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두증(Hydrocephalus)의 원인, 분류 및 치료 방법
본 내용은
"
수두증(Hydrocephalus) VP shunt, LP shun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7
문서 내 토픽
-
1. 뇌척수액(CSF, Cerebrospinal Fluid)뇌척수액은 뇌에서 생성되어 뇌실과 거미막밑공간을 따라 뇌와 척수를 순환하는 무색투명한 액체입니다. 뇌의 맥락얼기에서 1일 약 500ml가 생성되며, 거미막밑공간의 거미막과립에서 같은 양이 분해·흡수되어 성인에서 100~150ml의 일정한 양이 유지됩니다. 이러한 균형잡힌 순환은 뇌와 척수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
2. 수두증(Hydrocephalus)의 정의 및 발생 기전수두증은 뇌척수액의 생산과 흡수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뇌척수액이 고이게 되는 질환입니다. 고인 뇌척수액의 양이 증가하면 뇌실이 커지고 뇌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뇌척수액 순환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며, 원인에 따라 비교통성과 교통성으로 분류됩니다.
-
3. 비교통성 수두증(Non-communicating Hydrocephalus)비교통성 수두증 또는 폐색성 수두증은 심실 사이의 통로가 막히거나 좁아지는 협착현상(stenosis)에 의해 발생합니다. 뇌실에서 지주막하 공간에 이르는 길이 막혀있어 뇌척수액이 정상적으로 흐르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뇌실만 확장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
4. 교통성 수두증(Communicating Hydrocephalus) 및 정상압 수두증교통성 수두증은 뇌실 사이나 뇌실과 거미막하공간 사이의 뇌척수액 흐름에 막힘이 없으나, 거미막과립을 통한 흡수 과정에 장애가 생겨 발생합니다. 출혈, 감염, 종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정상압 수두증(NPH)은 교통성 수두증의 한 형태로 뇌실 확장이 있으나 두개골 내압은 정상인 경우입니다.
-
1. 뇌척수액(CSF, Cerebrospinal Fluid)뇌척수액은 중추신경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SF는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영양분을 공급하며, 대사 산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뇌척수액의 생성, 순환, 흡수의 균형이 유지될 때 두개강 내 압력이 정상으로 유지됩니다. 뇌척수액의 생성은 주로 뇌실의 맥락총에서 이루어지며, 흡수는 거미막 과립을 통해 상시상정맥동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CSF의 역학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수두증 등 신경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
2. 수두증(Hydrocephalus)의 정의 및 발생 기전수두증은 뇌척수액의 생성과 흡수의 불균형으로 인해 뇌실 내 CSF가 과도하게 축적되는 상태입니다. 이는 두개강 내 압력 증가로 이어져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합니다. 수두증의 발생 기전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첫째, CSF 생성의 증가, 둘째, CSF 순환 경로의 폐쇄, 셋째, CSF 흡수의 감소입니다. 수두증은 선천성 또는 후천성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급성 또는 만성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신경학적 손상을 예방하는 데 중요합니다.
-
3. 비교통성 수두증(Non-communicating Hydrocephalus)비교통성 수두증은 뇌실 내 또는 뇌실 사이의 CSF 순환 경로가 폐쇄되어 발생하는 수두증입니다. 주로 뇌실 사이의 좁은 통로인 중뇌수도(cerebral aqueduct)의 폐쇄가 원인이 됩니다. 이는 종양, 염증, 출혈, 기형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교통성 수두증에서는 폐쇄 부위 근처의 뇌실이 선택적으로 확장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두통, 구역질, 의식 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신경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됩니다. 치료는 폐쇄 원인의 제거 또는 뇌실-복강 단락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
4. 교통성 수두증(Communicating Hydrocephalus) 및 정상압 수두증교통성 수두증은 뇌실 내 CSF 순환 경로는 개통되어 있으나, CSF 흡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수두증입니다. 주로 거미막 과립의 기능 저하나 상시상정맥동의 폐쇄로 인해 발생합니다. 정상압 수두증은 교통성 수두증의 특수한 형태로, 뇌척수액 압력이 정상 범위이면서도 뇌실이 확장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보행 장애, 인지 기능 저하, 요실금의 '삼중 증상'이 특징적입니다. 정상압 수두증은 진단이 어려울 수 있으나, 뇌척수액 단락술이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증상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수두증 아동간호학에 케이스 스터디(문헌고찰 및 진단 5개) 8페이지
수두증(Hydrocephalus) 레포트서론수두증(Hydrocephalus)은 뇌척수액(CSF)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뇌실이 확장되고, 이로 인해 뇌에 압력이 증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수두증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신경학적 손상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본 레포트에서는 수두증의 원인, 종류, 증상, 진단 방법, 치료 및 간호 관리에 대해 자세히 다룰 것입니다.*수두증의 원인수두증은 뇌척수액의 생산, 순환, 또는 흡수에 문제가 발생할 때 나타납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2024.05.22· 8페이지 -
신경외과 케이스스터디 Hydrocephalus 간호사정 및 간호진단 16페이지
- NS 신경외과 케이스스터디 -** CONTENTS **Ⅰ. Hydrocephalus ........................................................................................31) Hydrocephalus ..................................................................................32) V-P shunt surgery ............................................2022.03.13· 16페이지 -
수두증(Hydrocephalus) PPT 20페이지
수 두 증 Hydrocephalus Name: Class Name:정의 분류 병리적영향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 합병증 간호 + + 목차정의 수두증 (Hydrocephalus) 이란 뇌척수액 (CSF) 생산과 흡수기전의 불균형이나 뇌척수액 순환통로의 폐쇄로 뇌실내 또는 두개강 내에 뇌척수액이 과잉 축적된 상태 뇌척수액 생성 뇌척수액의 50-80% 는 측뇌실 및 제 3,4 뇌실의 맥락막총에서 생성되며 , 1 분당 0.35mL 로써 시간당 20mL, 일평균 500mL, 그 외에 뇌실질이나 연수막에서도 소량 생성 뇌척수액 순환 뇌실내에서 ...2023.11.23· 20페이지 -
수두증 간호 문헌고찰 및 질병보고서 Hydrocephalus Disease Nursing Report 10페이지
HydrocephalusDisease Report과목명담당교수학과학번/성명실습병원실습부서제출일자목 차Ⅰ. 서론……………………………………………………………………………………………………………………………………3Ⅱ. 수두증 Hydrocephalus1. 정의2. 원인1) 선천성 원인2) 후천성 원인3. 분류 및 병태생리…………………………………………………………………………………………………………………41) 수두증의 분류2) 병태생리……………………………………………………………………………………………………………………………54. 증상과 징후1) 선천성 수두증...2020.12.03· 10페이지 -
수두증 문헌고찰, 간호과정 case study(진단 3개-불안, 변비, 낙상 위험성) 12페이지
Hydrocephalus(수두증)1) 정의①뇌척수액의 생성과 흡수의 불균형에 의하여 뇌척수액이 축적되어 뇌실이 확장되고,뇌압상승을 초래하는 병적상태② 유병율 약 1~1.5%, 발생율(선천성) 약 0.9~1.8명/1000명2) 뇌척수액의 생성 및 흡수① 생성: 50~80%는 맥락총에서 만들어지며, 일부 뇌실질, 척추 연수막 등에서 생성② 흡수지주막융모에서 뇌척수액의 압력과 시상정맥동의 압력차에 의한 수동적 이동과정에서흡수, ATP 필요 없음. 지주막하의 압력과 시상정맥동의 압력차가 약 5mmHg 이상 되어야만 밸브가 열려서 흡수가 시...2022.08.22· 12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