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단식 연속증류 실험 결과 분석
본 내용은
"
다단식연속증류 결과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5
문서 내 토픽
-
1. 증류 및 증류탑증류는 상대 휘발도와 끓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액체 혼합물을 분리하는 물리적 분리 방법이다. 증류탑은 여러 개의 트레이로 구성된 단과 응축기, 재비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에서 응축된 액체는 흘러내리고 기화된 기체는 상층부로 올라간다. 이 구조로 인해 열이 물질을 통해 직접 전달되어 에너지 소비가 감소한다. 단의 개수가 많을수록 더 순수한 물질로의 분리가 가능하며, 공비 혼합물이 아닌 경우 효과적이다.
-
2. 환류비 및 최소환류비환류비는 환류량(L)을 유출량(D)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탑정에서 상승유량을 모두 환류로 재순환시킬 때 환류비는 무한대가 되는 전환류 상태가 되며, 이때 필요한 단수를 최소이론단수라 한다. 환류비가 어느 한계치 이하가 되면 단수를 증가시켜도 소정 농도의 제품을 얻을 수 없으며, 이때의 환류비를 최소환류비라 한다. 대부분의 증류탑은 환류와 최소환류의 비가 1.1~1.5 사이가 되도록 최적화된다.
-
3. McCabe-Thiele법이론 단수를 구하기 위한 도식적 계산법으로, 조작선과 평형선을 교대로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계단을 그려나간다. 몰분율과 x-y도표를 이용하여 단수를 결정하며, 관벽의 열손실과 혼합열을 무시하고 각 성분의 분자증발 잠열 및 액체의 엔탈피는 탑 내에서 같다고 가정한다. 원료조작선, 농축부 조작선, 회수부 조작선을 그려 최소이론단수와 최소환류비를 구할 수 있다.
-
4. 단효율이론 단수는 각 단에서의 증기와 액상의 완전 평형을 가정하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으므로 실제 단수를 구하기 위해 단효율을 계산해야 한다. 단효율은 이론 단수를 실제 필요한 단수로 나눈 값이며, 주로 Murphree 효율이 사용된다. 본 실험에서는 57%의 단효율을 구했으며, 이는 한 단과 다음 단 사이의 증기조성 변화를 기반으로 계산된다.
-
1. 증류 및 증류탑증류는 화학공학에서 가장 중요한 분리 공정 중 하나이며, 증류탑은 이를 실현하는 핵심 장비입니다. 증류탑은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액체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산업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 특히 석유화학, 정유, 제약 산업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증류탑의 설계와 운영은 에너지 효율성과 경제성에 직결되므로, 정확한 이론적 이해와 실무 경험이 모두 중요합니다. 현대에는 에너지 절감과 환경 보호를 위해 더욱 효율적인 증류탑 기술 개발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2. 환류비 및 최소환류비환류비는 증류탑 운영의 핵심 변수로, 분리 효율과 에너지 소비를 직접적으로 결정합니다. 최소환류비는 이론적으로 필요한 최소한의 환류량을 나타내며, 이를 초과하는 환류는 에너지 낭비를 초래합니다. 반면 환류비가 너무 낮으면 원하는 분리 효율을 달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최적의 환류비를 결정하는 것은 경제성과 효율성의 균형을 맞추는 중요한 과제입니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최소환류비의 1.2~1.5배 정도를 운영 환류비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3. McCabe-Thiele법McCabe-Thiele법은 이진 혼합물의 증류 설계에 사용되는 그래픽 방법으로,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평형 곡선과 운영선을 이용하여 필요한 이론단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어, 증류탑 설계의 기초가 됩니다. 특히 교육 목적으로 매우 유용하며, 복잡한 계산 없이 시각적으로 분리 과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만 다성분 혼합물이나 복잡한 조건에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더 적합합니다. 현대에도 기본 개념 이해와 빠른 예비 설계에 여전히 널리 사용됩니다.
-
4. 단효율단효율은 이론단과 실제단의 차이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증류탑의 실제 성능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론단은 완벽한 평형을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접촉 시간 부족, 혼합 불완전, 열손실 등으로 인해 완벽한 평형에 도달하지 못합니다. 단효율은 이러한 현실적 손실을 정량화하며, 일반적으로 50~90% 범위에서 나타납니다. 단효율을 정확히 예측하려면 유체역학, 물질전달, 열전달 등 다양한 인자를 고려해야 합니다. 증류탑 설계 시 적절한 단효율을 적용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장비 설계의 핵심입니다.
