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MOLED 소자 및 공정실험 캡스톤 디자인
본 내용은
"
2-3. AMOLED Full Device - Small molecule report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31
문서 내 토픽
-
1. PEDOT:PSSPEDOT:PSS는 core 물질에 EDG가 붙어있는 형태로, 이번 공정에서는 HIL층의 물질로 사용된다. HIL층은 hole이 EML층에 쉽게 주입되기 위해 ITO전극과 일함수 차이가 작아야 한다. HIL은 방출광이 재 흡수되지 않도록 적절한 Band-gap을 필요로 한다.
-
2. NPBNPB는 이번 공정에서 HTL층의 물질로 사용된다. HTL에 주로 쓰이는 물질들에도 core 물질에 EDG가 붙어있다. HTL은 발광층 계면에서 화합물을 형성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원활한 hole transport와 electron을 발광영역에서 속박해야한다. Band-gap이 큰 물질을 사용하고, HOMO를 조절한다.
-
3. TCTATCTA는 OLED 소자에서 HTL이나 EBL로 사용한다. EBL (Electron Blocking Layer)는 charge balance를 맞춰주기 위해 hole 주입을 억제한다. 또한 TCTA는 triplet energy confinement를 한다. (triplet exciton quench를 막아준다.)
-
4. CBPCBP는 EML층의 HOST로 사용된다. host와 dopant는 doping system에 의해 구분되는 것이다. host는 electron-hole pair가 잘 만들어지고 exciton의 갯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recombination efficiency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
5. Ir(ppy)3Ir(ppy)3는 이번 공정에서 EML층의 Dopant로 사용되었다. dopant는 oled에서 color를 결정하고, FWHM와 연관, Emission Efficiency를 증가시킨다. FWHM은 작으면 작을수록 color purity가 좋아진다.
-
6. TPBiTPBi는 이번 소자에서 ETL에 사용되었다. ETL은 electron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높은 electron의 mobility를 가진다. 또한 Hole을 blocking 해주어서 hole을 EML층에 속박한다. hole의 mobility는 낮다.
-
7. Small molecule vs. polymer저분자 유기물은 6~7 layer를 증착하고, Thermal evaporation을 하기 때문에 확실히 공정 시간이 지난번 고분자 유기물을 코팅할 때 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다. 고분자 유기물은 spin coating을 하고 solvent를 날려주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저분자에 비해 uniformity가 좋다. 하지만 저분자 유기물이 고분자 유기물에 비해 발광효율 및 색 순도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
1. PEDOT:PSSPEDOT:PS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로, 투명성, 유연성, 내구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태양 전지, 터치 스크린 등의 전극 물질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PEDOT:PSS는 수용성이며 용액 공정이 가능하여 대면적 제조에 유리하고, 낮은 제조 비용으로 인해 경제성이 높습니다. 또한 우수한 전기 전도성과 투명성으로 인해 투명 전극 물질로서의 활용도가 높습니다. 다만 내구성과 안정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NPBNPB(N,N'-Di(1-naphth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서 널리 사용되는 정공 수송 물질입니다. NPB는 우수한 정공 수송 능력, 높은 유리 전이 온도, 우수한 열적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OLED의 효율과 수명 향상에 기여합니다. 또한 NPB는 다양한 유기 반도체 소자에서 정공 주입 및 수송 층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NPB의 분자 구조 및 물성 개선을 통해 OLED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향후 NPB는 OLED 뿐만 아니라 유기 태양 전지, 유기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유기 전자 소자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TCTATCTA(4,4',4''-Tris(carbazol-9-yl)triphenylamine)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소자에서 널리 사용되는 정공 수송 물질입니다. TCTA는 우수한 정공 수송 능력, 높은 유리 전이 온도, 우수한 열적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OLED의 효율과 수명 향상에 기여합니다. 