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미생물학: 그람양성균, 항산성균, 장내세균
본 내용은
"
[병원 미생물학] [그람 양성 막대균, Mycobacteria와 Actinomycetes, 장내세균과 Enterobacteriaceae] [조별과제, 발표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1
문서 내 토픽
-
1. 그람 양성 막대균Bacillus anthracis(탄저균), Corynebacterium diphtheriae(디프테리아균), Listeria monocytogenes, Erysipelothrix, Lactobacillus 등이 포함됨. 탄저균은 토양에 서식하며 협막을 형성하고 탄저열 독소를 생성함. 디프테리아균은 목구멍에 서식하며 호흡으로 감염되어 회백색 위막을 형성함. Listeria monocytogenes는 신생아와 면역약화 성인에게 수막염과 패혈증을 일으킴. 대부분 Penicillin에 감수성이며 백신 투여로 예방 가능함.
-
2. Mycobacteria와 ActinomycetesMycobacterium tuberculosis(결핵균)는 항산성 막대균으로 성장이 느리고 세포벽에 지질을 많이 함유함. 폐에 서식하며 호흡 연무질로 감염되어 결핵을 일으킴. Mycobacterium leprae(나균)는 인공배지에서 배양되지 않으며 피부와 신경에 감염됨. Actinomyces israelii는 무산소성 나뭇가지 모양 막대균으로 치아 주위에 서식하며 방선균증을 일으킴. Nocardia asteroides는 토양에서 서식하며 면역억제 환자에게 감염되기 쉬움.
-
3.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Escherichia coli(대장균)는 조건적 무산소성 그람음성 막대균으로 비뇨기 감염과 식중독을 일으킴. Salmonella Typhi(장티푸스균)는 결장에 서식하며 분변-구강 경로로 감염되어 고열과 두통을 유발함. Shigella(이질균)는 비운동성이며 집단생활 어린이에게 주로 감염됨. Klebsiella pneumoniae(폐렴막대균)는 상부호흡기에서 폐렴을 일으킴. Yersinia pestis(흑사병균)는 야생설치류의 벼룩에 물려 감염되며 흑사병을 일으킴.
-
4. 항생제 치료 및 예방그람양성균은 주로 Penicillin에 감수성이며 일부는 Cephalosporin 사용. 결핵균은 isoniazid, rifampin, ethambutol 등 2가지 이상의 약제를 6~9개월 투여. 나균은 Dapsone 주로 사용. 장내세균은 ampicillin, sulfonamide, cephalosporin 등 사용하며 항생제 감수성 시험 필요. 흑사병균은 streptomycin 단독 또는 tetracycline과 함께 투여하며 72시간 격리 필요.
-
1. 그람 양성 막대균그람 양성 막대균은 의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병원체 그룹입니다. Bacillus, Clostridium, Listeria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식중독, 상처 감염, 신경계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합니다. 특히 Clostridium difficile은 항생제 관련 설사의 주요 원인이며, Bacillus anthracis는 탄저병의 원인균으로 공중보건 위협이 됩니다. 이들 균의 포자 형성 능력은 환경 저항성을 높여 감염 관리를 어렵게 만듭니다. 따라서 정확한 동정과 항생제 감수성 검사가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
2. Mycobacteria와 ActinomycetesMycobacteria와 Actinomycetes는 독특한 세포벽 구조로 인해 임상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입니다. Mycobacterium tuberculosis는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사망을 초래하는 주요 병원체이며, 다제내성 결핵의 증가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Actinomycetes는 만성 감염을 일으키며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두 그룹 모두 느린 성장 속도와 특수한 배양 요구 조건으로 인해 실험실 진단이 도전적입니다. 이들에 대한 이해는 감염 질환 관리에 필수적입니다.
-
3.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장내세균과는 인간 장내 정상 세균총의 일부이지만 기회감염 병원체로도 작용합니다. E. coli, Salmonella, Shigella, Klebsiella 등은 요로감염, 패혈증, 식중독 등 다양한 감염을 유발합니다. 특히 다제내성 균주의 증가는 항생제 치료 선택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들 균은 빠른 성장과 쉬운 배양으로 임상 진단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지만, 정확한 동정과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감염 예방과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합니다.
