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배양 및 MTT ASSAY를 이용한 독성평가
본 내용은
"
[한양대학교 고급영양학 실험 A+레포트 고찰, 조교 피드백 포함] -세포배양 및 MTT ASSAY를 이용한 독성평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6
문서 내 토픽
-
1. 세포배양 (Cell Culture)생체 외에서 세포를 인공적인 환경에서 배양하는 기술로, 조직 및 장기의 기능을 모방하여 세포의 성장, 분화, 대사 등을 연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영양학 실험에서 세포배양은 영양소의 세포 수준 영향을 평가하고 생리활성 물질의 효능을 검증하는 기초적인 방법론입니다.
-
2. MTT ASSA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세포의 생존력과 증식률을 측정하는 비색 분석법으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효소가 노란색 MTT를 보라색 포르마잔으로 환원시키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독성평가, 약물 효능 검증, 세포독성 스크리닝에 널리 사용되는 표준화된 방법입니다.
-
3. 독성평가 (Toxicity Assessment)물질이나 화학제품이 생체계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세포 수준에서의 독성평가는 동물실험을 대체하는 in vitro 방법으로, 영양소, 식품첨가물, 의약품 등의 안전성을 사전에 검증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
4. 고급영양학 실험영양학의 심화 과정으로 분자 및 세포 수준에서 영양소의 작용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실험 교육입니다. 세포배양, 생화학 분석, 독성평가 등의 첨단 기법을 활용하여 영양소의 생리활성, 생체이용률, 안전성 등을 과학적으로 규명합니다.
-
1. 세포배양 (Cell Culture)세포배양은 현대 생명과학 연구의 핵심 기술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체외에서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약물 개발, 질병 연구, 독성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윤리적 대안으로서의 가치가 높습니다. 다만 배양 환경의 정확한 제어, 오염 방지, 세포의 생리적 특성 유지 등 기술적 난제들이 존재합니다. 앞으로 3D 배양, 오르가노이드 기술 등의 발전으로 더욱 정교한 생체 모델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MTT ASSA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분석법은 세포 생존성과 증식률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정량적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간단한 절차, 빠른 결과 도출, 높은 재현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약물 스크리닝과 독성 평가에 매우 유용합니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 활성에만 의존하므로 세포 사멸의 정확한 메커니즘을 파악하기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또한 특정 물질에 의한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결과 해석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른 생존성 평가 방법과 병행하면 더욱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
3. 독성평가 (Toxicity Assessment)독성평가는 화학물질, 의약품, 식품 첨가물 등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세포 기반 독성평가는 동물실험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신속하고 경제적인 스크리닝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양한 세포주와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급성독성, 만성독성, 유전독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생체 내 복잡한 상호작용을 완벽히 재현하기는 어려우므로 동물실험과의 상관성 검증이 중요합니다. 향후 고급 기술의 통합으로 더욱 정확한 독성평가 체계 구축이 필요합니다.
-
4. 고급영양학 실험고급영양학 실험은 영양소의 생체 이용률, 대사 경로, 건강 효과 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중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세포 및 동물 모델을 통해 영양소의 흡수, 저장, 이용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맞춤형 영양 전략 개발에 기여합니다. 특히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 증진을 위한 과학적 근거 제시에 매우 유용합니다. 다만 개인의 유전적 차이, 장내 미생물 구성, 생활 습관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하므로 연구 설계가 복잡합니다. 통합적 접근과 장기적 추적 연구를 통해 더욱 신뢰성 있는 영양학적 권고안 도출이 가능할 것입니다.
