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지심리학_형태를 재인하는 과정
본 내용은
"
인지심리학_형태를 재인하는 과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6
문서 내 토픽
-
1. 형태제인재인은 기억 활동의 한 형태이며, 개인이 현재 대하고 있는 인물, 사물, 형상, 정보 등을 과거에 보거나 접촉했던 경험이 있음을 기억해 내는 인지 활동이다. 그래서 형태 재인은 현재 보고 있는 시각 자극의 형태를 기존에 갖고 있던 기억 정보를 통하여 확인하면서 대상의 정체성을 알아내는 일련의 활동이다.
-
2. 형판이론형태가 묘사되지 않는다고 보아, 형판은 전체적이거나 분석되지 않은 개체가 두 개의 형태를 비교할 때 우리는 이 형판을 이용해 두 형태가 겹치는 정도를 측정한다. 인간의 형태 재인은 망막에 비친 영상과 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일종의 형판을 비교하고, 현재 보고 있는 대상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여 이루어진다.
-
3. 속성이론입력된 형태의 속성 목록과 기억 속 형태의 속성 목록을 비교해 형태를 제인 한다는 이론이다. 속성은 단순한 기하학적 세부특징을 말하며, 이론을 지지하는 증거가 많이 없다.
-
4. 구조이론입력된 형태의 속성과 구조가 기억 속 형태이 속성과 구조를 비교해 형태를 재인한다는 주장을 가지고 있다. 형태를 구성하는 세부 특징들 간의 관계는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사람들에 의한 공식이다. 형태의 선분들이 다른 선분들과 어떻게 결합되는지에 따라 그 형태에 대한 해석이 달라진다.
-
5. 비더만의 요소에 의한 재인 이론요소에 의한 재인(recognition-by-components, RBC)은 삼차원 대상을 재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었다. RBC 모형은 원기둥, 원뿔, 사각 기둥 등과 같은 부피가 있는 삼차원의 기하학적 형태들이 기본적인 구성 요소라고 가정할 때 비더만은 이를 기하학적 이온(geometric ion)이나 지온(geon)이라 한다.
-
1. 형태제인형태제인 이론은 지각 대상을 전체적인 구조와 형태로 인식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는 개별 요소들의 단순한 합이 아닌 전체적인 구조와 형태를 통해 대상을 인식합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지각 과정을 잘 설명해줍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단순한 선과 점의 집합이 아닌 하나의 완성된 형태로 사물을 인식합니다. 이 이론은 지각 과정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인지심리학과 디자인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
2. 형판이론형판이론은 지각 과정에서 우리의 경험과 기억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는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된 내적 표상, 즉 '형판'을 활용하여 새로운 자극을 인식하고 해석합니다. 이는 우리가 익숙한 대상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해줍니다. 또한 이 이론은 지각 과정에서 개인차가 발생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형판이론은 인지심리학과 인공지능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3. 속성이론속성이론은 지각 대상의 개별적인 특징들이 지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는 대상의 색, 모양, 크기 등과 같은 속성들을 분석하여 지각 대상을 인식합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물을 구분하고 인식하는 방식을 잘 설명해줍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사과의 빨간색, 둥근 모양, 부드러운 질감 등의 속성을 통해 사과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속성이론은 지각 과정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인공지능 분야에서 객체 인식 기술 개발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4. 