 때 시스템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함으로써 시스템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계단 응답으로부터 시정수, 정상상태 이득, 안정성 등 중요한 시스템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정 제어 설계 및 튜닝의 기초가 되며, 실제 산업 현장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실험 방법입니다.
-
3. 펄스변화 입력 응답 (Impulse Input Change)펄스 입력 응답은 시스템의 임펄스 응답 함수를 직접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시스템 특성을 깊이 있게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계단 응답보다 짧은 시간에 시스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임펄스 응답으로부터 전달함수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주파수 응답 분석으로 이어집니다. 다만 실제 구현에서는 완벽한 임펄스를 만들기 어렵고, 측정 노이즈에 민감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4. 유속 및 교반 조작의 영향유속과 교반은 CSTR 운영의 핵심 조작 변수입니다. 유속 증가는 체류시간을 감소시켜 반응 진행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교반 속도는 혼합 효율과 열전달 성능을 결정합니다. 이 두 변수의 변화는 시스템의 동적 응답 특성을 크게 변화시킵니다. 유속 변화는 시정수와 정상상태 이득을 모두 변경하고, 교반 개선는 시스템을 더 빠르게 반응하도록 만듭니다. 따라서 공정 제어 시 이들 변수의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고 최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화학공학실험] 직렬 교반 반응 실험 예비보고서(A+실험레포트) 8페이지
실험 예비보고서전공학번학년이름1. 실험 제목직렬 교반 반응 실험2. 실험 목적실제의 반응기 내부에서 유체의 흐름은 이상적 흐름을 따르지 않는다. 하지만 설계 과정에서 이상형으로 가정하여 디자인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상형과 실제형의 편차는 존재하며 편차의 크기가 상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응기 내에서 무반응영역(Dead zones)이나 채널링(Channeling) 현상-유체가 저항이 낮은 쪽으로 흐르려고 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반응기의 전화율 감소를 야기한다. 따라서, 반응기 내에서 유체에 대한 속도...2021.03.22· 8페이지 -
CSTR 결과보고서 6페이지
CSTR을 이용한 Ethyl acetate와 NaOH의 비누화 반응 (Saponification reaction)에서의 반응 속도 측정실험 조: *요일 *분반 이**교수님작성자: 최**실험 일자 : 2021-03-17제출 일자: 2021-03-18담당 조교 이름 : 고**“나는 자랑스런 인하인으로, 스스로의 힘으로 정직하게 레포트를 작성하였습니다.” + 최** + 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2021.12.22· 6페이지 -
PFR실험 결과보고서 11페이지
스테이플러등묶음위치결과보고서실험주제 : PFR 실험1. 서론1) 개요관형흐름반응기 반응기는 기초 반응공학의 특정 교수 과목을 담당하는 사용자가 광범위한 실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본 장치에서 다음의 공통적인 3가지의 기본적인 실험을 행할 수 있다.A. 시간에 따른 반응진척도(전화율)변화 실험B. 반응속도상수(k)의 온도의존성 실험C. 체류시간분포실험2) 이론대표적인 연속 이상 반응기의 모델에는, 관형반응기(PFR)와 연속 교반 탱크형 반응기(CSTR)가 있다. 관형반응기는, 그 생긴 모양이 관 모양이어서가 아니라, 반응기...2024.01.10· 11페이지 -
CSTR 반응에서의 반응 속도 상수 결과보고서 10페이지
CSTR 반응에서의 반응 속도 상수 실험결과보고서실험 제목CSTR 반응에서의 반응 속도 상수 (Reaction Rate Constant in CSTR Reaction)목적이번 실험에서는 CSTR (연속 교반 탱크 반응기)에서 Sodium hydroxide와 ethyl acetate를 반응시킨다. 이 때 Saponification(비누화반응)이 일어나 Carboxylic acid가 생성되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용액속에 Carboxylic acid가 존재하지 않고 acetate ion과 sodium ion이 공존하여 존재한다는 것이 차...2024.05.06· 10페이지 -
[화학공학실험 A+ 보고서]-결과보고서-CSTR의 RTD 실험 13페이지
2019년 화학공학실험5 결과보고서실험제목 : CSTR의 RTD 실험CSTR의 RTD 실험수요일반3조학번이름1. 실험 목적- CSTR 반응기와 RTD 함수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추격자를 통해 RTD를 구해본다.- RPM(교반속도) 변화에 따른 전도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C(t), F(t), E(t)를 구한다.- E(t) 함수를 통해서 CSTR 내 물질의 RTD의 변화를 알아본다.- 이상적인 반응기와 실제 반응기의 차이를 알아본다.2. 실험 이론1) CSTR (연속교반탱크반응기)산업공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반응기의 형태로 액상...2021.05.11· 1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