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in Gauge 기계공학실험 보고서
본 내용은
"
Strain Gauge 기계공학실험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4
문서 내 토픽
-
1. 응력(Stress)물체에 외력이 작용할 때 내부에서 발생하는 힘의 상태를 응력이라 한다. 응력은 단위 면적당의 힘으로 정의되며, 경계면에 수직인 성분을 수직응력, 평행한 성분을 전단응력으로 분류된다. 응력이 균등하지 않으면 극한값을 취하여 계산한다.
-
2. 변형률(Strain)가해진 힘에 따라 물체에서 일어나는 변형의 정도를 변형률이라 하며, 변화된 길이와 원래 길이의 비율로 정의된다. 인장으로 인한 늘어남은 양수(+)로 표현하는 인장변형률이고, 수축으로 인한 줄어듦은 음수(-)로 표현하는 압축변형률이다.
-
3.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가해지는 힘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센서로, 기계요소에서 변형률을 실험적으로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변환기이다. 변형률을 전기 저항의 변화로 전환하며, 측정된 저항값을 계산하여 원하는 값을 도출한다.
-
4. Kirsch 방정식2차원 평면상에서 응력 분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방정식이다. 이를 통해 응력집중 현상을 분석하고 응력분포를 시각화할 수 있다.
-
1. 응력(Stress)응력은 재료 공학과 구조 해석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개념입니다. 응력은 외부 하중에 의해 재료 내부에 발생하는 저항력을 나타내며,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으로 정의됩니다. 응력의 정확한 이해는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 재료 선택, 그리고 파괴 예측에 필수적입니다. 인장응력, 압축응력, 전단응력 등 다양한 형태의 응력이 존재하며, 각각은 재료에 다른 영향을 미칩니다. 응력 분석을 통해 엔지니어는 구조물이 주어진 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 판단하고, 필요시 설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현대 공학에서 응력 해석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더욱 정교해졌으며, 이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구조 설계를 가능하게 합니다.
-
2. 변형률(Strain)변형률은 응력에 대한 재료의 반응을 정량화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변형률은 원래 길이에 대한 길이 변화의 비율로, 재료가 얼마나 변형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 응력과 변형률의 관계는 재료의 탄성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입니다. 선형 탄성 범위 내에서 응력과 변형률은 비례 관계를 가지며, 이를 통해 영률(Young's modulus)과 같은 재료 상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변형률 측정은 구조 건강 모니터링, 재료 시험, 그리고 피로 해석에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 정확한 변형률 측정은 구조물의 실제 거동을 파악하고 설계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3.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스트레인 게이지는 변형률을 직접 측정하는 가장 실용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센서입니다. 저항식 스트레인 게이지는 재료가 변형될 때 전기 저항이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변형률을 정확하게 측정합니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장점은 소형이고 가볍고 설치가 간단하며, 실시간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실제 거동을 현장에서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설계 검증과 구조 건강 진단에 매우 유용합니다. 다만 온도 변화, 습도, 그리고 설치 오류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정이 필요합니다. 현대 구조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스트레인 게이지는 필수적인 도구로, 교량, 건물, 항공기 등 다양한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에 활용됩니다.
-
4. Kirsch 방정식Kirsch 방정식은 원형 구멍 주변의 응력 분포를 해석적으로 계산하는 고전적이고 중요한 해석 방법입니다. 이 방정식은 무한 평판에 원형 구멍이 있을 때 구멍 주변의 응력 집중을 정확하게 예측합니다. Kirsch 방정식의 가장 중요한 결과는 구멍 가장자리에서 응력 집중 계수가 약 3이라는 것으로, 이는 구조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 방정식은 복잡한 응력 분포를 해석적으로 표현하여 엔지니어가 구멍 주변의 응력 상태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 현대에는 유한요소해석(FEA)으로 더 복잡한 기하학적 형태를 분석할 수 있지만, Kirsch 방정식은 기본 원리 이해와 검증 도구로서 여전히 가치가 있습니다.
