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한 18번가 마을만들기 프로젝트: 폐광촌의 관광 재생 사례
본 내용은
"
관광(관광개발)관련 지역사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28
문서 내 토픽
-
1. 마을호텔 개념고한 18번가에서 새롭게 고안한 아이디어로, 호텔의 개념을 마을 전체에 적용한 것입니다. 하나의 마을에 숙박업소, 음식점, 카페, 세탁소, 사진관 등 다양한 업종을 서로 가깝게 배치하여 방문객들이 마치 호텔에서 휴식하는 것처럼 마을 전체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고한파출소에서 고한시장까지 약 500m 구간이 마을호텔 18번가로 조성되었으며, 골목길은 객실로 들어가는 산책길 역할을 합니다.
-
2. 지역 경제 활성화 전략고한 18번가는 마을 경관 개선을 넘어 관광객 유치와 숙박업을 새로운 사업 아이템으로 채택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켰습니다. 주민들과 골목상점 11곳이 합심하여 '고한 18번가 협동조합'을 설립하고 운영하고 있으며, 객실 3종류(별방, 빛방, 꽃방)를 9~15만 원 수준의 숙박료로 제공합니다. 투숙객들에게 협력 업체 10% 할인 쿠폰과 LED 야생화 만들기, 다육아트 등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3. 폐광촌 재생 사례강원도 정선군 고한읍은 1980년대 이후 석탄 산업 퇴보로 도시가 침체되었습니다. 정부의 강원랜드, 하이원리조트 건설에도 불구하고 관광도시로의 재도약은 실패했으나, 주민 주도의 마을만들기 프로젝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재생되었습니다. 마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집 앞과 골목을 청소하고, 벽화를 그리며, 공예품으로 골목을 장식하여 밝고 화사한 마을로 탈바꿈시켰습니다.
-
4. 지역 문화 자원 활용고한 18번가는 지역의 과거 탄광촌 역사를 관광 자원으로 활용합니다. 고한시장 입구와 천장을 갱도처럼 꾸미고, 시장 입구마다 '갱도 1', '갱도 2' 등으로 이름을 붙였습니다. 시장 안 기둥에는 광부들을 마네킨으로 묘사하여 과거로의 추억 여행을 시도합니다. 시장 카페에서는 오징어 먹물로 만든 '숯빵'과 꽃물로 만든 '꽃빵'을 판매하여 석탄과 야생화라는 지역의 특색을 살린 기념 상품을 제공합니다.
-
1. 마을호텔 개념마을호텔은 전통적인 숙박시설의 개념을 넘어 지역 주민과 방문객이 함께 어우러지는 새로운 관광 모델입니다. 이는 단순한 숙박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일상, 문화, 음식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관광의 질을 높입니다. 마을호텔은 지역 경제에 직접적인 수익을 가져다주며, 주민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합니다. 다만 과도한 상업화로 인한 지역 정체성 훼손, 주민 간 갈등, 관광객 증가로 인한 환경 오염 등의 부작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성공적인 마을호텔 운영을 위해서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 참여, 투명한 수익 배분, 문화 보존에 대한 진정한 의지가 필수적입니다.
-
2. 지역 경제 활성화 전략지역 경제 활성화는 단순한 외부 자본 유입이 아닌 지역 내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주민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지역 특산품 개발, 전통 산업 현대화, 청년 창업 지원 등 다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디지털 기술 활용으로 지역 제품의 판로를 확대하고, 관광과 제조업을 연계한 복합 산업 구조 구축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일시적 정부 지원에만 의존하면 지속성이 떨어지므로, 지역 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자체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 마련이 핵심입니다. 장기적 관점에서 인구 유입과 정착을 유도하는 정주 환경 개선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
3. 폐광촌 재생 사례폐광촌 재생은 과거 산업 유산을 새로운 자산으로 전환하는 성공적인 사례들을 보여줍니다. 광산 시설을 문화 공간이나 관광지로 변모시키고, 채굴 기술을 문화유산으로 보존하는 사례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재생 사업은 지역 정체성 회복, 일자리 창출, 관광 수익 증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공 사례는 제한적이며, 많은 폐광촌이 여전히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재생의 성공 요인은 지역 주민의 참여, 충분한 초기 투자, 지속적인 관리와 운영 능력입니다. 또한 과거의 환경 오염 정화, 주민 심리 치유 등 보이지 않는 비용도 고려해야 합니다.
-
4. 지역 문화 자원 활용지역 문화 자원은 지역의 정체성을 담은 무형의 자산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관광 수익과 지역 자부심을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전통 공예, 민속 축제, 역사 유적, 음식 문화 등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화 자원 활용은 청년층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고, 문화 산업 일자리를 창출합니다. 다만 상업화 과정에서 문화의 본질이 훼손되거나 지역민의 문화 향유권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문화 보존과 활용의 균형을 맞추고, 수익의 공정한 배분, 지역민 주도의 문화 기획이 필수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