구조이론구조이론은 지각 대상의 내부 구조와 관계가 지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는 대상의 부분들 간의 관계와 배열을 분석하여 지각 대상을 인식합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복잡한 대상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방식을 잘 설명해줍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건물의 구조, 가구의 구조, 생물의 구조 등을 통해 이들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구조이론은 지각 과정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인공지능 분야에서 패턴 인식 기술 개발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5. 비더만의 요소에 의한 재인 이론비더만의 요소에 의한 재인 이론은 지각 대상의 특정 요소들이 지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는 대상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지각 대상을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사물의 특징적인 모서리, 곡선, 대칭성 등의 요소를 통해 사물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 이론은 지각 과정에서 특정 요소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공지능 분야에서 객체 인식 기술 개발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이론은 지각 과정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여 인지심리학 연구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형태재인의 모형들과 활용1. 형태재인의 정의 및 어려움 오늘날 사람의 오감 중 시각은 어떤 감각기관보다 발달되어 있고, 사물을 인지하는 작용 중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소비자가 상품을 식별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시각에 의존하여 지각의 선택성을 통해 구매행동이 결정된다. 형태 재인은 기억 활동 과정이며, 사람의 얼굴, 글자, 말의 내용을 인식하는 것으로 대상의 정체를 지각하는 ...2025.04.27 · 심리/행동
-
인지심리학_형태재인의 모형들을 비교 및 설명하고 활용에 대해 논하시오1. 형태재인의 이론적 모형들 형태재인의 이론적 모형들로는 형판맞추기모형, 세부특징분석모형, 원형모형 등이 있다. 형판맞추기모형은 기억 속에 있는 모든 사물에 해당하는 모든 형판이 저장되어 있고, 들어오는 시각 자극의 표상과 딱 맞는 형판이 있을 때 재인이 된다는 이론이다. 세부특징분석모형은 사물의 세부 특징이나 형태의 단위인 형태소에 근거하여 사물을 인식...2025.04.29 · 심리/행동
-
형태재인의 모형들을 비교 및 설명하고 활용에 대해 논하시오1. 형태재인의 모형 형태재인은 기억 활동의 한 형태로, 개인이 사람, 사물, 모양, 정보 등을 접하거나 접촉한 사실을 상기하는 인지 활동을 말한다. 형태재인의 모형으로는 형판 맞추기 모형, 세부 특징 분석 모형, 원형 대조 모형 등이 있다. 이들 모형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형태재인 과정을 설명한다. 2. 하향식 정보처리 인간의 기억 인지 과정은 상향식 방...2025.01.19 · 심리/행동
-
형태재인의 모형 비교 및 활용 / 상향적 하향적 정보처리 방식에 의거한 사람의 형태재인 처리과정에 대한 고찰1. 형태재인의 정의 및 어려움 형태재인이란, 감각 기관을 통하여 입력된 대상을 장기기억 속에 존재하는 기억표상과 비교 및 대조하여 정체를 확인하는 인지 과정입니다. 사람에겐 이러한 형태재인의 과정이 매우 자연스럽지만, 사실 형태재인을 실행하는 기계를 만드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수용기에 들어오는 외부 자극이 때에 따라 매우 가변적이고 불안정하기 때문입니다...2025.01.12 · 심리/행동
-
인지심리학_1) 메멘토 영화 감상 후 1페이지 내외로 자유롭게 영화 감상문 작성 2) 형태재인에 대한 5가지 모형 중 3가지 선택하여 각 모형을 비교하여 기술하시오.1. 메멘토 영화 감상문 메멘토 영화는 심리학적 퍼즐이 담겨진 영화이다. 지금 내가 공부하고 있는 심리학과 연관되어 설명이 가능한 영화이다. 기억은 인지와 연관된다. 인지는 기억으로 이루어진 것들이 세상 밖으로 표현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영화에서 주인공 레너드는 자신의 기억을 믿지만, 영화를 보는 우리는 그 기억을 믿을 수가 없다. 흑백과 컬러가 혼동...2025.05.02 · 심리/행동
-
일상생활에서 발견할 수 있는 착시현상과 관련 지각 및 감각 이론1. 일상생활에서 발견할 수 있는 착시현상 신기루, 배경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는 흑백 착시현상, 지상에 가까울수록 달의 크기가 더욱 커지는 현상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착시현상에 대해 설명하였다. 2. 착시현상 관련 지각 및 감각 이론 형태 재인에 대한 세 가지 모형인 우성 형판 이론, 세부 특징 분석이론, 두 과정 모델 이론을 설명하...2025.05.13 · 심리/행동