-
4. 항생제 치료 및 예방항생제는 감염성 질환 치료의 핵심이지만,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한 내성 균주의 증가는 심각한 공중보건 위협입니다. 올바른 항생제 선택, 적절한 용량과 투여 기간 준수는 치료 효과를 높이고 내성 발생을 줄입니다. 예방적 항생제 사용은 수술 후 감염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불필요한 사용은 피해야 합니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른 맞춤형 치료와 감염 관리 지침 준수가 중요합니다. 항생제 내성 대응은 개인 의료 차원을 넘어 국가적, 국제적 차원의 협력이 필요한 과제입니다.
-
Bacterial Staining & 선택배지에 의한 특정세균의 동정 7페이지
Bacterial Staining &선택배지에 의한 특정세균의 동정Ⅰ. Introduction1. 실험원리1) 균주-Bacillus subtilus: 고초균(Bacillus subtilis)은 대표적인 그람 양성 세균이다. 그람 음성 세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와 함께 생물학 실험에서 많이 쓰인다. Bacillus 속의 유명 종으로는 탄저균(Bacillus anthracis)이 있다. 길쭉하게 막대기처럼 생겨서(rod-shaped) 간균의 일종이다. 흙, 공기, 물 등에 살며 일반적으로는 비병원성이다.-Escher...2022.06.30· 7페이지 -
항생물질 감수성 시험법 8페이지
1. 작성일자2. 실험자 :3. 실험제목 : 항생물질 감수성 시험법4. 실험목적 : 병원성 세균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여부를 디스크 확산법에 의하여 확정한다.5. 실험원리 :항생물질 감수성 검사 (Antimicrobial sensitivity testing)의 목적은 환자의 검체로부터 질병의 원인균을 검출하여 세균 동정과 동시에 향균제 감수성 검사를 하여 감염증 치료에 필요한 항생제를 선택하는 데에 있다.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통해 항생제의 역가, 순도, 함량을 측정할 수 있는데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검정법인 확산법을 이용한다...2021.06.20· 8페이지 -
미생물 관찰 결과레포트 4페이지
미생물 관찰1. 실험 제목 : 미생물 관찰2. 실험 목표 :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현미경하에서만 내부나 외부 구조의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관찰을 통해 미생물의 모양과 특징을 알아본다.3. 실험 결과대장균의 관찰(TIMES 400배로 관찰. 대물TIMES 40, 접안TIMES 10): 긴 원통 모형을 가지고 있음.효모의 관찰(TIMES 100배로 관찰. 대물TIMES 10, 접안TIMES 10): 메틸렌블루 염색약에 의해 염색됨.서로서로 모여 있으며, 흩어져있는 것은 죽은 것으로 생각됨.곰팡이의 관찰(TIMES 100배로 ...2020.01.30· 4페이지 -
[미생물실험]항생제 감수성 9페이지
항생제 감수성-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1. 실험 목적가. 항생제를 이용하여 원판 확산법 실험을 해봄으로써 특정 세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을 이해한다.나. 임상 실험에서는 환자의 검체로부터 질병의 원인균을 검출하여 세균 동정과 동시에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하여 감염증 치료에 필요한 항생제를 선택하기도 한다.2. 실험 이론 및 원리가. 항생제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산물로서 소량으로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물질(항생물질)을 추출, 정제 가공하여 특정 병원체를 정균 또는 살균하도록...2015.05.24· 9페이지 -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유용물질의 종류, 특성 및 생산방법에 대한 조사 14페이지
미생물공학-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유용물질의종류, 특성 및 생산방법에 대한 조사(의약품 산업, 정밀화학공업(화장품), 식품산업)-1. 미생물이란?2.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유용물질(1) 의약품 산업① 종류② 특성③ 생산방법(2) 정밀화학공업(화장품)① 종류② 특성③ 생산방법(3) 식품산업① 종류② 특성③ 생산방법3. 참고문헌1. 미생물이란?미소한 현미경적 크기의 생물에 대한 일반적인 총칭. 원핵생물에 속하는 세균·방선균·남조, 진핵생물의 곰팡이·효모·버섯 등의 균류, 단세포조류·원충 등이 포함된다. 세균처럼 0.6~0.8μm×1.0~...2011.12.23· 1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