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기소재실험2_TGA
본 내용은
"
유기소재실험2_TG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01
문서 내 토픽
-
1. TGA 원리 및 특성TGA는 열로 인한 시료의 화학적, 물리적 변화로 생기는 무게변동을 시간과 온도에 따라 관찰하는 장비입니다. 기본적으로 상온~1200℃에서 시료의 구성 성분을 결정하거나, 열적 안정성을 검사하는데 사용됩니다. 보통 무게 감소를 측정하나 무게 증가도 측정 할 수 있습니다. 분해, 승화, 환원, 탈착, 흡수, 증발과 같은 질량변화를 수반하는 현상들은 TGA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
2. TGA 응용분야TGA는 물질의 상전이 및 상태도 연구, 조성분석, 시료 속의 수분 및 휘발성 성분 측정, 무기물, 유기물 및 고분자의 열분해, 고체상태 반응, 액체의 증발과 승화 및 그 속도 측정, 물질의 열분해, 탈수와 흡수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
3. 실험 목적온도변화에 따라 시료의 탈수, 분해, 산화 등에 의한 중량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입니다.
-
4. 실험 방법시료 준비, TGA 사용법 등 실험 절차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
5. 실험 결과 및 고찰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시료 1과 시료 2의 분해 온도 및 비율을 분석하였습니다. 시료 1은 300~350도 사이에서, 시료 2는 400~450도 사이에서 분해되었으며, 각 시료의 비율은 시료별로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
1. TGA 원리 및 특성TGA(Thermogravimetric Analysis)는 물질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는 기술로, 온도 변화에 따른 물질의 질량 변화를 측정하여 물질의 구성 성분, 열 안정성, 분해 온도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TGA 분석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온도 변화에 따른 물질의 질량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어 물질의 열적 거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둘째, 미량의 시료로도 분석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산화, 환원, 불활성 등)에서 실험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셋째, 물질의 열 안정성, 분해 온도, 수분 함량 등을 파악할 수 있어 물질의 열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TGA의 원리와 특성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
2. TGA 응용분야TGA 분석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첫째, 고분자 및 복합재료 분야에서 열 안정성, 열분해 거동, 충전제 함량 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둘째, 무기 재료 분야에서 세라믹, 촉매, 광물 등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셋째, 의약품 및 화장품 분야에서 원료 및 제품의 열 안정성, 수분 함량 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넷째, 에너지 분야에서 연료 및 배터리 재료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다섯째, 환경 분야에서 토양, 퇴적물, 폐기물 등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처럼 TGA 분석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물질의 열적 특성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3. 실험 목적이 실험의 목적은 TGA 분석을 통해 특정 물질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물질의 열 안정성을 평가하여 사용 온도 범위를 파악합니다. 둘째, 물질의 열분해 거동을 분석하여 주요 성분 및 함량을 확인합니다. 셋째, 물질의 수분 함량 및 휘발성 성분을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넷째, 물질의 열적 특성을 바탕으로 적용 분야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합니다. 이를 통해 해당 물질의 열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향후 활용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입니다.
