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학과 생리학] 생리학 시험대비 근육 정리본
본 내용은
"
[간호학과 생리학] 생리학 시험대비 근육 정리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31
문서 내 토픽
-
1. 뼈대근육 (골격근)뼈대근육(골격근)은 근원섬유, 근섬유, 근형질, 근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신경-근 접합을 통해 아세틸콜린이 분비되어 근수축이 일어나며, 액틴과 미오신 필라멘트의 활주 기전에 의해 수축이 발생합니다. 수축과 이완 과정에서 칼슘 이온의 농도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민무늬근 (평활근)민무늬근(평활근)은 단핵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불수의근입니다. 수축 과정에서 칼슘 이온이 칼모둘린과 결합하여 미오신 경쇄 키나아제를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미오신 머리가 인산화되어 액틴과 결합하여 수축이 일어납니다. 민무늬근은 골격근에 비해 수축 속도가 느리지만 오랜 시간 수축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
3. 심근심근은 다핵융합세포로 구성된 수의근(횡문근)입니다. 심근의 수축과 이완은 골격근과 유사한 기전으로 일어나지만, 자율신경의 조절을 받아 리듬성 수축을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1. 뼈대근육 (골격근)뼈대근육(골격근)은 우리 몸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가장 중요한 근육 조직입니다. 이 근육들은 뼈와 연결되어 있어 뼈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우리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해줍니다. 뼈대근육은 수의적으로 조절되며, 우리가 의식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줍니다. 이 근육들은 신경계의 지시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우리가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뼈대근육은 우리 몸의 자세와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뼈대근육은 우리 몸의 기본적인 움직임과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인 조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민무늬근 (평활근)민무늬근(평활근)은 우리 몸의 내부 기관에 분포하여 자율적으로 작용하는 근육 조직입니다. 이 근육들은 의식적으로 조절되지 않으며, 자율신경계의 지시에 따라 작용합니다. 민무늬근은 소화기관, 호흡기관, 비뇨기관 등 내부 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위장관의 연동운동, 방광의 수축과 이완, 혈관의 수축과 이완 등이 민무늬근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이처럼 민무늬근은 우리 몸의 자율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조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민무늬근은 스트레스나 질병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심근심근은 심장을 구성하는 근육 조직으로,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인 심장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심근은 자발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여 심장의 박동을 유지하며, 이를 통해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킵니다. 심근은 골격근과 달리 자율신경계의 지시에 따라 작용하며,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없습니다. 심근의 수축력과 박동 리듬은 우리 몸의 건강과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심근의 기능 저하나 질병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심근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근육 조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