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보건 간호 환경 및 재난 관련 보고서(호우)
본 내용은
"
지역사회 보건 간호 환경 및 재난 관련 보고서(호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14
문서 내 토픽
  • 1. 호우의 정의 및 종류
    호우는 시간과 공간의 규모와 관계없이 많은 비가 연속적으로 내리는 것을 말하며, 호우에 대한 명확한 기상학적 정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큰비와 같은 뜻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단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는 집중 호우와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호우 주의보, 호우 경보, 집중 호우, 극한 호우, 국지성 호우 등 다양한 종류의 호우가 있다.
  • 2. 우리나라의 호우 발생 지역
    우리나라는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데 우리나라가 산이 많고 골짜기가 깊은 지형적 특성상 비가 집중되어 국지성 호우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제트기류의 영향이나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로 인해 국지성호우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호우는 일반강수에 비해 시기별, 지역별 변동성이 매우 크다.
  • 3. 강수량 기준
    시간당 강수량에 따른 체감 기준과 호우특보 발령 기준이 있다. 시간당 5mm는 이슬비, 10mm는 일반적인 비, 20mm는 침수 피해 가능, 30mm는 폭우, 50mm는 시야 확보가 잘 안되고 80mm 이상은 대규모 재해 발생 가능성이 높다. 호우주의보는 3시간 강우량 60mm 이상, 12시간 강우량 110mm 이상, 호우경보는 3시간 강우량 90mm 이상, 12시간 강우량 180mm 이상이다.
  • 4. 국내외 호우 피해 사례
    국내에서는 2022년 8월 서울의 시간당 강우량 141.5mm를 기록한 폭우로 인해 17명의 사망자와 3,154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호우로 인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및 모기 매개 감염병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국외에서는 2023년 9월 뉴욕시에 집중 호우가 쏟아져 도로와 지하철 등이 침수되었고, 2023년 7월 일본 규슈 지역에 10일간 기록적인 폭우가 내려 3명이 사망했다.
  • 5. 호우 발생 시 대처요령
    호우 발생 시 사전 준비, 호우 특보 예보 시, 호우 특보 중, 호우 이후 등 단계별로 대처해야 한다. 사전 준비로는 과거 정보 확인, 재난정보 수신, 대피 방법 약속, 비상용품 준비 등이 필요하다. 호우 특보 예보 시에는 위험지역 대피, 차량·시설물 보호, 비상용품 준비 등을 해야 한다. 호우 특보 중에는 외출 자제, 실내 안전수칙 확인, 위험지역 접근 자제 등이 중요하다. 호우 이후에는 피해 확인, 감염병 예방, 수해복구 작업 시 주의사항 등을 지켜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우리나라의 호우 발생 지역
    우리나라에서 호우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은 주로 남부 지방과 중부 지방입니다. 남부 지방의 경우 태풍의 영향을 많이 받아 호우가 자주 발생하며, 중부 지방은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국지성 호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울산, 부산, 경남 지역은 태풍의 영향을 많이 받아 호우 피해가 심각한 편입니다. 또한 서울, 경기 지역도 도시화로 인한 열섬 현상으로 국지성 호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호우 발생 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주제4: 국내외 호우 피해 사례
    국내외에서 발생한 호우 피해 사례는 매우 다양하고 심각합니다. 국내에서는 2020년 8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내린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또한 2021년 7월 전라북도 일대에 내린 장마성 호우로 인해 많은 주택과 도로가 침수되는 등 큰 피해가 있었습니다. 국외에서도 2021년 7월 독일과 벨기에에 발생한 집중호우로 인해 수많은 사망자와 재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처럼 호우로 인한 피해는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