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세동과 심장율동전환의 적응증 및 관리
본 내용은
"
defibrillation 적응증 요약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04
문서 내 토픽
-
1. 제세동(Defibrillation)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제거하기 위해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하는 치료법입니다. 심정지에서 심근 전체를 탈분극시켜 심실세동이나 무맥성 심실빈맥을 없애고 정상 수축을 재개합니다. 적응증은 심실세동(VF)과 무맥성 심실빈맥이며, 이상파형은 120-200J, 단상파형은 200-360J의 에너지를 사용합니다. 전극판은 쇄골 아래 오른쪽 흉골과 왼쪽 심첨에 부착하며, QRS와 비동기화된 전기충격을 전달합니다.
-
2.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심실이 불규칙하게 수축하거나 제대로 수축하지 못해 혈액을 전신으로 보내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순환부전으로 인해 수초 이내에 심정지가 발생하고 사망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세동의 주요 적응증 중 하나이며, 심실조동과 함께 즉각적인 전기 충격 치료가 필요합니다.
-
3. 심장율동전환(Cardioversion)불안정한 빈맥성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해 R파가 보이는 경우에 심장주기에 맞추어 전기충격을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심방세동, 심방조동, 발작성 심실상 빈맥이 주요 적응증입니다. QRS와 동기화된 전기충격을 사용하며, 이상파형 50-100J, 단상파형 100-200J의 낮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더 안전합니다. 의식이 있거나 급하지 않은 경우 약물을 사용합니다.
-
4.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심방이 불규칙하고 빠른 속도로 떨리는 상태로, 심장율동전환의 주요 적응증입니다. 불규칙한 리듬으로 P파가 관찰되지 않고 기선이 흔들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심방조동과 발작성 심실상 빈맥과 함께 심장율동전환 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
1. 제세동(Defibrillation)제세동은 심장의 비정상적인 전기 활동을 교정하는 중요한 응급 의료 기술입니다. 특히 심실세동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에서 신속한 제세동은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자동 외부 제세동기(AED)의 보급으로 일반인도 응급 상황에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졌으며, 이는 공중 보건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제세동의 성공률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므로 신속성이 매우 중요하며, 의료진의 적절한 교육과 훈련이 필수적입니다. 현대 의료에서 제세동 기술의 발전은 심장 응급 상황의 예후를 획기적으로 개선했습니다.
-
2.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심실세동은 심장의 주요 펌프실인 심실이 무질서하게 수축하여 혈액을 펌프질하지 못하는 극도로 위험한 부정맥입니다. 이 상태는 수 분 내에 뇌손상과 사망을 초래할 수 있어 의료 현장에서 가장 긴급한 상황 중 하나입니다. 심실세동의 유일한 효과적인 치료법은 제세동이며, 시간이 매우 중요합니다.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의 조합은 생존율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심실세동의 예방을 위해 심장질환의 조기 진단과 관리가 중요하며, 응급 대응 체계의 구축도 필수적입니다.
-
3. 심장율동전환(Cardioversion)심장율동전환은 제세동과 유사하지만 동기화된 전기 충격을 사용하여 비정상 부정맥을 정상 리듬으로 복구하는 치료법입니다. 특히 심방세동이나 심실빈맥 같은 맥박이 있는 부정맥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제세동과 달리 동기화 기능으로 인해 더 안전하고 정확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심장율동전환은 응급 상황뿐만 아니라 계획된 절차로도 시행될 수 있으며, 약물 치료 실패 시 중요한 대안입니다. 환자의 상태와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시점과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치료 성공의 핵심입니다.
