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의 행실도
본 내용은
"
조선시대의 행실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26
문서 내 토픽
-
1. 삼강행실도삼강행실도는 세종 시기에 직제학 설순 등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한 윤리서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충신, 효자, 열녀의 행실을 모아 만든 책입니다. 삼강행실도에는 효자도, 충신도, 열녀도가 수록되어 있으며, 주로 중국인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삼강행실도의 서문은 맹사성과 권채가 썼으며, 성종 시대에 한글로 된 중간본이 나왔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 중간본이 발간되었습니다.
-
2. 속삼강행실도속삼강행실도는 중종 시기에 신용개 등이 편찬한 삼강행실도의 속편입니다. 속삼강행실도에서는 삼강행실도 이후의 뛰어난 효자 36인, 충신 5인, 열녀 28인의 사례를 추가로 기록하였으며, 각 예의 끝머리에 찬양하는 시인 찬시와 삽화를 하나씩 그려넣었습니다.
-
3. 동국신속삼강행실도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임진왜란이 끝난 후 광해군 시기에 간행된 윤리서입니다. 삼강행실도와 속삼강행실도에 이어 간행된 이 책은 우리나라의 충신, 효자, 열녀의 사례를 수록하고 있습니다.
-
4. 이륜행실도이륜행실도는 조선후기인 정조 시기에 간행된 윤리서입니다. 삼강행실도, 속삼강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와 함께 조선시대 윤리서의 하나로, 부자, 군신, 부부의 윤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
5. 오륜행실도오륜행실도는 조선후기인 정조 시기에 간행된 윤리서입니다. 삼강행실도, 속삼강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와 함께 조선시대 윤리서의 하나로, 오륜(부자, 군신, 夫婦, 형제, 붕우)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
1. 삼강행실도삼강행실도는 조선시대 유교 윤리 사상을 반영한 대표적인 윤리 교육서입니다. 이 책은 충(忠), 효(孝), 열(烈)의 세 가지 윤리 덕목을 강조하며, 이를 실천한 역사적 인물들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삼강행실도는 당시 사회의 윤리 규범을 보여주는 동시에 유교 이념의 실천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윤리 규범이 지나치게 엄격하고 개인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따라서 삼강행실도의 가치와 한계를 균형 있게 이해하고, 현대적 맥락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속삼강행실도속삼강행실도는 삼강행실도의 내용을 보완하고 확장한 책입니다. 이 책은 충(忠), 효(孝), 열(烈)의 세 가지 윤리 덕목 외에도 신(信), 의(義), 예(禮), 지(智)의 다양한 윤리 규범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속삼강행실도는 유교 윤리의 범위를 확장하여 개인의 도덕적 수양과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윤리 규범이 지나치게 엄격하고 현실적이지 않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따라서 속삼강행실도의 가치와 한계를 균형 있게 이해하고, 현대 사회의 맥락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
3. 동국신속삼강행실도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삼강행실도와 속삼강행실도의 내용을 보완하고 확장한 책입니다. 이 책은 충(忠), 효(孝), 열(烈)의 세 가지 윤리 덕목 외에도 신(信), 의(義), 예(禮), 지(智), 인(仁)의 다양한 윤리 규범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유교 윤리의 범위를 더욱 확장하여 개인의 도덕적 수양과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윤리 규범이 지나치게 엄격하고 현실적이지 않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따라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가치와 한계를 균형 있게 이해하고, 현대 사회의 맥락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
4. 이륜행실도이륜행실도는 유교 윤리 사상을 바탕으로 한 윤리 교육서입니다. 이 책은 부자(父子), 군신(君臣), 夫婦, 장유(長幼), 붕우(朋友)의 다섯 가지 윤리 관계를 강조하며, 이를 실천한 역사적 인물들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륜행실도는 유교 윤리의 핵심 가치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윤리 규범이 지나치게 엄격하고 개인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륜행실도의 가치와 한계를 균형 있게 이해하고, 현대 사회의 맥락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
5. 오륜행실도오륜행실도는 유교 윤리 사상을 바탕으로 한 윤리 교육서입니다. 이 책은 부자(父子), 군신(君臣), 夫婦, 장유(長幼), 붕우(朋友)의 다섯 가지 윤리 관계를 강조하며, 이를 실천한 역사적 인물들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오륜행실도는 이륜행실도와 유사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더욱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윤리 규범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유교 윤리의 핵심 가치를 잘 보여주고 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지나치게 엄격하고 개인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따라서 오륜행실도의 가치와 한계를 균형 있게 이해하고, 현대 사회의 맥락에서 재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