-
다단식 연속 증류 실험 파이널 레포트1. 다단식 연속 증류 실험 본 실험에서는 환류 상태에서 이성분계(Methanol-water)의 연속 정류실험을 행하여 McCabe-Thiele법에 의한 이론단수를 구하고 실험결과와 비교한 총괄 단효율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탑상부 생성물의 농도는 0.8248로 나타났으나, 탑하부 생성물의 농도가 0.2366으로 기대치에서 벗어나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2025.05.08 · 공학/기술
-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2] 다단식 연속증류 실험 예비레포트1. 연속 증류 연속 증류의 평형곡선과 작동선을 이용하여 이론단수를 계산하고, 최소 환류비 및 단효율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조업 조건을 이해한다. 단효율 개념을 활용해 실제 단수와 이론단수 간의 차이를 분석하며, 공정 운영 시 최적화 조건에 대해 학습한다. 2. 다단식 증류 실험 절차 장치의 모든 밸브가 잠기고 스위치가 OFF 되어 있는지 확...2025.01.19 · 공학/기술
-
[화공실험]연속증류실험 결과레포트1. 연속증류실험 본 실험에서는 환류 상태에서 이성분계(methanol-water)의 연속 정류실험을 행하여 McCabe-Thiele법에 의한 이론단수를 구하고 실험결과와 비교한 총괄 단효율을 알아보았다. 정류란 환류(reflux)를 사용하는 다단식 중류조작이다. 실험 결과 시간과 온도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지는 섬세한 실험이었으며, McCabe-Thiele...2025.01.23 · 공학/기술
-
[화학공학실험] 액액추출 결과레포트(A+) (고찰포함) 13페이지
1. 실험목적1) 액체 - 액체 추출 공정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고, 실험을 통해 활용법을 확인한다.2) 3 성분계에서 액 – 액 평형관계를 삼각도표에 표시하는 방법을 익힌다.3) 벤젠 – 아세트산 – 물 계에서 아세트산을 추출하며 변수를 바꾸어 농도를 측정하여 영향을 고찰한다.2. 실험이론1) 평형관계유체의 조작에 관한 물질수지, 에너지 수지와 평형 관계에 대표되는 물성 값은 Chemical Engineering의 기본이다. 화학공학의 단위조작(확산분리공학)의 요점은 물질수지와 평형관계를 연립시킨 비선형 연립 방정식 또는 연립 미분...2021.05.17· 13페이지 -
다단식연속증류 결과레포트 (A+) 23페이지
화공생물공학실험실험제목다단식 연속증류실험방법실험은 그림 1. 과 같은 SAM JIN UNICHEM社의 Continuous Plate Distillation Column App (모델: SCP – 135C)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장치는 그림 1. 과 같으며 단수는 총 7단, 원료는 3단과 4단의 사이에 공급하는 형태이다.그림 1. 실험 기구장치의 모든 밸브가 잠겨 있고, 모든 스위치가 OFF로 되어있는지 확인한다.장치의 Main S/W를 ON으로 하고 각 지시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한다.공급액 탱크에 50mol% 에탄올을 충...2019.07.29· 23페이지 -
(A+만점레포트)[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2] 3.다단식연속증류(결과) 12페이지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2 결과 보고서 실험 제목 다단식 연속증류 실험 일자 실험 조 및 조원 학과 학번 이름 시약 세부 증류수(Water) 분자식 H2O 분자량 18.02g/mol 끓는점/녹는점 100℃/0℃ 증기압 23.8mmHg (25℃) 비중 1 용해도 100g/100ml 에탄올(Ethanol) 분자식 C2H6O 분자량 46.0684g/mol 끓는점/녹는점 78.3℃/-114.1℃ 증기압 5.8kPa (20℃) 비중 0.79 용해도 789,000mg/L (20℃) 에탄올은 탄소 두 개로 이루어진 알코올의 한 종류인 ...2025.06.24· 12페이지 -
액액추출 이론 6페이지
- 액 액 추출1. 실험목적Acetic acid와 Kerosene을 왕복식 향류 다단 추출탑으로 성분을 추출해내는 조작방법을 이해한다. 주입 유량과 회전수의 변화가 성분 추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다.2. 실험이론액액 추출법은 보통 비점이 접근해 있어 증류로는 분리가 불가능하거나 증류로의 분리 시 성분의 파괴가 초래하는 등의 경우의 적절한 용매로서 특정성분을 분리하는 조작이다. 일반적으로 다단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용매를 1단으로 보내고 원료액을 다른 1단으로 보내어 향류 추출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추출의 주요용도 중 하나가...2022.08.29· 6페이지 -
커피 입도분석 및 입형분석 6페이지
커피 입도분석 및 입형분석1. 서론맛있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그라인딩(알맞은 크기로 원두를 고르게 분쇄) 과정이 필요하다. 추출 방법에 따라 적합한 원두 분쇄 굵기가 다르며 동일한 추출법이라도 분쇄된 원두의 굵기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원두를 미세한 굵기로 분쇄하면 표면적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물과 접촉하는 면이 넓어진다. 물과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커피 입자 내부에 갇혀 있던 물질들이 물에 더 많이 녹아든다. 하지만 커피에 더 많은 성분이 녹아든다고 해서 좋은 커피는 아니다. 적절한 추출로 맛과 향미의 조화를 이뤄...2022.01.09· 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