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 한국사 중간고사 예상 답안정리
본 내용은
"
경북대학교 한국사 중간고사 예상 답안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01
문서 내 토픽
-
1. 역사의 정의와 어원역사는 '사'(활을 쏘는 사람 옆에서 적중한 수를 기록한 사람)에서 유래하여 조사하여 기록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명나라 말기부터 사용된 용어로 과거에 일어난 그 자체를 뜻한다. History의 어원은 그리스어 히스토리아로 '조사하여 알아낸 것, 과거에 일어난 일'의 의미를 가진다. 역사학의 아버지 헤로도토스가 최초로 이 단어를 사용했으며 페르시아전쟁 관련 서양 최초의 역사책을 편찬했다.
-
2. 동양 역사서술의 발전중국 한나라의 사마천은 기존 편년체 방식에서 인물중심으로 서술하는 기전체 방식으로 변경하여 동양의 역사서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대시대 헤로도토스와 사마천은 사실적 기록의 역사로 남겼으나, 중세로 넘어가면서 철학적 개념과 역사학적 개념이 결합되어 다양한 역사학적 이론 확립이 이루어졌다.
-
3. 헤겔의 역사 분류독일의 철학자 헤겔은 역사를 객관적 의미와 주관적 의미로 2가지로 분류했다. 객관적 의미의 역사는 원래의 사실 그대로의 역사이며, 주관적 의미의 역사는 역사가가 이를 해석하여 기록한 역사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역사학은 실증주의, 관념주의, 절충주의의 흐름으로 이어졌다.
-
4. 역사학의 주요 이론과 학파실증주의는 랑케가 대표로 '있는 그대로의 역사, 당대에서 역사를 끌어내는 것'이라 주장했다. 관념주의는 크로체와 콜링우드가 '현재의 관점에서 역사를 판단하고 재구성하는 것'이라 했다. 절충주의는 카가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정의하며 실증주의와 관념주의를 결합했다.
-
1. 주제1 역사의 정의와 어원역사는 인류의 과거를 기록하고 해석하는 학문으로, 그 어원은 그리스어 'historia'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역사의 정의는 단순한 사건의 나열을 넘어 인간 사회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역사를 통해 우리는 과거의 교훈을 얻고 현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문화권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지만, 인류의 경험을 기록하고 전승한다는 본질적 목적은 동일합니다. 역사의 정의는 시대에 따라 진화해왔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관점과 방법론을 포함하는 포괄적 학문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2. 주제2 동양 역사서술의 발전동양 역사서술은 중국의 사마천 이래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체계적인 기록과 해석의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중국의 '사기'와 같은 고전 역사서는 동양 역사서술의 모범이 되었고, 이후 한국, 일본 등에서도 독자적인 역사서술 전통을 발전시켰습니다. 동양 역사서술은 도덕적 교훈과 정치적 메시지를 담는 특징이 있으며, 이는 서양의 객관적 기록 중심과 다른 접근 방식입니다. 근대에 접어들면서 동양 역사학도 서양의 과학적 방법론을 수용하면서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
3. 주제3 헤겔의 역사 분류헤겔의 역사 분류는 세계사를 동양, 그리스-로마, 게르만 세계로 나누는 진보적 발전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역사를 선형적 진보로 보는 관점을 제공했으나, 비유럽 문명을 저평가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헤겔의 분류는 이후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현대에는 이러한 유럽중심적 관점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겔의 역사 철학은 역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로서 학문적 가치가 있으며,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역사학 발전에 중요합니다.
-
4. 주제4 역사학의 주요 이론과 학파역사학의 주요 이론과 학파는 실증주의, 마르크스주의, 아날학파, 포스트모더니즘 등 다양합니다. 각 학파는 역사를 이해하는 서로 다른 방법론과 관점을 제시하며, 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역사학이 발전해왔습니다. 실증주의는 객관적 사료 분석을 강조하고, 마르크스주의는 경제적 기반을 중시하며, 아날학파는 장기적 구조 변화를 탐구합니다. 현대 역사학은 이러한 다양한 이론들을 통합하면서 미시사, 구술사, 디지털 역사학 등 새로운 방법론도 수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원적 접근은 역사를 더욱 풍부하고 입체적으로 이해하게 해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