-
4.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심방세동은 심장의 상부 심방이 불규칙하게 수축하는 가장 흔한 부정맥으로, 특히 고령층에서 유병률이 높습니다. 심방세동 자체는 즉각적인 생명 위협은 아니지만 뇌졸중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므로 적절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항응고제 치료와 심박수 조절이 주요 치료 전략이며, 필요시 심장율동전환이나 카테터 절제술 같은 중재적 치료도 고려됩니다. 심방세동의 예방을 위해 혈압 관리, 금주, 규칙적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 개인맞춤형 치료 접근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
2022년 응급간호1. 기본소생술(BLS)의 과정 기본소생술(Basic Life Support)은 1차 소생술을 말하며 특별한 기구가 없는 상태에서 처음 목격한 사람이 입과 손으로 인공호흡법과 가슴 압박법을 동시에 적용하는 소생술이다. 1단계 : 환자의 반응을 확인한다. 2단계 : 응급의료체계 신고한다. 3단계 : 호흡을 확인한다. 4단계 : 가슴압박을 한다. 5단계 : 기...2025.01.25 · 의학/약학
-
제세동과 심율동전환 및 고주파 전극도자절제술 간호1. 제세동(Defibrillation)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 환자의 심장에 고압전류를 단시간 통하게 하여 정상 리듬을 회복시키는 치료법이다. 제세동기는 심장 근육을 탈분극시켜 심실이 원래의 심박동으로 돌아가게 한다. 약물요법으로 치료되지 않은 만성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며, 심실세동이나 무맥성 심실빈맥 등에 적응된다. 시행 전 피부에 젤리를 적용하여 화상...2025.11.13 · 의학/약학
-
부정맥 환자의 심박출량 감소 간호과정1. 부정맥(Dysrhythmias)의 정의 및 병태생리 부정맥은 심장 전도계에 장애가 발생하여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박동수가 빠르거나 느린 비정상적인 상태입니다. 정상적으로 심장의 전기적 자극은 우심방의 동방결절(SA node)에서 60~100회/분으로 생성되어 심방과 심실을 순차적으로 수축시킵니다. 부정맥은 자발성 장애(심박 조절이 다른 부위에서...2025.11.15 · 의학/약학
-
심혈관계(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진단 및 치료1. 심장의 구조 및 기능과 역할 심장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250-300g의 무게와 12cm 크기를 가지고 있다. 심장의 주요 기능은 노폐물 제거와 산소 및 영양분 공급으로, 분당 70-100회 박동하며 하루 10만 번 박동한다. 심장은 우심방, 좌심방, 우심실, 좌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월판, 방실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벽은 심내막,...2025.05.08 · 의학/약학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장비사용법(NBP,PT M등)1. patient monitor patient monitor는 환자의 상태(심전도, 심박/맥박, 산소포화도, 체온 등)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사용방법으로는 electrode 부착 위치, NIBP 측정 방법, 장비의 기능(전원, NIBP start/stop, 알람 일시 정지, 메인 화면, 트렌드, 출력, 환자 정보 입력, 화면 배열 변경, 화면 밝기...2025.05.11 · 의학/약학
-
심방세동 초기 증상과 합병증 예방 관리법 및 시술적 치료 27페이지
심방세동 초기 증상과 합병증 예방 관리법 및 시술적 치료 병동 컨퍼런스 발표용 발표자 : __________ 날짜 : __________목차 심방세동 개요 초기 증상 합병증과 예방 시술적 치료 결론 참고문헌심방세동 개요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AF) 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부정맥 중 하나이며 , 심방의 불규칙한 수축으로 인해 혈류 정체와 혈전 형성이 발생한다 . 이로 인해 뇌졸중 , 심부전 , 인지기능 저하와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 위험이 높아진다 . 특히 고령 인구 증가와 만성질환의 확산으로 ...2025.09.27· 27페이지 -
심방세동 초기 증상과 합병증 예방 관리법 및 시술적 치료 7페이지
심방세동 초기 증상과 합병증 예방 관리법 및 시술적 치료Ⅰ. 서론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부정맥 중 하나이며, 심방의 불규칙한 수축으로 인해 혈류 정체와 혈전 형성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뇌졸중, 심부전, 인지기능 저하와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고령 인구 증가와 만성질환의 확산으로 심방세동의 유병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환자의 생존율뿐 아니라 삶의 질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심방세동은 초기에는 경미한 증상 또는 무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어 조기 ...2025.09.27· 7페이지 -
서맥과 빈맥의 Rhythm control (약물을 중심으로) 15페이지
심장의 전기전달체계동방결절(SA node) → 방실결절(AV node) → 히스혹(bundle of his) → 속가지(bundle branch) → 푸르킨예섬유(purkinje fiber)동방결절 (SA node) : 우심방과 상대정맥이 만나는 지점 근처에 위치.심장의 전기적 리듬이 처음 시작되는 곳방실결절 (AV node) : 심방과 심실이 만나는 부위에 위치.속가지 (bundle branch) : 심근의 좌측과 우측에 두 개의 가지가 있으며, 전기신호를 심근으로 전달.심실성 빈맥이 유발되는 경우 조동(빠르고 규칙적으로 수축하는...2024.10.15· 15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NCU 신경외과 중환자실 사전학습 보고서 15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중환자실 사전학습NCU 신경외과 중환자실[목차]1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ABGA) 012 Emergency cart 약물 013 Endotracheal Intubation 034 Tracheostomy 035 Mechanical Ventilation(기계적 환기) 036 Mechanical Ventilation의 형태 : 각각의 특징 및 장ㆍ단점 05(1) CMV(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05(2) ACV(Assist-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2023.12.16· 15페이지 -
A+ AF케이스, 심방세동케이스(간호과정5, 간호사정, 진단검사결과, 근거 등) 23페이지
Atrial fibrillation 케이스연령: 성별:입원일: 사례연구 기간:지도 교수: 임상현장지도자:실습 병원 및 병동 :I. 서론 ( 환자 소개 및 임상 문제 )▶ 진단명? Atrial Fibrillation? Cerebral infarction? DM? rheumatic MS2013AF, cerebral infarction > PO tx2020. 04. 10DM > PO tx (본원)rheumatic MS(MVA: 1.0-1.1cm) Dx → 본원 refer2020. 06PMV, TTE (본원)2020. 10DCCV 예정이였...2023.01.24· 2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