또한 TCTA는 정공 수송층 뿐만 아니라 발광층에서도 활용되어 OLED 소자의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최근에는 TCTA의 분자 구조 및 물성 개선을 통해 OLED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향후 TCTA는 OLED 뿐만 아니라 유기 태양 전지, 유기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유기 전자 소자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CBPCBP(4,4'-Bis(carbazol-9-yl)biphenyl)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소자에서 널리 사용되는 호스트 물질입니다. CBP는 우수한 정공 및 전자 수송 능력, 높은 유리 전이 온도, 우수한 열적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OLED의 효율과 수명 향상에 기여합니다. 또한 CBP는 발광층에서 호스트 물질로 활용되어 OLED 소자의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최근에는 CBP의 분자 구조 및 물성 개선을 통해 OLED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향후 CBP는 OLED 뿐만 아니라 유기 태양 전지, 유기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유기 전자 소자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5. Ir(ppy)3Ir(ppy)3(Tris(2-phenylpyridine)iridium)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소자에서 널리 사용되는 인광 발광 물질입니다. Ir(ppy)3는 우수한 발광 효율, 긴 수명, 다양한 색상 구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OLED의 성능 향상에 기여합니다. 특히 Ir(ppy)3는 삼중항 상태에서 인광 발광을 하여 형광 물질에 비해 높은 내부 양자 효율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Ir(ppy)3의 분자 구조 및 물성 개선을 통해 OLED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향후 Ir(ppy)3는 OLED 뿐만 아니라 유기 태양 전지, 유기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유기 전자 소자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6. TPBiTPBi(2,2',2''-(1,3,5-Benzinetriyl)-tris(1-phenyl-1-H-benzimidazole))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소자에서 널리 사용되는 전자 수송 물질입니다. TPBi는 우수한 전자 수송 능력, 높은 유리 전이 온도, 우수한 열적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OLED의 효율과 수명 향상에 기여합니다. 또한 TPBi는 전자 수송층 뿐만 아니라 발광층에서도 활용되어 OLED 소자의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최근에는 TPBi의 분자 구조 및 물성 개선을 통해 OLED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향후 TPBi는 OLED 뿐만 아니라 유기 태양 전지, 유기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유기 전자 소자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7. Small molecule vs. polymer유기 전자 소자 분야에서 small molecule과 polymer 물질은 각각 고유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Small molecule은 정제와 정제가 용이하여 높은 순도와 균일성을 달성할 수 있고, 분자 구조 설계를 통해 물성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반면 polymer는 용액 공정이 가능하여 대면적 제조에 유리하고, 기계적 강도와 유연성이 우수합니다. 최근에는 small molecule과 polymer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향후 유기 전자 소자 분야에서 small molecule과 polymer 물질은 각자의 장점을 살려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
AMOLED Tooling Process & 막 두께 측정 report (A+)1. AMOLED 소자 및 공정실험 AMOLED 소자 및 공정실험 캡스톤 디자인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실험 제목은 'Tooling Process & 막 두께 측정'이며, 실험 목표는 진공의 이해 & Chamber의 사용법, Z factor & Density의 기본 원리 이해 및 Tooling값 계산, Alpha Step을 이용한 막 두께 측정입니다. 실...2025.05.12 · 공학/기술
