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경화 대상자 사례분석
본 내용은
"
간경화 대상자 사례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2
문서 내 토픽
-
1. 간 기능 저하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주관적 자료: 어지러움을 느낌. 객관적 자료: 1) V/S BP: 90/60mmHg, P: 110회/분 2) RBC 3.35/3.47/3.16/2.39 3) Hb 9.1/9.5/8.6/6.6 4) Hct 27.6/29.9/26.9/19.8 5) PT(INR) 1.53 6) aPTT 34 7) ESR 25/20/14/28 8) 혈변, 토혈 9) ALT 49/53 10) R-GTP 153/55 11) 초음파 촬영 결과: Alcoholic liver disease with hepatomegaly. 간호중재: - vital sign check q 6hour - I/O check q 8 hour - Botropase 2ml qd - Vitamin K1 AMP 10mg qd - stool exam - PRC 320mL 2 pack - 수혈 - 대변과 토물의 양과 색깔, 연속성 및 잠혈(occult blood) 정도를 사정 - v/s, I/O check: 저혈량 쇼크 징후 사정 - Vitamin K1 Amp 10mg - 구역질이나 구토는 문맥계 압력을 증가시켜 출혈을 악화시키므로 압력을 증가시키는 행위는 하지 않도록 교육
-
2. 간성 혼수주관적 자료: 어지러움을 느낌 객관적 자료: 1) Ammonia 156/134 2) total bilirubin 5.35/4.35 3) direct bilirubin 4.23/3.85 4) 사지의 움직임 느리고 지남력 저하가 관찰됨. 5) ALT 49/53 6) R-GTP 153/55 7) Albumin 2.32/2.69 8) 초음파 촬영 결과: Alcoholic liver disease with hepatomegaly. 간호중재: - lactulose enema - Ceftriaxone Vial. (1.0g/1V) - ammonia check - 저단백식이 제공 (20~30g/day) - 암모니아 배출을 위해 lactulose enema 시행 - 신경학적 변화 관찰(성격 변화)
-
3. 황달주관적 자료: 없음 객관적 자료: 1) Total bilirubin 5.35/4.35(mg/dL) 2) Direct Bilirubin 4.23/3.85 3) 신체사정 Icteric(+) 4) 짙은 호박색 소변 나옴 5) ALT 49/53 6) PT(INR) 1.53 7) R-GTP 153/55 8) 초음파 촬영 결과: Alcoholic liver disease with hepatomegaly. 간호중재: - lidocaine visc 10mL - 노란색이나 녹색 옷 피할 것 - 거울 치울 것 - 공막과 결막 등의 피부색을 규칙적으로 사정 - 더운물 목욕이나 알칼리성 비누의 사용은 피할 도록 교육 - 방 안의 온도는 서늘하게 유지하도록 교육
-
4. 문맥성 고혈압으로 인한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주관적 자료: 없음 객관적 자료: 1) 하지의 색 창백 2) 요흔성 부종 3+, 양측 3) 상복부에 거미모양 혈관종 4) V/S P: 110회/분, Spo2: 90% 5) 복부둘레 상승: 141cm 6) Na(serum) 5.48 7) Albumin(serum) 2.32/2.69 g/dl 8) K 4,69/4.2/105.2 9) I>O 10) 초음파 촬영 결과: Alcoholic liver disease with hepatomegaly. 간호중재: - vital sign check q 6 hour - 5% D/W - H/D 500ml - 5% D/S 1000ml + KCl 20mEq IV - I/O check q 8 hour - 전해질을 보충하여 체액 증가시킴으로써 부종 완화 - 염분제한식이를 권장 - 혈액 순환을 돕기 위해 정맥 순환제를 투여하고, 압박스타킹을 신게 한다. - v/s q6h , I/O q8h 사정 - 수분 섭취 제한 교육한다(1000-1500mL) - 고파울러씨 체위를 취해준다. - 복부둘레(AC) check
-
5. 식도정맥류주관적 자료: 없음 객관적 자료: 1) PT(INR) 1.53 2) aPTT 34 3) 토혈, 혈변, 간경변 4) v/s BP: 90/60mmHg, P: 110회/분 5) 내시경 검사 결과 eso varix 발견 6) 초음파 촬영 결과: Alcoholic liver disease with hepatomegaly. 간호중재: - Sandostatin am - Vitamin K1 Amp 10mg: - vital sign check q 6 hour - EGD - I/O check q 8 hour - 토물의 양과 색깔, 연속성 사정 - 거친 음식 피하도록 교육 - 복강 & 흉강 압력상승 행위 피하도록 교육 - V/S, I/O check
-
1. 간 기능 저하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간 기능 저하는 혈액 응고 능력 저하로 이어져 출혈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이는 간에서 응고 인자 생성이 감소하고 혈소판 수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 기능 저하 환자는 출혈 경향이 높아지므로 주의 깊은 관찰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출혈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간 기능 개선을 위한 치료와 함께 혈액 응고 능력 향상을 위한 약물 치료 등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외상이나 수술 시 출혈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2. 