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코로나19 백신의 종류와 특성
본 내용은
"
생리학(코로나19 백신의 종류와 특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8
문서 내 토픽
  • 1. 전체 바이러스(Whole virus) 백신
    전체 바이러스 백신은 약독화 생백신과 불활성화 백신으로 나뉜다. 약독화 생백신은 약화된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강한 면역반응을 유발하지만 면역이 약한 사람에게는 부적합하다. 불활성화 백신은 유전물질이 파괴된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더 안전하고 안정적이지만 면역형성이 약하고 부스터샷이 필요할 수 있다. 대표 백신으로는 BBIBP-CorV(시노팜), CoronaVac(시노벡) 등이 있다.
  • 2. 서브유닛(Subunit) 백신
    서브유닛 백신은 전체 병원체 대신 정제된 단백질이나 다당류를 사용한다. 단백질 서브유닛, 바이러스 유사입자(VLP), 접합체 서브유닛 등의 유형이 있다. 부작용 위험이 적고 생산이 쉬우며 저렴하지만, 세포감염을 일으키지 않아 항체 매개 면역만 유발하고 면역반응이 약할 수 있다. 대표 백신으로는 Novavax, ZF2001 등이 있다.
  • 3. 바이러스 벡터(Viral vector) 백신
    바이러스 벡터 백신은 변형된 바이러스를 벡터로 사용하여 항원 코딩 유전물질을 숙주세포에 전달한다. 비복제 벡터와 복제 벡터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세포면역을 유도할 수 있지만, 기존 아데노바이러스 면역이 있으면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대표 백신으로는 얀센, 아스트라제네카, 스푸트니크 V 등이 있다.
  • 4. 핵산(Nucleic acid, RNA&DNA) 백신
    핵산 백신은 항원 코딩 DNA 또는 mRNA 서열을 세포에 주입하여 면역을 형성한다. RNA 백신은 화학적으로 합성이 쉽고, DNA 백신은 박테리아 플라스미드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간단하고 빠른 설계가 가능하며 체액성 및 세포 매개성 면역을 모두 유도한다. 대표 백신으로는 모더나(mRNA), 화이자(mRNA), ZyCoV-D(DNA) 등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전체 바이러스(Whole virus) 백신
    전체 바이러스 백신은 오랜 역사를 가진 검증된 백신 기술로, 약화되거나 불활성화된 전체 바이러스를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바이러스의 모든 항원을 포함하므로 광범위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안전성 문제로 인해 엄격한 품질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약화 바이러스의 경우 면역 저하자에게 위험할 수 있습니다. 현대적 기준으로는 더 빠르고 안전한 대안들이 개발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전염병 예방에 효과적인 선택지입니다.
  • 2. 서브유닛(Subunit) 백신
    서브유닛 백신은 바이러스의 특정 단백질만을 사용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 기술입니다. 전체 바이러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부작용 위험이 낮고, 면역 저하자도 접종할 수 있습니다. 제조 과정도 상대적으로 표준화되어 있어 품질 관리가 용이합니다. 다만 특정 항원만 포함하므로 면역 반응이 제한적일 수 있으며, 효능을 높이기 위해 보강제(adjuvant)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개발 기간이 중간 정도이고 비용 효율성이 좋아 많은 백신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3. 바이러스 벡터(Viral vector) 백신
    바이러스 벡터 백신은 무해한 바이러스를 운반체로 사용하여 목표 항원을 전달하는 혁신적 기술입니다.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고 개발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COVID-19 팬데믹 동안 그 효능이 입증되었습니다. 그러나 벡터 바이러스에 대한 사전 면역이 있으면 효능이 감소할 수 있고,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장기 안전성 데이터가 아직 제한적이며, 제조 기술이 복잡합니다. 향후 개선된 벡터 개발로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이 나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핵산(Nucleic acid, RNA&DNA) 백신
    핵산 백신은 mRNA나 DNA를 직접 투여하여 체내에서 항원을 생성하도록 하는 최신 기술입니다. 개발 속도가 매우 빠르고 제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며, 다양한 변종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COVID-19 백신의 성공으로 그 가능성이 입증되었습니다. 그러나 극저온 보관이 필요한 경우가 있고, 장기 안전성 데이터가 부족합니다. 또한 일부 사람들의 심근염 같은 드문 부작용 사례가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매우 유망하지만, 더 많은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향후 많은 질병 예방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