-
기계공학실험2 [A+인증] Strain Gauge 보고서 13페이지
1. 실험 요약1.1 실험 목적 Strain Gauge의 측정 원리를 이해하고 이론적으로 응력집중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Kirsch 방정식을 이용하여 2차원 평면상에 응력 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1.2 결과 개요① Single Strain Gauge 측정의 결과값과 이론값을 통해 응력집중계수의 오차율을 구해낼 수 있었다. 연성이 강한 재료는 외부로부터 힘이나 모멘트를 받으면 쉽게 늘어나거나 압축되는 성질을 가진다. 또한, 재료가 파괴될 때까지 현저한 잔류변형, 즉 소성변형을 일으킨다. 연성재료의 이러한 성질을 통해 물체...2021.05.30· 13페이지 -
[보고서 전체1등] 스트레인게이지 실험 (결과) [A+ 만점] 아주대 기계공학기초실험 10페이지
- 실험 결과 보고서 -실험 제목: 스트레인 게이지 실험과목명 : 기계 공학 기초실험제출일: 년 월 일실험일자: 년 월 일실 험 조 명 :반 조작성자 :학번: 이름:공동 수행자 :학번: 이름:학번: 이름:학번: 이름:점수아주대학교 기계공학과- 목 차 -1. 실험 목적2. 실험 이론3. 실험 장치4. 실험 방법5. 실험 결과6. 실험 고찰7. 결 론1. 실험 목적 (Object)높은 압력에서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용해 될 수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캔 내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더 높다. 이번 실험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해 캔 압력...2020.12.22· 10페이지 -
기계공학실험 - 스트레인 게이지 보고서 (홍익대, 홍익대학교) 4페이지
Application of Strain Gage□ 실험 목적시료의 변형률 및 응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많으며 스트레인 게이지는 미소변형의 변형률 및 응력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본 실험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원리 및 측정 방법을 숙지하여 시료의 변형률 및 응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를 이용하여 미지 물체의 무게를 구할 수 있다.□ 실험 장비스트레인 게이지 : 본 실험의 측정 장비로 steel bar의 변형률을 측정한다.+ steel bar, 사포, 스카치 테이프Steel Bar의 측정값TeamNum3조4조두께 [mm]29...2021.03.24· 4페이지 -
기계공학실험 - 부르동관 압력계와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압력 측정 9페이지
- 결과 보고서 -실험 제목: 압력 측정과목명 : 기계 공학 실험제출일: -년 -월 -일실험일자: -년 -월 -일실 험 조 명 :제 출 자 :공동 수행자 :채 점 기 준 ( 담당실험조교 용)형 식/ 10이 론/ 10장 치 및 방 법/ 5결 과 및 토 의/ 25결 론/ 10합 계/ 60비 고- 목 차 -1. 실험 목적2. 실험 이론3. 실험 장치4. 실험 방법5. 실험 결과6. 실험 고찰7. 결 론1. 실험 목적- 압력계의 원리를 이해하고 정압 상황에서 Bourdon Tube 압력계와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한 압력계를 사용하여 압력을...2020.11.26· 9페이지 -
인장실험 결과분석 레포트 11페이지
기계공학실험B Revision. 12019년도 1학기기계공학실험1 보고서실험명 : 인장 및 Stress/Strain 실험1. 실험 이론1)응력재료에 작용하는 저항력, 적응력 혹은 내력이라고도 한다. 응력은 외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이에는 한도가 있어서 응력이 그 재료 고유의 한도에 도달하면 외력에 저항할 수 없게 되어 그 재료는 마침내 파괴된다.일반적으로 응력이라고 하면 단위응력을 말한다. 이에 대해 단면 전체에 생기는 응력의 합을 전응력(全應力)이라고 하며 단면 전체에 작용하는 전응력은 외력과 같으므로 단위면적에 대한 응력...2020.12.28· 11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