간성 혼수간성 혼수는 말기 간질환 환자에게 나타나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간에서 독성 물질 제거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암모니아와 같은 독성 물질이 축적되어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간성 혼수 환자는 의식 저하, 혼란,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성 혼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간 기능 개선, 단백질 섭취 제한, 암모니아 제거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 상태에 따른 집중 치료와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3. 황달황달은 간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간에서 담즙 배출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 내 빌리루빈이 축적되기 때문입니다. 황달의 원인은 다양하며, 간염, 간경화, 담도 폐쇄 등 다양한 간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황달 환자는 피부 가려움증, 소화 불량,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황달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함께 원인 질환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합병증 예방을 위해 주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
4. 문맥성 고혈압으로 인한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문맥성 고혈압은 간경화 등 간 질환으로 인해 문맥압이 상승하여 발생하는 합병증입니다. 이로 인해 말초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조직 관류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는 장기 부전, 신부전, 뇌병증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맥성 고혈압 환자에게는 문맥압 감소를 위한 약물 치료, 내시경적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말초 조직 관류 개선을 위한 보조적 치료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문맥성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5. 식도정맥류식도정맥류는 문맥압 상승으로 인해 식도 내 정맥이 확장되어 발생하는 합병증입니다. 이는 간경화 등 말기 간질환 환자에게 주로 나타나며, 심각한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식도정맥류 환자는 토혈, 흑색변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출혈 시 생명에 위협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도정맥류 환자에게는 내시경적 치료, 약물 치료, 수술적 치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맥류 크기 감소와 출혈 예방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식도정맥류 발생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간경화 케이스 스터디1. 간경화 간경화는 여러 원인에 의한 간세포 손상으로 섬유화가 간 전체에 걸쳐 진행되어, 섬유성 반흔으로 둘러싸인 불규칙한 재생 결절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간세포의 기능이 떨어지고 혈류 저항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독성 대사산물 증가, 중요한 단백의 합성 감소 및 문맥압 증가로 혈액의 문맥 전신 단락이 일어나게 되어 합병증인 복수, 간성 ...2025.01.29 · 의학/약학
-
간경화/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간호과정/비효율적인 호흡양상1. 간경화 간경화는 간 조직이 점진적으로 손상되어 섬유화와 재생 결절이 발생하는 만성 간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복수, 황달, 식도정맥류 출혈, 간성 뇌증 등이 있습니다. 간경화의 주요 원인은 만성 B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알코올성 간질환 등입니다. 간경화 환자의 치료는 원인 질환의 치료와 함께 합병증 관리가 중요합니다. 특히 알코올성 간경화의 ...2025.05.16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1_사례분석보고서_내과계_간경화증 대상자 간호1. 간경화증 대상자 간호 사례분석보고서에서는 54세 남성 환자 김OO님의 간경화증 간호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환자는 3일 전부터 배가 부르고 숨이 차서 병원에 입원하였으며, 6개월 전 알콜성 간경화로 인한 복수로 진단받았습니다. 간호사정 결과 복수로 인한 조기 포만감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 손상된 조절 기전과 관련된 체액과다 등의 간호진단이 도출되었습...2025.05.14 · 의학/약학
-
간경화증 사례연구보고서1. 간경화증의 정의 및 병태생리 간경화증은 간 전체에 상흔조직이 발생한 것으로,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간의 염증이 계속되는)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구조가 크게 뒤틀려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변화이다. 원인으로는 알코올성 간질환, 바이러스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지방성간염, 약물과 독성물질, 담즙성 질...2025.05.12 · 의학/약학