-
MTT assay A+ report1. MTT assay MTT assay는 세포 대사 활성을 색 변화로 측정하는 실험으로 세포 독성 실험이라고도 한다. Tetrazolium salt인 MTT를 살아 있는 세포에 처리하면, 미토콘드리아 안의 oxidoreductase enzyme(NADPH)에 의해 환원되어 보라색을 띠는 formazan 결정체를 형성한다. 죽은 세포의 경우, 미토콘드리아가...2025.01.17 · 의학/약학
-
Cell Proliferation Analysis by MTT Assay1. MTT Assay MTT assay는 세포의 증식능을 분석하는 실험 기법으로, 세포의 대사에 관여하는 미토콘드리아 내 NADH-dependent cellular oxidoreductase enzyme을 통해 MTT가 formazan으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 실험은 배양한 세포 수를 변수로 하여 MTT assay를 통해 각 condition 별...2025.01.21 · 의학/약학
-
의료기기 세포독성 설명 및 간접접촉법(한천확선법) 시험방법 및 평가1. 세포독성(Cytotoxocity) 세포독성이란 포유류 세포(mammalian cell)를 이용하여 체외(In vitro)에서 의료기기 세포 독성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시험방법에는 용출물 시험, 직접 접촉법 시험, 간접 접촉법 시험(한천확산법)이 있으며, 관련 규격으로는 ISO 10993-5, ISO 7405, ISO 10993-12가 있습니다. 2. ...2025.01.21 · 의학/약학
-
CHO 세포 현탁 배양 실험 결과 보고서1. CHO 세포 특성 이 실험의 목적은 CHO 세포의 특성을 알아보고, 직접 현탁 배양된 세포의 생존율을 Hemocytometer와 Countess II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입니다. CHO 세포는 포유류 세포주로, 생물공정 실험에 널리 사용되는 세포주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CHO 세포의 특성과 현탁 배양 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현...2025.01.04 · 의학/약학
-
세포사멸 측정 방법 및 독소루비신 항암 효과 실험1. 세포사멸 측정 방법 세포사멸을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며, 각 방법은 세포사멸 시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한다. TUNEL assay는 DNA 분절화된 3'-OH 말단을 형광표지하여 검출하고, Annexin V staining은 포스파티딜세린 노출을 감지한다. DNA fragmentation assay는 겔 전기영동으로 약 200bp의 DNA 단편을...2025.11.13 · 의학/약학
-
Crystal Violet Assay 세포생존력검사, 세포독성검사 결과 레포트1. Crystal Violet Assay 이번 실험에서는 in vitro 상에서 세포의 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을 농도에 따라 처리해 세포의 생존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Crystal Violet Assay 방법을 통해 농도별 cisplatin 투여시 B16F10 cells의 control 대비 세포 생존력을 확인할 수 있다. 2. 세포독성검사 세포독성 ...2025.05.11 · 의학/약학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6. MTT assay를 통한 세포 viability 측정 (엑셀 계산과정 포함) 7페이지
나노바이오실험(2) 오전/오후 00조 전공 학번 이름 Ⅰ. Abstract 이번 실험에서는 MTT assay를 이용하여 항암제로부터 살아있는 세포의 생존율을 구하였다. 이를 통해 암세포에 대한 doxorubicin의 독성평가를 해보았다. 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에서만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MTT에 의한 세포 대사 활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항암제를 투여하지 않은 배지와 농도별로 항암제를 처리한 배지의 UV 흡광도 값을 비교하여 세포의 생존 비율(cell viability)을 계산할 수 있다. 실험 결과, DOX의 농도(첨가...2024.02.26· 7페이지 -
MTT assay A+ report 10페이지
세포 증식능 분석 – MTT assay이화여자대학교1. Introduction-ObjectiveHemat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 수를 측정하고 계산한다.MTT assay 실험 원리를 바탕으로 세포 생존 및 증식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한다.-Principle 및 TheoryCell counting 시 사용되는 Trypan blue의 입자는 세포막을 확산의 방법으로 통과하여 세포 내부로 유입된다. 살아있는 세포는 ATP 에너지를 이용한 exocytosis로 trypan blue 입자를 다시 세포 외부로 방출하지만, 에너지를 ...2024.07.02· 10페이지 -
MTT assay 6페이지
MTT assayⅠ. Introduction1. 실험원리1) 세포 독성 시험(Cytotoxic test)어떤 표적 세포에 세포표면의 항원에 대한 특이항체와 보체를 반응시킨 경우에 생기는 세포막의 투과성 변화, 핵의 손상을 포함한 표적세포의 상해를 세포 밖에서 측정하여 그 활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Tetrazolium saltTetrazolium salt는 3개의 aromatic ring이 연결된 heterocyclic compound의 통칭으로mitochondria 내에서 enzyme에 의해 metabolize 되어 formaza...2022.06.30· 6페이지 -
asthma 연구계획서 5페이지
연구계획서Treatment of asthma via inactivation of G-protein coupled receptor 401. 연구개발의 필요성1-1. 연구개발의 개요• Asthma는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 때문에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이며,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기관지가 좁아져 나타나는 호흡곤란, 기침, 천명 등이 있음.• Asthma는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diabetes mellitus와 함께 발생률이 높은 3대 만성 질환으로 OECD의 통계를 보면 A...2021.07.04· 5페이지 -
당뇨병 연구계획서 6페이지
연구계획서1. 연구개발의 필요성1-1. 연구개발의 개요• 당뇨병은 가장 일반적인 대사 질환 중 하나로 당뇨환자 중 80% 이상이 insulin resistance가 증가해 정상적인 glucose uptake가 이뤄지지 않아 혈당조절이 불가능한 제2형 당뇨병이다. 그러므로 insulin resistance를 개선한다면 제2형 당뇨병 그리고 관련된 합병증들을 효과적으로 중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insulin resistance 개선으로 써, 에너지 저장 또는 활용의 첫 단계는 glucose를 세포로 흡수시키는 것이다. Gluco...2021.07.04· 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