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CU 다빈도 질환 3가지/ 다빈도 의학용어
본 내용은
"
SICU 다빈도 질환 3가지/ 다빈도 의학용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9
문서 내 토픽
-
1. 만성 신장 질환 (Chronic kidney disease)만성 신장 질환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신장기능의 상실로 정의되며, 주요 원인으로는 당뇨병, 고혈압, 만성 사구체 신염 등이 있다. 병태생리적으로는 사구체 여과율 감소, 전해질 불균형, 빈혈 등의 변화가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 소변검사, 혈액검사, X선 검사 등이 활용된다. 치료는 약물요법, 영양요법, 투석, 신장이식 등으로 이루어진다.
-
2.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 (Mitral insufficiency)승모판막 폐쇄 부전증은 심장의 수축기 동안 승모판막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는 상태이다. 주요 원인은 노령에 따른 퇴행성 변화이며, 병태생리적으로는 좌심실 용적 과부하와 심박출량 감소가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청진, 심장 초음파, 혈관 조영술 등이 활용되며, 증상으로는 전신 쇠약감, 호흡곤란 등이 있다. 치료는 내과적 관리와 외과적 수술이 이루어진다.
-
3. 감염성 심내막염(Infective endocarditis)감염성 심내막염은 심장 내막에 세균이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로, 주요 원인균은 황색포도상구균, 녹색연쇄상구균 등이다. 선천성 심질환, 판막질환, 인공판막 치환술 등의 위험요인이 있으며, 병태생리적으로는 혈전 형성과 색전증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혈액배양검사, 청진, 흉부X선 검사 등이 활용되며, 증상으로는 발열, 식욕감퇴, 호흡곤란 등이 있다. 치료는 항생제 요법과 수술 요법으로 이루어진다.
-
1. 만성 신장 질환 (Chronic kidney disease)만성 신장 질환은 신장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 신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질환이 진행되면 부종, 피로감, 식욕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결국 말기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중요하며, 원인 질환의 적극적인 치료와 함께 식이 요법, 운동, 약물 치료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말기 신부전에 이른 경우 투석이나 신장 이식 등의 치료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만성 신장 질환은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지만,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를 통해 질병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와 의료진의 지속적인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
2.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 (Mitral insufficiency)승모판막 폐쇄 부전증은 승모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는 심장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선천적 요인, 심장 질환, 외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경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질환이 진행되면 호흡 곤란, 피로감, 부정맥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의 치료는 원인 질환의 치료, 약물 요법, 수술적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특히 증상이 심각해지거나 심장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지만, 진행 정도에 따라 예후가 다양하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
3. 감염성 심내막염(Infective endocarditis)감염성 심내막염은 심장 내막에 세균 감염이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주로 심장 판막 질환, 정맥 주사 사용, 치과 시술 등과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초기에는 발열, 피로감, 체중 감소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질환이 진행되면 심장 판막 손상, 심부전, 뇌 합병증 등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염성 심내막염의 치료는 신속하고 적극적인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이며,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예방적 항생제 투여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 질환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예후를 개선할 수 있지만, 여전히 높은 사망률을 보이므로 예방과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