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실험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실험11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결과보고서 A+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6
문서 내 토픽
-
1. Summing Resistor를 이용한 DAC 구성Op amp와 summing resistor를 통해 4-bit DAC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반전 입력에 연결된 입력 신호는 시간이 지날수록 출력값이 감소합니다. 16진계수기를 입력에 연결하여 8kΩ(A), 4kΩ(B), 2kΩ(C), 1kΩ(D)의 저항값을 사용하면 계단 형태의 출력 파형이 나타납니다. 출력 파형의 진폭이 입력 파형의 약 2배로 나타나며, 이는 회로의 저항값 계산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 Binary Ladder를 이용한 DAC 구성Op amp와 binary ladder를 통해 4-bit DAC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첫 번째 실험과 달리 입력 저항을 binary ladder로 제어하여 출력을 확인합니다. 16진계수기를 입력에 연결하면 계단 형태의 파형이 나타나며, 출력 파형의 진폭이 입력 파형의 진폭과 일치합니다. 회로의 저항값 계산으로 이론값과 실험값이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 DAC의 작동 원리 및 특성Digital-to-Analog Converter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4-bit DAC는 16개의 계단 형태의 출력을 생성하며, 각 계단의 길이는 입력 파형의 한 주기와 일치합니다. 입력 저항 구성 방식에 따라 출력 파형의 진폭이 달라지며, 이는 회로 설계의 중요한 특성입니다.
-
4. Op Amp와 Summing Resistor의 역할Operational Amplifier(Op Amp)는 신호 처리의 핵심 소자로, summing resistor와 함께 사용되어 여러 입력 신호를 합산합니다. 반전 입력 구성에서는 출력이 입력의 반대 극성을 가지며, 저항값의 비율에 따라 출력 신호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이를 통해 정밀한 아날로그 신호 변환이 가능합니다.
-
1. Summing Resistor를 이용한 DAC 구성Summing Resistor를 이용한 DAC는 구조가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각 디지털 입력에 대응하는 저항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회로 설계가 직관적입니다. 다만 비트 수가 증가할수록 저항값의 정확도 요구사항이 지수적으로 증가하여 고정밀도 구현이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입력 임피던스가 낮아져 신호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주파 응용에서는 성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비트 DAC나 교육용 목적에는 적합하지만, 고성능이 필요한 실무 응용에서는 제한적입니다.
-
2. Binary Ladder를 이용한 DAC 구성Binary Ladder DAC는 R-2R 네트워크 구조로 저항값의 정확도 요구사항을 크게 완화시킨 우수한 설계입니다. 모든 저항이 R 또는 2R 두 가지 값만 사용되므로 제조 공정에서 상대적 정확도만 중요하여 절대값 오차에 덜 민감합니다. 이로 인해 고비트 DAC 구현이 가능하며, 회로의 선형성이 우수합니다. 또한 구조가 확장 가능하여 비트 수 증가가 용이합니다. 다만 회로 복잡도가 증가하고 고주파 특성에서 기생 성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고려사항입니다. 현대 DAC 설계에서 매우 널리 사용되는 효율적인 구조입니다.
-
3. DAC의 작동 원리 및 특성DAC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핵심 소자로, 디지털 입력값에 비례하는 아날로그 출력을 생성합니다. 작동 원리는 각 비트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하는 방식으로, 이진 가중치 원리에 기반합니다. DAC의 주요 특성으로는 해상도, 선형성, 정착 시간, 신호 대 잡음비 등이 있으며, 이들은 응용 분야에 따라 중요도가 달라집니다. 고속 응용에서는 정착 시간이 중요하고, 오디오 응용에서는 신호 대 잡음비가 중요합니다. DAC의 성능은 회로 설계, 부품 선택, 레이아웃 등 여러 요소에 의해 결정되며, 실제 구현에서는 이상적 특성과의 편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Op Amp와 Summing Resistor의 역할Op Amp는 Summing Resistor DAC에서 가상 접지 특성을 이용하여 입력 임피던스를 낮추고 신호 합산을 수행하는 핵심 소자입니다. Op Amp의 높은 개루프 이득과 음의 피드백을 통해 정확한 전류 합산이 가능하며, 출력 임피던스를 낮춰 부하 변화에 강건한 회로를 구성합니다. Summing Resistor는 각 디지털 입력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제공하여 이진 가중치 원리를 구현합니다. 두 요소의 조합으로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DAC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다만 Op Amp의 대역폭, 슬루율, 오프셋 전압 등의 특성이 DAC 성능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응용에 맞는 적절한 Op Amp 선택이 중요합니다.
-
아주대학교 논리회로실험 / 10번 실험 D/A, A/D Converter 예비보고서 5페이지
10번 실험 예비보고서전자공학과 / 학년 / 학번 : / 이름 :날짜 : / 담당조교님 :실험 10. D/A & A/D Converter (DAC & ADC)1. 회로 결선도※ 한쪽 면에 하나의 실험 결선도를 작성하려는 과정에서 일부 저항은 빵판의 칸을 차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음2. 실험 목적본 실험에서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상호 간 변환 과정을 확인한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데는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가 이루어지는데,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ADC 회로를 구성하여 이러한 일련의 동작 원리에 대해 이...2021.07.20· 5페이지 -
아주대 논리회로실험 실험10 DAC & ADC converter 예비보고서 6페이지
실험10 예비보고서IEEE Code of Ethics(출처: http://www.ieee.org)We, the members of the IEEE,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our technologies in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out the world, and in accepting a personal obligation to our profession, its members and the communities we serve, do hereby...2021.05.07· 6페이지 -
아주대 논회실 논리회로실험 실험9 결과보고서 7페이지
1. 실험 과정 및 결과-실험결과 기록 및 정리-DAC위 회로를 브레드보드에 구현한 결과실험 결과가 예비보고서의 실험예상과 일치한다. 이번 실험은 입력되는 펄스를 2진수 형태로 0~9의 10개의 파형으로 나누는 기능을 하는 IC 74HC90을 이용하여Q _{A}~Q _{D}까지 네 개의 출력을 바탕으로 각 출력 값에 다른 저항값을 할당하여 74HC90의 열 가지의 출력마다 각각 다른 저항 값을 연결하여 출력마다 다른 전압 값이 할당되도록 하고 OP AMP의 역할을 하는 IC LM741에 연결시켜 전압을 증폭시켜 오실로스코프로 전압 ...2014.04.08· 7페이지 -
마이크로프로세서 예비보고서 9장 - Data EEPROM 메모리와 watchdog 사용하기 15페이지
실험 9. Data EEPROM 메모리와 watchdog 사용하기 그리고 A/D 변환기 사용하기와 전압계 만들기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실험예비보고서9장 Data EEPROM 메모리와 watchdog 사용하기그리고 A/D 변환기 사용하기와 전압계 만들기PIC16F84 핀 구성목 차9 - 1 실험 이론································29 - 2 관련자료································129 - 3 예비문제································139 - 4 고 찰8···...2016.06.25· 15페이지 -
아주대 논리회로실험 실험예비9 D/A & A/D Converter (DAC & ADC) 9페이지
실험 9. D/A & A/D Converter (DAC & ADC) 예비보고서● 이론(1) D/A converterD/A converter는 2진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아날로그 출력 전압 Vo는 디지털 입력 전압의 유무, 즉 디지털 입력 비트의 유무에 따라 바뀌는 것으로 아날로그 출력 전압 Vo는 디지털 입력 비트, 2진 바이너리 조합에 의해 각각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D/A(Digital-to-Analog) converter의 블럭 구성도는 그림 1과 같으며 analog switch의 ...2014.10.04· 9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