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기둥 설계용 P-M 상관도 작성
본 내용은
"
경북대 토목공학과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 PM상관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8
문서 내 토픽
-
1. 철근콘크리트 기둥 설계경북대 토목공학과 교재 예제 9.6을 기반으로 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설계용 P-M 상관도 작성. 기둥단면에서 강축에 대한 설계를 수행하며, 주어진 조건은 콘크리트 압축강도 fck 24 MPa, 철근 항복강도 fy 350 MPa, 단면 폭 b 400mm, 높이 h 500mm, 유효높이 d 460mm이다. 상단 철근 As1' 1927mm², 하단 철근 As2' 1285mm², 중앙 철근 As 1927mm²의 배치로 구성되어 있다.
-
2. P-M 상관도 계산중립축 깊이 c, 응력블록 깊이 a, 콘크리트 압축력 Cc, 상단 철근 응력 Cs1, 하단 철근 응력 Cs2, 인장력 T를 계산하여 축력 Pn과 모멘트 Mn을 산출한다. 감소계수 φ 0.65를 적용하여 설계용 축력 φPn과 설계용 모멘트 φMn을 도출한다. 계산 과정에서 중립축 깊이를 0부터 무한대까지 변화시켜 다양한 하중 조합에 대한 상관도를 작성한다.
-
3. 철근 응력 계산상단 철근의 응력 fs1'과 하단 철근의 응력 fs2', 인장 철근의 응력 fs를 계산한다. 철근의 탄성계수 Es 200000 MPa를 사용하여 변형률로부터 응력을 산출하며, 항복강도 350 MPa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중립축 위치에 따라 철근의 응력 상태가 변하며, 이는 축력과 모멘트 값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4. 축력-모멘트 상관관계기둥의 축력과 모멘트는 중립축 깊이에 따라 변하는 상관관계를 가진다. 중립축이 얕을수록 인장 지배 파괴가 발생하여 축력이 감소하고 모멘트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대로 중립축이 깊을수록 압축 지배 파괴가 발생하여 축력이 증가하고 모멘트가 감소한다. 이러한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한 P-M 상관도는 기둥 설계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
1. 철근콘크리트 기둥 설계철근콘크리트 기둥 설계는 구조물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기둥은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기초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축력과 모멘트를 동시에 고려한 정확한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현대 설계 기준에서는 한계상태 설계법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강도, 철근 배치, 횡철근 간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특히 지진 하중이 작용하는 지역에서는 기둥의 연성 설계가 중요하며, 이를 통해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기둥 설계는 건설 비용 절감과 구조 안정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2. P-M 상관도 계산P-M 상관도는 축력과 모멘트의 상호작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설계 도구입니다. 이 상관도를 통해 기둥이 견딜 수 있는 축력과 모멘트의 조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설계 하중이 안전 범위 내에 있는지 검증할 수 있습니다. P-M 상관도 계산 시 콘크리트의 비선형 응력-변형률 관계와 철근의 항복 특성을 정확히 반영해야 하며, 단면의 기하학적 특성과 철근 배치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현대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동 계산이 일반화되었지만,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설계 오류를 방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정확한 P-M 상관도는 경제적이고 안전한 기둥 설계의 기초가 됩니다.
-
3. 철근 응력 계산철근 응력 계산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핵심 과정입니다. 기둥에 작용하는 축력과 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철근의 응력을 정확히 계산하면, 철근이 항복하지 않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응력 계산 시 평면 보존 가정과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적용하며, 철근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 응력 분포가 달라집니다. 특히 부재의 중립축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압축철근과 인장철근의 응력을 구분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철근 응력이 허용 응력을 초과하면 부재가 파괴되므로, 정확한 계산과 적절한 안전계수 적용이 필수적입니다.
-
4. 축력-모멘트 상관관계축력과 모멘트의 상관관계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거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기둥에 작용하는 축력이 증가하면 모멘트 저항력이 변하며, 반대로 모멘트가 증가하면 축력 저항력이 감소하는 상호작용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P-M 상관도로 표현되며, 설계자는 이를 통해 주어진 하중 조합에 대한 기둥의 안전성을 판단합니다. 축력-모멘트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으면 과도한 설계 또는 불안전한 설계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편심 축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 관계가 더욱 중요하며, 정확한 이해를 통해 경제적이고 안전한 구조 설계가 가능합니다.
-
3차원 구조해석과 배근도 작성 실무요령(2) 12페이지
..PAGE:1*..PAGE:2표준갈고리◎ 갈고리의 설치 목적인장력을 받는 철근의 정착길이가 요구되는 만큼 확보 할 수 없다면 정착력을 증가시키야 한다. 이 수단으로써 갈고리가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콘크리트 구조 설계기준 (2012, 5.2.1)주철근 : 90˚갈고리와 180˚갈고리스터럽, 띠철근 : : 90˚갈고리와 135˚갈고리. D25mm 이하의 철근만 갈고리를 준다.※ 현장에서는 주로 가공이 용이한 90˚갈고리가 주로 사용됨.갈고리 효과내면반지름의 필요성*..PAGE:3주철근의 표준 갈고리 가공◎ 콘크리트 구조 설계기준...2015.11.23· 12페이지 -
콘크리트 충전강관 CFT조 기술 자료 31페이지
일본 CFT 기술 동향2 목차 CFT 구조 기술개요 고강도 CFT 기술 내화피복절감 CFT 기술 콘크리트 품질관리기술0. 콘크리트충전강관 (CFT) 조의 특징 I. CFT 구조 기술개요 CFT 조 강관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 구조 : 내력 ( 휨 , 전단 , 압축 )/ 강성 / 연성이 큼 방화 : 내화성능이 우수함 비용 : 강재량 절감 / 거푸집 / 철근작업 생략으로 경제성이 우수함 S 조 구조 : 연성이 크지만 강성이 작고 좌굴하기 쉬움 방화 : 내화성능이 약함 RC 조 구조 : 강성이 크지만 , 전단내력 / 연성이 작음...2014.09.11· 31페이지 -
기계공학실험 레포트 좌굴 거동 14페이지
REPORT실험제목 기둥의 좌굴 거동 측정과목명기계공학실험1학번이름실험 조실험 날짜*실험요약-실험목적장주의 길이효과가 기둥의 좌굴하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양한 길이와지지 조건을 갖는 기둥의 좌굴하중을 비교한다.-결과의 개요고정 형식기둥의 번호유효 길이(mm)압축력(N)오차(%)실험값이론값양단힌지2370-70-64.602-8.43420-58-50.136-15.74470-44-40.036-9.95520-38-32.707-10.1일단힌지일단고정2350-143-147.7143.23400-113-113.0930.14450-96...2015.02.23· 14페이지 -
설계(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법규)검토 체크리스트 23페이지
설계(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법규)검토 체크리스트1) 기본설계단계구 분항목점검사항근거자료일반사항개략공사비- 재료 및 장비 등의 선정에 의한 추정공사비 계산은 적정한가 ?법규 체크리스트- 적용이 예상되는 제반법규 준수사항에 대한 검토, 단계별 법적절차 및 사전승인 검토를 하였는가 ?설계설명서- 건축계획서는 적정한지 ?- 계획 및 방침은 적정한지 ?- 지반 및 기초 등에 관한 사항은 적정한지 ?건축공사도면 목록표- 도면 목록표는 적정한가 ?배치도- 대지경계와의 거리, 위치 등이 적정한가?교통 계획도- 차량, 보행, 주차장계획은 적정한지 ...2007.12.07· 2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