-
4. 실험 방법이 실험에서는 TGA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특정 물질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습니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일정량의 시료를 TGA 장비에 장착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승온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둘째, 온도 범위는 상온에서 800°C까지 설정하였으며, 승온 속도는 10°C/min으로 하였습니다. 셋째, 시료의 질량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TGA 곡선을 얻었습니다. 넷째, TGA 곡선을 분석하여 물질의 열 안정성, 열분해 온도, 수분 함량 등을 파악하였습니다. 다섯째, 추가적인 분석(예: DTG, DTA 등)을 통해 물질의 열적 특성을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하였습니다. 이러한 실험 방법을 통해 해당 물질의 열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
5. 실험 결과 및 고찰이 실험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 및 고찰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TGA 분석 결과, 해당 물질은 약 300°C 부근에서 열분해가 시작되어 800°C까지 지속적인 질량 감소가 관찰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이 물질의 열 안정성은 약 300°C 이하로 확인되었습니다. 둘째, 열분해 과정에서 약 10%의 수분 및 휘발성 성분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해당 물질의 수분 함량 및 휘발성 특성을 보여줍니다. 셋째, DTG 분석 결과, 약 400°C와 600°C 부근에서 두 개의 주요 열분해 단계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물질의 복합적인 열분해 메커니즘을 시사합니다. 넷째, DTA 분석 결과, 약 350°C와 550°C 부근에서 흡열 피크가 관찰되어 주요 열분해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해당 물질은 약 300°C 이상에서 열적 안정성이 낮아지며, 복합적인 열분해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 정보는 해당 물질의 사용 온도 범위 설정, 열처리 공정 개선, 열 안정성 향상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
구리 이온과 피라진으로 구성된 배위 고분자의 합성 예비1. 구리 이온 구리는 4주기 11족에 해당하는 전이금속으로, [Ar] 4s1 3d10의 전자 배치를 가진다. Cu2+ 이온의 상태에서는 [Ar] 3d9의 전자 배치를 가진다. high-spin과 low-spin의 경우에 동일한 전자 배치를 가지기 때문에 리간드 장의 세기에 관계없이 1개의 홀전자를 가진다. 2. 피라진 피라진은 2개의 질소 원자를 가지는 ...2025.05.09 · 자연과학
-
A+레포트 PMMA 결과 레포트 - 특성 및 물성, 활용, 정제 및 중합 레포트(총 18페이지)1.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MMA는 투명한 열가소성 소재이다. 화학적으로 PMMA는 methyl methacrylate(MMA)을 Monomer로 하여 공중합하여 생산된다. PMMA는 내화학성, 경량성, 내변형성, 내열성, 절연성, 열전도율 등의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유기유리, 조명, 자동차, 건축재료, 일용품, 기...2025.01.18 · 공학/기술
-
중공실 emulsion 중합 결레1. 유화중합 메커니즘 유화중합의 메커니즘은 입자 기핵, 입자 성장, 입자 성장 종결로 3단계로 나뉨. 입자 기핵 단계에서는 중합시간과 입자수와 중합속도가 증가하며, 입자 반지름이 커짐에 따라 고분자 입자들은 수용액상에 녹아 있는 유화제의 흡착으로 안정화한다. 입자 성장 단계에서는 고정된 수의 입자들이 주위의 단량체 방울들로부터 단량체를 일정하게 공급받으면...2025.01.13 · 공학/기술
-
[A+ 레포트] PVAc PVA 중합 결과레포트(기기분석 내용 포함) 15페이지 레포트1. PVAc의 역사 Polyvinyl acetate는 1912년 독일에서 Fritz Klatte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PVAc의 monomer인 vinyl acetate는 처음 상업적으로 생산되었는데 아세틸렌 수은 염에 아세트산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생산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팔라듐으로 만들어지는데 그 팔라듐은 에틸렌에 아세트산의 산화 첨가 촉매화된 것이다...2025.01.19 · 공학/기술
-