퇴계이황의 교육사상1. 퇴계이황의 생애 퇴계이황은 조선전기 성균관 대사성, 대제학, 지경연 등을 역임한 문신이자 학자이다. 1501년(연산군 7)에 태어나 1570년(선조 3)에 사망했다.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으나 1545년(명종 즉위) 을사사화 이후 고향 퇴계에 은거하여 학자의 삶을 살았다. 명유들과 토론하고 『주자대전』 등 주자학 관련서적을 주해·편찬하고 후진들...2025.01.27 · 인문/어학
-
교육철학 및 교육사 정리1. 율곡 이이의 교사론 율곡 이이의 교사론은 자신의 마음, 학문, 행실을 돌아보며, 배우는 자가 타고난 잠재력을 최대한 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강조합니다. 2. 플라톤의 교사론 플라톤의 교육사상에서 교사는 지식전달자에서 삶을 풍성하게 살아가기 위한 윤리적 훈련가로, 교사-학생의 관계에서 벗어나 대화와 토론을 통한 공동의 학습자로, 학습불평등 가운데 ...2025.04.25 · 교육
-
생기부 작성의 비법 - 예시를 통한 세특 작성법1. 공자의 '군자' 학생은 공자가 제시한 이상적인 인간상인 '군자'의 의미를 탐구하고, 군자가 학문을 좋아하고 인예를 실천하며, 말보다 행실이 앞서고 재행일치하는 사람을 의미함을 이해하였다고 함. 군자가 인예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인간관계의 조화와 사회적 질서가 유지됨을 강조하였음. 개인의 자유와 예의 관계를 고찰하며, 자유와 예의 조화가 필요함을 주장하였...2025.01.29 · 교육
-
조선시대의 서적 편찬 3페이지
조선시대의 서적 편찬조선시대의 서적 편찬은 지리서 편찬과 역사서 편찬, 윤리서 편찬으로 구분을 할 수가 있습니다.조선은 국가체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중앙 집권을 확립하고 국방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리서를 편찬하게 됩니다.조선시대의 지리서중앙 집권을 확립하고 국방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조선 시대의 지리서 편찬조선시대의 지리서 편찬은 중앙 집권 및 국방 강화의 목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조선시대에는 지리서 편찬과 지도 제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데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지도로는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비롯하여 ...2022.04.23· 3페이지 -
조선시대의 행실도 간행 3페이지
조선시대의 행실도 간행과 의학 농업 서적 편찬? 삼강행실도세종때에 설순등이 편찬한 행실도로 우리나라와 중국의충신, 효자, 열녀 각 35명씩을 소개? 조선시대의 행실도 간행세종삼강행실도성종삼강행실도 언해본---삼강행실도를 한글로 풀이중종속 삼강행실도---삼강행실도의 후속편광해군동국신속삼강행실도---삼강행실도와 속삼강행실도의 후속편정조오륜행실도동국신속삼강행실도조선 세종 때에 간행된 삼강행실도와 중종 때에 간행된 속삼강행실도의 속편광해군이 유근 등에 명하여 편찬한 18권 18책으로 이루어진 윤리서조선시대에는 유교적인 윤리의식이 강조가 되...2021.02.02· 3페이지 -
조선시대 사관과 사초의 특징 10페이지
조선시대 사관과 사초의 특징1. 조선시대 사관과 사초의 작성1) 조선시대 사관의 선발과 자격★ 사관의 기원: 사관의 종교성→ 갑골문 등에서 史(손으로 붓을 잡고 있는 모양)는 제사, 卜筮, 聖曆(별자리를 보는 것) 命(왕이 신하에게 내려 명령한 책명), 기사의 작성자 등으로 등장◆ 史와 함께 의 책을 보면 이러한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보인다. 복인, 점인, 정인 이라는 표현은 같은 기능,역할을 수행함. 갑골문이라는 것이 문자가 없을 때, 전쟁을 치러야하는지 아닌지, 갑골문 쪼개진 것을 보고 결정하는 것처럼. 이렇게 나타난 형상들을 ...2022.11.13· 10페이지 -
조선시대의 교육 용어정리 18페이지
조선시대의 교육p.53Ⅰ.관학 교육의 실제1. 역성혁명(易姓革命): 성을 바꾸는 혁명 즉 고려란 나라가 멸망하고 이씨가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것을 말함.2. 전제군주: 전제정치를 하는 왕 (전제정치: 왕의 권력이 법의 테두리 밖에 존재하여 왕에게 절대적 권력이 주어지는 정치체제)3. 전주(田主): 논밭의 임자4. 수조권(收租權): 벼슬아치가 나라에서 부여받은, 조세를 받을 권리.5. 답습: 예로부터 해 오던 방식이나 수법을 좇아 그대로 행함.p.541. 각축장: 서로 이기려고 다투고 있는 곳.2. 학령(學令): 조선시대의 성균관·사...2020.11.23· 18페이지 -
계녀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들의 덕목 8페이지
계녀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들의 덕목-계녀서의 내용과 여성의 제사 참여를 중심으로-- 목 차 -1. 서론2. 조선 양반가 여성들이 지켜야 할 덕목3. 여성들의 제사 참여4. 결론1. 서론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늘어나는 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비도덕성으로 인한 사회문제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여학생들의 집단 따돌림과 학교 폭력이 늘어났고, 경제적인 이유로 낙태·아동 유괴를 하는 등 여성의 사기와 폭행 사례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전통적으로 여성의 범죄 비율은 남성의 비해 적었지만, 70년대 이후 여성권익의 성자이나 경제발전...2020.12.01·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