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ER)_기흉(Pneumothorax) 케이스, 사례보고서
본 내용은
"
A+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ER)_기흉(Pneumothorax) 케이스, 사례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1
문서 내 토픽
  • 1. 기흉의 원인
    기흉은 자발성 기흉과 외상성 기흉으로 구분된다. 자발성 기흉은 일차성 기흉과 이차성 기흉으로 나뉘는데, 일차성 기흉은 건강한 사람에게 발생하며 폐의 가장 윗부분 흉막에 있는 작은 공기주머니에 의해 발생한다. 일차성 기흉의 원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환자가 흡연자인 것으로 보아 흡연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차성 기흉은 원래 폐 질환을 앓고 있던 사람에게 발생한다. 외상성 기흉은 교통사고나 뾰족한 물건에 찔린 상처 등으로 인해 가슴이 다쳐 폐 실질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 2. 기흉의 증상
    기흉의 흔한 증상으로는 흉통과 호흡곤란이 있다. 흉통은 운동과는 관계없이 생기며, 갑자기 발생하는 날카로운 통증이 특징이다. 호흡곤란은 이전에 폐질환이 있었거나 기흉의 정도가 큰 경우에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보통의 경우에는 대부분 가벼운 호흡 곤란만 발생한다.
  • 3. 기흉의 진단
    기흉을 가장 손쉽게 진단하는 방법은 X-선 사진이다. 환자가 최대한 숨을 내쉰 상태에서 가슴 엑스선을 찍으면 기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어 기흉 관찰이 용이하다. 일차성 자연 기흉의 경우 흉막하 소기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이차성 기흉의 경우 기저 폐질환을 확인하기 위해서 컴퓨터단층촬영(CT)을 시행하기도 한다.
  • 4. 기흉의 치료
    기흉 치료의 원칙은 흉강 내에 있는 폐에서 누출된 공기를 제거하여 폐의 재팽창을 유도하고, 흉강을 효과적으로 폐쇄하여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다. 기흉의 크기가 작고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산소를 투여하면서 폐의 구멍이 저절로 아물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1차 치료이다. 하지만 기흉의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흉강 천자나 흉관 삽관을 하게 된다. 공기 유출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재발성 기흉이 생긴 경우, 폐 양쪽에 동시에 기흉이 생기거나 X-선 검사에서 아주 큰 공기주머니(Bulla)가 보이는 경우, 직업적인 요인, 혈흉, 농흉 등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을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기흉의 원인
    기흉은 폐 내부에 공기가 차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폐 조직의 손상, 폐 질환, 외상 등이 있습니다. 폐 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기흉은 폐 낭종이나 폐 풍선증 등의 선천적 폐 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암, 폐결핵 등의 폐 질환에서도 기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상으로 인한 기흉은 흉부 외상, 폐 천공, 기관지 천공 등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기흉은 기저 질환 없이도 자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흉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기흉의 증상
    기흉의 주요 증상은 갑작스러운 흉통과 호흡곤란입니다. 흉통은 주로 발병 초기에 나타나며, 호흡곤란은 폐가 허탈되면서 발생합니다. 이 외에도 기침, 청색증, 빈맥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의 정도는 기흉의 크기와 폐 허탈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소량의 기흉인 경우에는 증상이 경미할 수 있지만, 대량의 기흉인 경우에는 호흡곤란이 심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흉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 3. 기흉의 진단
    기흉의 진단은 환자의 병력 청취, 신체 검진,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우선 환자의 증상과 병력을 확인하여 기흉 발생 원인을 파악합니다. 신체 검진에서는 호흡음 감소, 타진 시 고음 등의 소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상 검사로는 흉부 X선 검사와 흉부 CT 검사가 주로 사용됩니다. 흉부 X선 검사에서는 폐 경계의 불명확성, 폐 용적 감소 등의 소견을 확인할 수 있으며, 흉부 CT 검사에서는 폐 내 공기 음영과 폐 허탈 정도를 더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진단 과정을 통해 기흉의 원인, 크기, 진행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4. 기흉의 치료
    기흉의 치료는 기흉의 크기와 원인,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소량의 기흉인 경우 산소 공급, 안정 등의 보존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량의 기흉이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흉관 삽입술이 필요합니다. 흉관 삽입술은 흉강 내 공기를 배출하여 폐를 팽창시키는 치료법입니다. 이 외에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폐 낭종이나 폐 풍선증 등의 선천적 폐 질환에 의한 기흉은 수술적 치료로 폐 병변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반복적인 자발성 기흉의 경우에도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흉 환자의 상태와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여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