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성인간호케이스] 내과계 ERCP 담관염 레포트 2022년 자료
본 내용은
"
[A+성인간호케이스] 내과계 ERCP 담관염 레포트 2022년 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8
문서 내 토픽
-
1. 담낭담낭은 7~10cm 정도의 크기로 서양배 모양이며, 간의 아래쪽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합니다. 담낭에서 나온 담낭관은 간의 간관과 합쳐져 총담관을 이루며, 총담관의 담즙은 오디조임근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들어갑니다. 담낭은 담도계의 중요한 조절기관으로 담즙의 농축, 저장, 배설을 조절합니다.
-
2. 담즙담즙은 간소엽세포에서 생성되며, 약알칼리성의 진한 황녹색입니다. 담즙은 지방의 소화를 돕는데 필요하며, 간에서 생성된 후 담낭 안에 저장됩니다. 식사 시 담낭은 수축되어 총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담즙을 배출하게 되고, 담즙을 통해 음식물의 소화를 도와줍니다.
-
3. 담관담관에는 간관, 담낭관, 총담관이 있습니다. 간관은 간 밖으로 담즙을 나르는 관이며, 담낭관은 담낭 안팎으로 담즙을 나르는 관입니다. 총담관은 담낭관과 간관으로부터 담즙을 십이지장까지 나르는 관입니다.
-
4. 담석담석은 담낭에 저장된 액체가 돌조각 같은 물질로 단단히 굳어져서 형성되는 것입니다. 담석은 담낭 담석, 총담관 담석, 간내 담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담낭 담석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
5. 담석증담석증은 담석이 만들어져 담낭에만 머무르고 있는 상태입니다. 80%의 환자는 담석이 담낭에 남아 있을 경우 수년 동안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
6. 담낭염담낭염은 담낭의 염증으로 담낭관을 차단하는 담석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급성담낭염은 갑자기 시작되어 상복부에 극심하게 지속되는 통증을 초래하며, 95%는 담석이 있습니다. 만성담낭염은 장기간 지속된 담낭의 염증으로, 일반적으로 담석으로 인한 급성 염증의 재발로 담낭이 손상되고 담낭벽이 비후해지며 반흔이 발생합니다.
-
7. 담관염담관염은 어떤 원인으로 담관이 폐쇄되어 담즙의 흐름이 막혀 염증으로 발병하는 것입니다. 가장 많은 원인은 담낭의 담석이 담관을 막아 생기는 것입니다.
-
1. 담낭담낭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하는 역할을 합니다. 담낭은 소화 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며, 담즙의 분비와 배출을 조절하여 지방 소화를 돕습니다. 담낭에 문제가 생기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담석증입니다. 담낭 질환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며, 심각한 경우 담낭 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담낭의 건강을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단,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
-
2. 담즙담즙은 간에서 생성되어 담낭에 저장되다가 식사 시 소화 과정에 분비되는 중요한 체액입니다. 담즙은 지방 소화와 흡수를 돕고, 담즙산을 통해 콜레스테롤 배출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담즙은 장내 세균 증식을 억제하고 장 운동을 촉진하는 등 장 건강에도 기여합니다. 담즙 분비 장애나 담즙 정체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다양한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담즙의 정상적인 생성과 배출을 위해서는 간 건강과 담도계 기능 유지가 중요합니다.
-
3. 담관담관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담낭으로 운반하고, 식사 시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담관에는 총담관, 간담관, 담낭관 등이 포함되며, 이들 담관의 기능 장애나 폐쇄는 다양한 담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담관 질환으로는 담관암, 담관 결석, 담관염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해 황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담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영상 검사, 내시경 검사, 수술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됩니다. 담관 건강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건강검진과 생활 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
4. 담석담석은 담즙 성분이 과도하게 농축되어 생성되는 결정체로, 담낭이나 담관에 생길 수 있습니다. 담석은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복통, 구토, 황달 등이 있습니다. 담석증은 비만, 임신, 고지혈증, 당뇨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담석 치료로는 약물 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내시경 치료, 수술 등이 있습니다. 담석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체중 관리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
-
5. 담석증담석증은 담낭이나 담관에 담석이 생성되는 질환입니다. 담석증의 주요 원인은 담즙 성분의 불균형으로, 콜레스테롤이나 빌리루빈 등이 과도하게 농축되어 결정화되면서 담석이 형성됩니다. 담석증은 복통, 구토, 황달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담낭염, 담관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담석증 치료로는 약물 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내시경 치료, 수술 등이 있으며,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체중 관리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
-
6. 담낭염담낭염은 담낭의 염증성 질환으로, 주요 원인은 담석증입니다. 담낭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며, 급성 담낭염은 갑작스러운 복통, 구토, 발열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만성 담낭염은 지속적인 복통, 소화 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담낭염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데, 약물 치료, 내시경 치료, 수술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담낭염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체중 관리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
-
7. 담관염담관염은 담관의 염증성 질환으로, 주요 원인은 담석증, 종양, 감염 등입니다. 담관염은 황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심각한 경우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담관염 치료를 위해서는 항생제 투여, 내시경 치료, 수술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담관염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체중 관리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하며,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