폴리스티렌겔의 합성 예비레포트1. 폴리스티렌 겔 폴리스티렌 겔의 구조는 폴리스티렌의 벤젠치환기가 link역할을 하면서 crosslink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SEM을 이용하여 찍어보면 비드 형태를 하고 있다. 이는 폴리스티렌과 다이비닐벤젠의 공중합에 의해 형성된 가교고분자인데 이 중합을 가교 공중합이라한다. 공중합에 의한 network구조는 모노 폴리머겔에 비해 반응조절이 쉽고, 스티...2025.01.23 · 공학/기술
-
에폭시 수지의 합성방법, 분자구조 및 분석결과 예상 (Bisphenol A, Epichlorohydrin)1. 에폭시 수지 합성 본 실험에서는 비스페놀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에폭시 수지를 합성하고 생성 반응을 이해한다. 에폭시 수지는 일반적으로 히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는다. 가장 간단한 예로 2몰의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비스페놀A 1몰을 반응시키면 diepoxide가 생성된다. diepoxide를 비스페놀A와 적당...2025.01.20 · 공학/기술
-
숭실대 고분자 점탄성 결과레포트 4페이지
고분자 점탄성-결과보고서-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과목명신소재공학실험1조반조원지도교수담당조교학번제출일이름1. 실험 제목 : 고분자 점탄성2. 실험 날짜 : 2021년 5월 13일 (목요일)3. 실험 목적 : DMA를 사용하기 위한 과정을 이해한다. DMA를 이용해 제조한 film의 물리적 거동을 이해하고 데이터를 통해 특성을 분석한다.4. 시약 및 기기 : PVAc/PLA blend film, DMA5. 실험 방법1) PVAc@PLA film을 6mm X 22mm로 자른다.2) film 두께를 측정한다.3) DMA Clamp에...2022.05.17· 4페이지 -
숭실대 고분자 열적물성 결과 레포트 4페이지
고분자 열적물성-결과보고서-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사진과목명신소재공학실험1조반조원지도교수담당조교학번제출일이름1. 실험 제목 : 고분자 열적물성2. 실험 날짜 : 2021년 4월 27일 (목요일)3. 실험 목적 : 열분석 기기(DSC/TGA)를 사용하여 시료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분석해본다.4. 시약 및 기기 : PVAc/PLA blend film, Sample crimper press, TGA cell, Aluminium sample pan & liq5. 실험 방법1) 쿨러를 키고 질소 가스를 연다.2) 필름을 셀에 올려 ...2022.03.27· 4페이지 -
[A+] 중합공학실험2 Synthesis of PVA 합성 실험 결과레포트 5페이지
1) 실험 목적PVA의 생성 반응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그 합성법을 습득한다가수분해 반응에 대해 이해한다2) 실험 원리열가소성 고분자(Thermoplastic polymer)열을 가해주면 다시 용융 상태로 돌아가는 열가소성 고분자는 사출이나 압출과 같은 공정을 통해 형태를 재변형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열가소성 고분자는 반결정 혹은 비결정질 상태에 머물러 annealing 처리를 해도 결정화를 거치지 않는다. 다시 말해 Solid phase까지 냉각을 시키더라도 완벽하게 결정화를 거치지 못하고 최대 반결정성 상태로만 머물 수 있다는...2022.12.23· 5페이지 -
조선대 PET 합성 고분자화학실험 11페이지
실험주제(Title)Polyethylene terephthalate(PET)합성실험목적Terephthaloyl chloride와 Ethylene glycol을 용액중합으로 중축합하여 PET을 합성하고 그 합성을 확인한다.실험이론-PET의 역사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열가소성 포릴에스터 수지 중에서도 대표적인 수지이다. 폴리에스터는 나일론과 같은 축중합 반응에 의하여 고분자 물질을 얻는다. 영국 J.R Whinfield가 1941년에 Ethylene Glycol과 Terephthalic acid로 부...2022.07.06· 11페이지 -
구리 이온과 피라진으로 구성된 배위 고분자의 합성 예비 13페이지
무기화학실험예비보고서[실험명]구리 이온과 피라진으로 구성된배위 고분자의 합성실험목표━━━━━━━━━━━━━━━━━━━━━━━━━━━━━━━━━━━━━━━━? 다리 리간드(bridging ligand)인 피라진이 Cu(Ⅱ) 이온과 배위 결합을 형성하면 단순한 착물(complex)이 아닌 배위 고분자를 합성할 수 있다.? 반응물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의 배위 고분자 화합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TGA를 통한 열분석으로 구조와 조성을 추정할 수 있다.이론━━━━━━━━━━━━━━━━━━━━━━━━━━━━━━...2021.01.02· 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