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발리볼 경기하기 교수-학습 지도안
본 내용은
"
교육학습지도안(세안)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8
문서 내 토픽
-
1. 네트형 게임의 교육적 의의네트형 게임은 네트를 기준으로 활동 공간이 나뉘어 있어 상대팀과의 신체 접촉이 없으며, 게임 중 팀의 작전, 협동, 개인의 역할이 중요하다. 개인 및 집단 간 경쟁 활동에 필요한 기능과 전략을 이해하고 자신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 필수 능력이다. 배구형 게임과 배드민턴형 게임의 기초 기능, 게임 활용 기술, 다양한 경기 방법, 협동심과 예절을 습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2. 장애학생 맞춤형 교수 전략학급은 지적장애 6명, 자폐성장애 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가, 나, 다 세 그룹으로 나누어 차별화된 학습목표와 활동을 제공한다. 가 수준은 규칙 이해와 협력 활동, 나 수준은 주요 낱말 이해와 기술 수행, 다 수준은 단어 인식과 게임 참여에 중점을 둔다. 교사의 지속적인 언어적 촉진과 모델링을 통해 학습을 지원한다.
-
3. 빅발리볼 기본 기술 및 경기 규칙빅발리볼은 공을 네트 너머로 보내는 활동으로 오버토스, 언더토스, 언더서브 등의 기본 기술을 포함한다. 학생들은 원형으로 서서 공을 주고받기, 공 네트 넘기기, 언더서브 쳐보기 등의 단계적 활동을 통해 기술을 습득한다. 경기는 4명씩 두 모둠으로 구성되어 진행되며, 학생 특성에 맞게 규칙을 수정하여 성취감을 높인다.
-
4. 과정중심 평가 방법관찰법과 형성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규칙 이해, 기술 수행, 협력 능력을 평가한다. 각 수준별로 평가 준거를 달리하여 우수, 도달, 미도달로 구분한다. 가 수준은 규칙 이해와 패스 능력, 협력 평가, 나 수준은 낱말 인식과 기술 수행, 다 수준은 단어 인식과 게임 참여 능력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
1. 주제1 네트형 게임의 교육적 의의네트형 게임은 학생들의 신체 발달과 사회성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배구, 테니스 등의 네트형 게임은 공간 인식 능력, 타이밍 감각, 그리고 전략적 사고력을 동시에 발달시킵니다. 특히 팀 스포츠로서 협력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배우게 되며, 승패를 통해 감정 조절 능력도 향상됩니다. 또한 네트를 사이에 두고 진행되는 특성상 안전성이 높으면서도 경쟁의식을 자극하여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합니다. 이러한 교육적 가치로 인해 네트형 게임은 체육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2. 주제2 장애학생 맞춤형 교수 전략장애학생을 위한 맞춤형 교수 전략은 포용적 교육의 핵심입니다. 각 학생의 장애 유형과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개별화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맞는 교수 방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보조 기구 활용, 학습 환경 조정, 또래 학생과의 협력 학습 등 다양한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특히 장애학생의 강점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작은 성공 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사의 지속적인 관찰과 평가를 통해 전략을 수정·보완하면서 모든 학생이 교육 기회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3. 주제3 빅발리볼 기본 기술 및 경기 규칙빅발리볼은 전통 배구를 개량한 스포츠로, 더 큰 공과 낮은 네트를 사용하여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기본 기술로는 언더핸드 패스, 오버핸드 패스, 서브, 스파이크 등이 있으며, 이들은 체계적인 연습을 통해 습득됩니다. 경기 규칙은 전통 배구와 유사하지만 더 간단하여 초보자도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빅발리볼의 장점은 신체 능력이 다양한 학생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며, 기술 습득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학교 체육 교육에서 효과적인 교수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4. 주제4 과정중심 평가 방법과정중심 평가는 최종 결과만 평가하는 기존 방식을 벗어나 학습 과정 전체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학생의 노력, 개선 정도, 학습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더욱 공정하고 객관적입니다. 포트폴리오, 체크리스트, 관찰 기록 등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학생의 성장을 추적합니다. 특히 장애학생이나 학습 속도가 느린 학생들에게 개별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 맞춤형 교육을 가능하게 합니다. 과정중심 평가는 학생들의 내재적 동기를 높이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