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류(Omphalocele) 간호과정
본 내용은
"
제류(Omphalocele) 간호과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2
문서 내 토픽
-
1. 제류(Omphalocele)제류(Omphalocele)는 복벽결손의 한 종류로 배꼽고리가 닫히지 않아 복강 내 기관이 양막으로 구성된 주머니에 싸여 제대의 기저부로 탈장되는 질환이다. 특징적 소견으로는 배꼽을 통해 중앙에서 튀어나오는 탈장소견이 있다. 제대 부위로는 장의 일부가 탈출할 수도 있고 소장, 위장, 간 등의 산발적 탈출이 일어날 수도 있다. 제류는 출생아 5000명 중 1명에 발생한다. 백인보다는 흑인에게 흔하며 만삭아보다는 미숙아 혹은 저체중출생아인 경우, 산모의 나이가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경우에 흔하다. 배꼽탈출을 가진 환자의 50-70%는 bowel atresia, cardiac anomaly, renal anomaly와 같은 동반 기형을 가지기도 한다.
-
2. 제류의 진단 및 임상특성제류는 출생 시 시진으로 진단하며 배꼽을 통해 중앙에서 튀어나오는 탈장소견이 있다. 경미한제류의 경우 발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대부분이 보통보다 커져 있으면 초음파 촬영 등으로 제류 여부를 확인한다. 산전 진단의 경우 AFP 산전 선별검사 혹은 산전 초음파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제류가 있을 경우 산모 혈청 AFP 증가가 관찰된다. Omphalocele mass로 인해 호흡곤란, 하지 허혈 증상(color change) 등이 있을 수 있다. 탈장낭이 파열되면 탈수, 체온저하, 감염의 징후 및 증상이 나타난다.
-
3. 제류의 치료 및 간호제류의 치료는 결손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주머니 안의 복강 내용물을 배 안으로 집어넣고, 주머니를 잘라내고 복벽을 봉합한다. 가능하다면 primary closure를 진행하지만 복강이 작거나 Omphalocele이 클 경우 일시적 저장고인 silo를 씌워 내용물이 천천히 복강 내로 들어가게 한다. 간호 시 수술 후 감염, 내장적출, 장폐색, 복부탈장 악화와 같은 합병증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복벽결손 부위에 무균적 거즈 드레싱이 필요하며 광범위한 항생제와 수액을 투여한다. 또한 복압을 완화하기 위해 비위관을 삽입하고 관리하며, 주기적으로 통증 유무와 위치, 양상을 사정하고 동반 기형의 유무를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
4. 실제 제공 간호노출된 장을 통해 열과 수분이 과다하게 소실되어 건조, 저체온증이 나타나는데 이를 예방하고 탈장낭을 보호하기 위해 생리식염수로 적신 패드나 거즈로 덮고 낭이 파열되지 않는 체위를 취하였다. 수술에 앞서 Omphalocele 받은 대상자의 체온 보존과 수분 소실을 막기 위해 정맥 내 수액을 투여하고 감염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수술 전 보호자에게 수술 전 금식을 교육하고 수술 동의서를 확인했으며, 드레싱을 이용해 노출된 주머니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감염의 징후를 관찰했다. 수술 후에는 비경구영양을 시행하고 체액의 균형을 유지하여 저혈량을 예방했으며, 수술 부위 삼출물의 배액 양상을 사정하고 배액으로 인해 젖은 시트를 갈아주었다.
-
5. 간호문제 도출1) 영양부족의 위험성: 낮은 prealbumin 수치와 환아 어머니의 식사 섭취 부족으로 인한 영양부족 위험이 있다. 2) 수술부위 감염의 위험: 높은 Lymphocyte 수치와 부모님의 부적절한 L-tube 관리, 환아의 의사소통 불가능으로 인한 수술 부위 통증 사정 부족으로 감염 위험이 있다. 3) 발달지연의 위험: 환아가 하루 종일 침대에 있고 장시간 가까이에서 모니터만 보고 있어 발달지연과 시력저하의 위험이 있다.
