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_ 부모교육 시나리오_Q&A 골수염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_ 부모교육 시나리오_Q&A 골수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08
문서 내 토픽
  • 1. 골수염의 원인
    골수염은 호흡기 감염, 발치, 중이염 등과 같은 내적 요인이나 상처, 수술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박테리아가 혈액을 통해 뼈로 침투해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Staphylococcus aureus이며, 그 외 Streptococcus pyogenes, Hemophilus influenza, E. coli도 골수염을 발생시킵니다.
  • 2. 골수염의 생리적 변화
    골수염은 허벅지뼈(대퇴) 또는 정강이뼈(경골) 등과 같은 긴 뼈의 골간단에 발생합니다. 혈액을 통해 골간단의 작은 모세혈관에 박테리아가 침범한 후 모세혈관이 파괴되고 농양을 형성하는데, 관절로 퍼지지는 못하고 뼈의 피질과 수질로 확산됩니다. 혈액공급이 차단되면서 괴사된 조직이 형성되고, 새로운 뼈가 괴사된 조직의 사골 주위에 발생하면서 염증 과정은 계속됩니다.
  • 3. 골수염의 치료
    병원균 배양 검사를 하게되는데 그 결과를 근거로 정맥으로 항생제 치료를 하게 될 거예요. 항생제 투여기간이 길고 고용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항생제의 혈청 내 수준을 세심하게 점검하며 신장과 간기능을 측정하고, 골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세포를 검사할겁니다. 농양이 형성되어 있고 항생제에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 농양을 배액하고 괴사된 조직과 사골을 제거하기 위한 외과적 시술이 필요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골수염의 원인
    골수염은 뼈 내부의 골수 조직에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세균 감염, 외상, 수술 후 합병증 등이 있습니다. 세균 감염의 경우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대장균 등이 주요 원인균이며, 이들이 혈류를 통해 뼈로 전파되거나 직접 뼈에 침투하여 감염을 일으킵니다. 외상의 경우 골절이나 관절 손상 등으로 인해 세균이 뼈 내부로 침투할 수 있으며, 수술 후에도 수술 부위 감염으로 인해 골수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당뇨, 면역 저하 등의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골수염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골수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외상 및 수술 시 철저한 감염 관리와 기저 질환 관리가 중요합니다.
  • 2. 골수염의 생리적 변화
    골수염이 발생하면 뼈 내부의 골수 조직에 다양한 생리적 변화가 나타납니다. 첫째, 감염 부위에 염증 반응이 일어나 부종, 발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둘째, 감염 부위의 혈류 공급이 감소하여 조직 괴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셋째, 감염 부위의 골 파괴가 진행되어 뼈의 구조적 약화와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넷째, 감염이 지속되면 골수 내 농양 형성, 골수강 확장, 골 경화 등의 변화가 나타납니다. 이러한 생리적 변화로 인해 골수염 환자들은 심각한 통증, 기능 장애, 합병증 발생 위험 등을 겪게 됩니다. 따라서 골수염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3. 골수염의 치료
    골수염의 치료는 감염 원인 제거, 항생제 투여, 수술적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첫째, 감염 원인 제거를 위해 감염 부위의 농양 배출, 괴사 조직 제거, 금속 내고정물 제거 등의 수술적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둘째, 항생제 치료는 감염 원인균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여 투여합니다. 장기간의 정맥 항생제 투여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셋째, 수술적 치료와 항생제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외에도 고압 산소 치료, 골 이식술 등의 보조적 치료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골수염 치료는 장기간 지속되며 재발 위험이 높아 환자의 순응도와 지속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골수염 치료에는 다학제 팀 접근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