-
정신간호학&정신간호학 실습 물질관련 중독 장애 간호과정1.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 물질은 사람들의 기분이나 생각을 바꾸기 위해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에는 알코올, 아편, 진정제, 자극제, 카페인, 환각제, 대마, 니코틴, 흡입제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물질 사용은 내성, 금단증상, 중독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폐해를 초래한다.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2025.04.30 · 의학/약학
-
간 이식 환자의 간호1. 간 이식 간 이식은 말기 간질환 또는 간세포암 등 간질환에 대한 치료법으로, 정상인의 간을 수술적으로 적출하여 대상 환자에게 옮겨 붙여 간이 기능하게끔 하는 수술법이다. 간이식은 뇌사자 간이식과 생체 간이식으로 구분되며, 수술 전 다양한 검사와 준비 과정이 필요하다. 간이식 수술 후에는 거부반응, 감염, 출혈 등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2025.01.17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1_사례분석보고서_내과계_간경화증 대상자 간호 7페이지
사례분석보고서간경화증 대상자 간호교과목성인간호학실습1학번이름실습지도교수제출날짜실습병원/병동온라인 실습실습기간2. 간경화증 대상자 간호남성 54세 김OO님은 3일 전부터 배가 부르고 숨이 차서 병원에 입원하였다. 6개월 전에 알콜성 간경화로 인한 복수로 진단 받았다.신체/심리/정신/영적사정? 의식상태 : 명료(Alert)? furosemide 80mg, spironolactone 100 mg을 복용중임? 체중 증가 : 2주 동안 6kg 증가? 요배설량 급격히 감소? 복부 팽만? 황달? 양쪽 하지 : Pitting edema(2+)? ...2023.08.31· 7페이지 -
간경화(간경변) 사례분석,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 실습, 케이스스터디 20페이지
사례분석Liver cirrhosis(간경화증)목 차[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문헌적 고찰 (질환명: 간경화증)[3] 간호사정[4] 간호과정[5] 참고문헌[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사례연구는 특정 질병을 여러 측면에서 심층적이고 종합적으로 연구하기 때문에 풍부하고 의미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고 다각적인 방면으로 대상을 바라보기 때문에 특정 상황의 특수성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특성에 따라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을 찾아볼 수 있다.사례연구의 목적은 어떤 일반적 원리나 보편적인 사실을 ...2021.07.25· 20페이지 -
고위험분만, 산욕 대상자의 간호사례 연구,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2개 10페이지
모성간호학- 고위험 분만·산욕 대상자의 가상사례와 그에 따른 간호과정간호학과 C/4?목 차Ⅰ. 문헌고찰Ⅱ. 간호사례 및 간호과정Ⅲ. 결론 및 제안Ⅳ. 참고문헌Ⅰ. 문헌고찰? 정의; 조기진통은 임신 20주~ 37주 사이에 자궁목의 변화와 자궁수축이 시작되는 것을 뜻한다. 조기진통은 조산을 초래할 수 있으며, 조산은 많은 산과적 문제를 야기시킨다.? 원인 및 유발요인; 조기진통의 원인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약 1/3은 조기양막파열 후에 온다.- 산과적 요인: 양수과다, 다태임신, 전치대반, 태반조기박리, 조기양막파열, 조산력, 자궁목...2020.12.02· 10페이지 -
A+ 성인간호학 CASE STUDY 간경화증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영양 불균형. 활동지속성 감소 32페이지
간경변증(Liver cirrhosis)목차1. 서론1) 연구의 필요성2) 연구의 목적3) 문헌고찰2. 본론(자료수집)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2) 투약3) 진단검사3. 간호과정1) 간호진단 목록2) 간호과정표4. 참고문헌1. 서론1) 연구의 필요성간경화라고도 부르는 간경변증은 넓게 퍼진 섬유증과 소결절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이며 진행성 질환이다. 간경변증은 섬유증에 의해서 혈액, 담즙, 간 대사물질 등의 흐름이 변화되고 간세포, 담세관, 맥관, 그물세포 등이 변할 때 발생한다. 간경변증은 만성 알코올중독 환자의 10...2025.07.09· 32페이지 -
성인간호학 CBL 과제수행 계획서 3페이지
0000학년도 1학기 성인간호학II(소화기계) CBL 수업 과제수행 계획서CBL 문제명소화기계 장애 대상자를중재하라!학년/ 반/ 성명3학년 /학습성과(학습목표)-스스로 설정-▶ 소화기계 장애의 병태생리적 기전을 이해&복습한다.(상부위장관 출혈, 십이지장 궤양, 간염, 간경화로 인한 합병증)▶ 각각의 사례별로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도출하고 해결하기 위한 관련 지식을 설명할 수 있다.▶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소화기계 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다양한 각도로 사정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이미 알고 있는 사실들(facts)1. 소화기...2023.05.28·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