-
1. 제류(Omphalocele)제류는 태아의 복벽 발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선천성 기형으로, 태아의 복강 내 장기가 탯줄 기저부에 위치한 낭종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매우 심각한 선천성 기형으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류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2. 제류의 진단 및 임상특성제류는 산전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될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에서 복벽 결손과 함께 장기가 낭종 내에 포함된 소견이 관찰됩니다. 또한 제류는 다른 선천성 기형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임상적으로는 복벽 결손의 크기, 장기의 노출 정도, 동반 기형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류 환아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
3. 제류의 치료 및 간호제류의 치료는 복벽 결손의 크기와 동반 기형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작은 결손의 경우 수술적 교정이 가능하지만, 큰 결손이나 동반 기형이 있는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감염 예방, 수분 및 전해질 관리, 영양 공급 등의 집중적인 간호가 요구됩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성장 및 발달 모니터링, 재활 치료 등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제류 환아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간호가 매우 중요합니다.
-
4. 실제 제공 간호제류 환아에게 제공되는 실제 간호 활동으로는 감염 예방을 위한 무균술 준수, 수분 및 전해질 균형 유지를 위한 정맥 수액 관리, 영양 공급을 위한 경장 영양 관리, 피부 통합성 유지를 위한 상처 관리, 배변 관리, 통증 관리 등이 있습니다. 또한 성장 및 발달 모니터링, 재활 치료 연계, 가족 교육 및 지지 등의 간호 활동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간호 활동을 통해 제류 환아의 건강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5. 간호문제 도출제류 환아에게 발생할 수 있는 주요 간호문제로는 감염,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영양 불량, 피부 통합성 저하, 배변 장애, 통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제류의 병태생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적절한 간호 중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아의 건강과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류 환아에 대한 체계적인 간호 사정과 함께 이러한 간호문제를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선택임상실습1(아동간호학) NR/NICU case study_Omphalocele_탈장_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12페이지
신생아간호학Omphalocele 중환자 간호과정과 목 :선택임상실습1(신생아)실습 장소 :실습 기간 :제출 일자 :담당 교수 :학 번 :이 름 :Ⅳ. 간호사례 연구Ⅰ. 서론- 대상자 사례 -- 환아 산모 나이 40세이며 OO산부인과 ANC 받던 중 정밀초음파상에서 omphalocele, hydroaminos 있어 큰 병원 진료 권유받았다 하며 다른 특이 주산기력은 없던 산모로, 2019.01.23. 새벽에 PPROM 있어 OO병원 내원하였으나 NICU 자리 없어 본원 산부인과로 전원되어 bethametasone 1회 투여하였고 이후...2021.04.25· 12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 case study(제류, omphalocele), NICU case study 13페이지
간호과정 case study제류(Omphalocele)과목아동간호학실습실습장소전남대학교병원 NICU실습기간2015.05.11-2015.05.22담당교수학년/ 학번/ 이름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제류는 앞 복벽의 선천적 결손으로 인해 복강 내 기관이 양막과 복막에 싸여 제대의 기저부로 탈장되는 질환이다. 이것은 백인보다는 흑인에서 흔하며 만삭아 보다는 저체중 출생아와 미숙아에서 많다. 태아의 복벽결함은 배아시기의 기관발생 이상과 관련되어 있고 대부분의 제류는 산발적으로 발생하지만, 제류가 소장만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동반되...2016.10.03· 13페이지 -
신체사정 문헌고찰) 6페이지
아동간호학Ⅰ실습(신체사정 문헌고찰)평가항목문헌고찰(내용 채우기)Vital sign연령혈압맥박체온호흡수미숙아남: 73/55mmHg여: 65/55mmHg120~170회/분36.5~37℃40~70회/분신생아95~170회/ 분36.2~37.7℃30~50회/분Physical assessment:BW, HT, HC, CC, ACPhysiologic wt. lossGeneral appearance:posture, activity, cryingHT48-53cmBW3.4-3.6KgHC34-35cmCC두위보다 3cm 큼AC평균크기 35cm머리둘레는 ...2017.06.06· 6페이지 -
정상신생아케이스(A+) 31페이지
INDEXI. 서론 ................................................................... 3A. 연구의 필요성B. 문헌고찰1. 신생아기 성장과 발달2. 신생아 사정3. 신생아 간호Ⅱ. 본론 ................................................................... 20A. 환자소개1. History taking2. 대상자의 발달 정도3. 투약B. 간호과정Ⅲ.. 참고문헌 ........................................2017.06.10· 31페이지 -
정상신생아 케이스 19페이지
목 차Ⅰ. 서론.......................................................................................3A. 문헌고찰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Normal newborn baby (정상신생아)Ⅱ. 본론........................................................................................15B. 간호사정1. 간호사정2. 약물Ⅲ. 결론....................................2012.06.22· 1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