-
2-2. AMOLED Full Device - Polymer report (A+)1. AMOLED 소자 및 공정실험 AMOLED 소자 및 공정실험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실험 목표는 Spin Coater를 이용한 고분자 기반 OLED(PLED) 제작 및 특성 평가입니다. 실험 이론으로는 UVO Treatment, Surface Energy, 저분자 물질과 고분자 물질의 비교 등이 다루어졌습니다. 실험 방법에는 IT...2025.05.12 · 공학/기술
-
AMOLED 소자 및 공정실험 캡스톤 디자인1. 진공의 기본적 이론 진공이란 물질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이렇게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1/1000㎜Hg 정도 이하의 저압을 가리킨다. 진공단위에서는 토르(Torr)가 많이 쓰인다. 진공의 필요성으로는 극 청정의 환경제공, 압력차에 의한 힘의 발생, 입자의 장거리 이동가능, 안정된 플라즈마 유지, 증발 및 승화작용, 생화학 ...2025.05.12 · 공학/기술
-
3-5. AMOLED Geometrically Strechable OLED report (A0) 5페이지
AMOLED 소자 및 공정실험 캡스톤 디자인1. 실험 제목Geometrically Strechable OLED2. 실험 목표GSOLED를 3M 테이프에 붙여 연신 차이에 따른 소자 효율을 측정하여 값을 비교한다.3. 실험 이론Geometrically Strechable: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신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일정 영역이 기하학적으로 접히거나 펴지는 효과를 이용하는 방법Norland Optical Adhesive 63(NOA63): 투명하고 무색의 액체광중합체이다. 자외선 일체형 시스템으로 100% 고체이기 때문...2023.07.30· 5페이지 -
3-4. AMOLED Transparent OLED report (A0) 8페이지
AMOLED 소자 및 공정실험 캡스톤 디자인1. 실험 제목Transparent OLED2. 실험 목표OLED에 대해 이해하고, Transparent OLED 를 증착 한 뒤 Top 과 Bottom을 비교해 볼 것.Transparent OLED를 적분구와 CS-2000을 통해 효율을 측정해 볼 것.3. 실험 이론-RecipeRef device 구조로 제작 진행-저분자 물질과 고분자 물질 비교4. 실험 방법Ⅰ.Ante Chamber를 통해 기판을 글러브 박스로 넣는다.글러브 박스로 넣는 과정과 진공 잡는 내용은 지난 실험에서 다뤘으므로...2023.07.30· 8페이지 -
3-2. AMOLED Bottom Emission OLED report (A0) 8페이지
AMOLED 소자 및 공정실험 캡스톤 디자인1. 실험 제목Bottom Emission OLED2. 실험 목표Spin coater를 이용한 고분자 기반 OLED제작 및 특성 관찰3. 실험 이론-Surface TreatmentWork Function: work function이란 1개의 전자를 금속이나 반도체 표면에서 외부로 추출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에너지이다. 전자가 가득 찬 최고의 level(Fermi-level)과 외부의 전위와의 차PHI을 말한다. ITO의 Work Function을 낮춰주기 위해 UV 처리를 한다. (a) U...2023.07.30· 8페이지 -
3-3. AMOLED Top Emission OLED report (A0) 9페이지
AMOLED 소자 및 공정실험 캡스톤 디자인1. 실험 제목Top Emission OLED2. 실험 목표Spin coater를 이용한 고분자 기반 OLED 제작 및 특성을 관찰해 볼 것시야각의 각도에 따라서 색깔이 바뀌는 파악해 볼 것3. 실험 이론-RecipeRef device 구조로 제작 진행-저분자 물질과 고분자 물질 비교-Spin coater스핀 코팅은 매우 쉽고 저렴하게 고효율로 재현 가능한 균일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다용도 코팅 기술이다. 용액-공정 유기/무기 전자 소자의 제작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은 스...2023.07.30· 9페이지 -
3-1. AMOLED Tooling 및 진공 기초 report (A0) 8페이지
AMOLED 소자 및 공정실험 캡스톤 디자인1. 실험 제목Tooling 및 진공 기초2. 실험 목표- 진공의 기본적 이론 이해- 알파 스텝을 통한 막 두께 측정과 Tolling의 이해3. 실험 이론- 진공 ( Vacuum )진공이란, 물질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이렇게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1/1000㎜Hg 정도 이하의 저압을 가리킨다. 진공단위에서는 토르(Torr)가 많이 쓰인다.- 진공의 필요성극 청정의 환경제공 및 우주에서의 환경제공압력차에 의한 힘의 발생입자의 장거리 이동가능안정된 플라즈마 유지증...2023.07.30·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