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근콘크리트 시공관리] 철근콘크리트공사의 열화현상 및 보수, 보강대책에 대하여 논하시오
본 내용은
"
철근콘크리트 시공관리] 철근콘크리트공사의 열화현상 및 보수, 보강대책에 대하여 논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4
문서 내 토픽
-
1. 철근 콘크리트 공사의 열화철근 콘크리트 공사의 열화란 콘크리트가 시공된 후 건물의 성능이 저하되어서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현상을 뜻한다. 열화는 크게 콘크리트품질 자체의 저하에 의한 것과 콘크리트 내 철근 부식에 의한 것이 있으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게 된다. 중성화, 염해, 동해융결, 알칼리골재 반응 등이 대표적인 열화 현상이다.
-
2. 중성화중성화는 콘크리트 중 세공(細孔)용액의 pH가 저하하는 것으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콘크리트에 침입하여 수산화칼슘 등 시멘트 수화물과 탄산화 반응을 일으켜 발생한다. 이로 인해 강재의 부식으로 균열 발생, 피복의 박락, 내하력 저하가 야기된다.
-
3. 염해염화물 이온이 콘크리트 속의 강재부식을 일으켜 중성화처럼 균열, 피복의 박락, 내하력 저하 등을 야기한다. 중성화와 다른 점은 염해로 공식(孔蝕)이 발생하며 부식속도가 빠르다는 점이다.
-
4. 동해융결콘크리트 중 수분이 동결팽창하여 발생하며 동결과 융해가 반복되면서 서서히 열화한다. 동해를 입은 구조물의 콘크리트 표면에는 스케일링, 미세균열, pump out과 같은 형태의 열화가 일어난다.
-
5. 알칼리골재 반응실리카 광물이나 탄산암염을 포함한 골재는 콘크리트 중의 높은 알칼리성 수용액과 반응, 콘크리트를 팽창시켜 균열을 일으키는데 이것을 알칼리 골재 반응이라고 한다. 알칼리실리카 반응(ASR)과 알칼리 탄산염암 반응의 2가지가 있는데 주로 ASR이 보고 되고 있다.
-
6. 보수·보강 대책열화 대책의 기본으로는 반응성 골재 대책, 적절한 단위 시멘트량 및 공기량 확보, 단위 수량 감소, 고성능 혼화재 사용 등이 있다. 결합재의 성질을 변화시켜 열화 인자의 침입을 억제하거나 내구성을 높이는 수법, 수지함침 콘크리트 등의 사용, 자기충전 콘크리트 및 프리캐스트화로 고내구성화 등의 방법이 있다.
-
1. 철근 콘크리트 공사의 열화철근 콘크리트 공사의 열화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와 안전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열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중성화, 염해, 동해융결, 알칼리골재 반응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열화 현상은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을 저하시키며, 결국 구조물의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 공사의 열화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설계와 시공, 정기적인 점검 및 보수·보강 대책 수립이 필요합니다. 또한 열화 원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중성화중성화는 콘크리트 내부의 알칼리성이 감소하여 철근의 부식을 유발하는 주요 열화 현상입니다. 이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발생하며, 콘크리트의 품질, 배합, 피복 두께 등에 따라 진행 속도가 달라집니다. 중성화가 진행되면 철근의 부식이 가속화되어 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성화 방지를 위해서는 적절한 콘크리트 배합 설계, 충분한 피복 두께 확보, 균열 방지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보강 작업을 통해 중성화 진행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입니다.
-
3. 염해염해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염분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열화 현상입니다. 주로 해안 지역이나 겨울철 도로 염화물 사용 지역에서 문제가 발생하며, 염분이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철근의 부식을 유발합니다. 염해로 인한 철근 부식은 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해 방지를 위해서는 내염성이 높은 콘크리트 배합 설계, 충분한 피복 두께 확보, 표면 보호 처리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보강 작업을 통해 염해 진행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입니다.
-
4. 동해융결동해융결은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동결과 융해를 반복하면서 발생하는 열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에 균열이 발생하고 강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동해융결은 주로 겨울철 한랭 지역에서 문제가 발생하며, 콘크리트의 배합, 양생 방법, 기후 조건 등에 따라 진행 속도가 달라집니다. 동해융결 방지를 위해서는 내동성이 높은 콘크리트 배합 설계, 적절한 양생 관리, 표면 보호 처리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보강 작업을 통해 동해융결 진행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입니다.
-
5. 알칼리골재 반응알칼리골재 반응은 콘크리트 내부의 알칼리 성분과 골재 내 특정 광물 성분 간의 화학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에 팽창성 gel이 생성되어 균열이 발생하고 강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알칼리골재 반응은 콘크리트 배합, 골재 종류, 환경 조건 등에 따라 발생 가능성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알칼리골재 반응 방지를 위해서는 알칼리 함량이 낮은 시멘트 사용, 반응성 골재 배제, 혼화재 사용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보강 작업을 통해 알칼리골재 반응 진행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입니다.
-
6. 보수·보강 대책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 현상에 대한 효과적인 보수·보강 대책은 매우 중요합니다. 열화 원인에 따라 적절한 보수·보강 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점검과 정밀 진단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보수·보강 방법으로는 균열 보수, 표면 보호 처리, 부식 철근 교체, 단면 보강 등이 있습니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내구성 향상을 위한 설계 및 시공 기준 개선, 유지관리 체계 강화 등의 대책도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