-
1.형태재인모형들을 설명하고 각 모형에 대한 한계점을 설명하시오. 2.주의에 관한 이론 중에서 Broadbent와 Treisman의 실험을 설명하고, 이 두 이론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3.쇠잔이론과 간섭이론을 설명하고, 두 이론을 인지심리학 공부전략에 어떻게 결부시킬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4페이지
인지심리학주제- 1.형태재인모형들을 설명하고 각 모형에 대한 한계점을 설명하시오.2.주의에 관한 이론 중에서 Broadbent와 Treisman의 실험을 설명하고, 이 두 이론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3.쇠잔이론과 간섭이론을 설명하고, 두 이론을 인지심리학 공부전략에 어떻게 결부시킬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Ⅰ.서론인지심리학이란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환경과 자신에 대한 지식을 갖게 되는가, 그리고 그러한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여 생활 장면에서 마주치는 각종 과제들을 수행해 내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는 분야로써, 이하에서는 인지심리학...2022.03.22· 4페이지 -
형태재인이란 무엇인가? 3페이지
(인지심리학-형태재인이란?)외부 세계의 사물들을 보고 그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너무도 쉽게 하는 일들이다. 이러한 일들은 공통적으로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여 어떠한 방식으로든 이를 내부적으로 다시 재현하고(represent, 표상), 이들 표상들을 우리의 뇌가 혹은 특정 시스템의 기억장치들에 저장되어 있는 시각적 사물들에 대한 기존의 표상들과 대조하는 과정, 즉 형태재인과정이 있어야 가능하다.인간의 형태재인과정에 대한 원리들은 공학적 형태재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리, 공학적 알고리즘이나 모형들 또한 ...2024.01.06· 3페이지 -
형태재인의 모형 비교 및 활용 / 상향적 하향적 정보처리 방식에 의거한 사람의 형태재인 처리과정에 대한 고찰 5페이지
인지심리학형태재인의 모형 비교 및 활용상향적 / 하향적 정보처리 방식에 의거한 사람의 형태재인 처리과정에 대한 고찰목차서론 : 형태재인의 정의 및 어려움에 대해 기술본론 : 형태재인의 이론적 모형들과 하향적 정보처리 방식에 대해 기술상향적 정보처리를 설명하는 대표적 이론하향적 정보처리를 설명하는 대표적 이론결론 : 형태재인의 처리과정에 대해 요약하고 자신의 관점에 대해 기술형태재인의 모형들을 비교 및 설명하고 활용에 대해 논하시오.서론 : 형태재인의 정의 및 어려움에 대해 기술형태재인이란, 감각 기관을 통하여 입력된 대상을 장기기억...2024.03.31· 5페이지 -
학은제 인지심리학 인지심리학의 연구영역에 대해 논하세요. 5페이지
인지심리학인지심리학의 연구영역에 대해 논하세요.차 례1.서론2.본론(1) 인지심리학의 연구영역3.결론4.참고문헌1. 서론인간의 마음이 작용하는 과정에 대한 궁금증은 오랫동안 존재해왔다. 인지심리학은 이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인간의 뇌와 관련하여 마음과 행동이 변화하는 과정, 즉, 우리가 지식을 어떻게 습득하고 저장하며 변형, 사용하는지를 다루는 심리학의 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정보가 입력되어 행동으로 출력되는 모든 고등의 심리 과정에 대한 이해와 설명을 다루고 있다. 인지심리학은 심리학과 철학, 물리학, 생리학 등의 연구...2022.03.25· 5페이지 -
1.형태재인이 무엇인지 정의하시오. 2.형판이론을 정의하고 단점을 기술하시오. 3.속성이론을 정의하고 이 이론을 지지하는 실험적인 증거를 제시하시오. 4.구조이른을 정의하고 Biederman의 요소 모형을 설명하시오. 6페이지
인지심리학[형태를 재인하는 과정]1. 형태재인이 무엇인지를 정의하시오.2. 형판이론을 정의하고 이 이론의 단점을 기술하시오.3. 속성이론을 정의하고 이 이론을 지지하는 실험적인 증거를 제시하시오.4. 구조이론을 정의하고 Biederman의 요소 모형을 설명하시오.Ⅰ.서론우리는 물체를 보았을 때 자연스럽게 무엇인지 알 수 있다고 생각한다.하지만 이 과정은 과거에 보았거나 접촉했던 경험에 의해 기억을 해내는 인지적인 과정을 거쳐 일어나는 활동이다.이처럼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여러 자극들의 형태를 기존에 내가 가지고 있었던 기억 정보들...2025.03.14·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