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교의 밀교와 현교
본 내용은
"
불교는 밀교(密敎)와 현교(顯敎)로 나눌 수 있다. 현교는 겉으로 드러나 있다는 뜻의 현로불교(顯露佛敎)를 줄인 말이다. 겉으로 드러났다는 것은 역사적 존재로서 화신불(化身佛)인 석가모니에 의한 설법이나 문자를 통한 가르침을 의미한다. 한국에서 현교로는 조계종 천태종 태고종 등이 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4
문서 내 토픽
-
1. 밀교밀교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심오한 불교 사상을 가진 종교로, 삼밀수행을 통해 즉신성불을 목표로 하는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불교입니다. 밀교는 현실을 긍정하고 현세이익을 추구하며, 상징적이고 의례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신비적 체험을 통해 자아와 우주본질의 합일을 추구합니다.
-
2. 현교현교는 겉으로 드러난 불교로, 석가모니불의 설법과 문자를 통한 가르침을 의미합니다. 현교는 적멸의 도, 즉 해탈을 성취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개인적인 수행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3. 진각종진각종은 회당 손규상에 의해 창종된 한국의 밀교 종단입니다. 진각종의 핵심 사상은 '회말이취본'으로, 세속의 생활을 통해 근본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진각종은 심인(心印)을 수행의 중심 개념으로 하며, 육자진언인 옴마니반메훔을 본존불로 모십니다. 진각종은 현교와 밀교의 교리를 종합하여 자성법신과 즉신성불을 추구합니다.
-
1. 밀교밀교는 불교의 한 분파로, 일반 대중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분야입니다. 밀교는 불교의 핵심 교리를 상징적이고 비밀스러운 방식으로 전달하며, 수행자들이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밀교에서는 만다라, 진언, 수행법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밀교의 특성으로 인해 일반 대중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게 여겨질 수 있지만, 깊이 있는 수행을 통해 불교의 핵심 가르침을 체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분야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밀교는 불교 전통 안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며, 수행자들에게 깊이 있는 영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2. 현교현교는 불교의 주류를 이루는 분파로, 일반 대중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불교의 형태입니다. 현교는 불교의 기본적인 교리와 수행법을 중심으로 하며, 깨달음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윤리적 실천과 지혜의 함양을 강조합니다. 현교에서는 사성제, 팔정도, 연기법 등의 핵심 교리가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선정과 지혜의 수행을 통해 해탈과 열반을 추구합니다. 현교는 불교의 전통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며, 일반 대중들이 접근하기 쉬운 불교의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교는 불교의 근간을 이루는 분파로서, 불교 전통 안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3. 진각종진각종은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종파 중 하나로, 1916년 진각 스님에 의해 창립되었습니다. 진각종은 불교의 핵심 교리와 수행법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한국적 토양에 맞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진각종은 '진각'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며, 이는 '본래의 깨달음'을 의미합니다. 진각종은 이러한 진각 사상을 바탕으로 수행과 실천을 강조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깨달음을 실현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또한 진각종은 한국 불교의 전통적인 수행법인 선정과 더불어 밀교적 요소도 포함하고 있어, 독특한 불교 전통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진각종은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
티벳불교의 역사 2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FILE:Contents/section0.xml티벳불교의 역사학번 이름7세기에서 12세기 사이의 티벳불교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7세기 초부터 9세 중반까지로 티벳불교의 1차 전성기(snag dar)이고 두 번째는 9세기 중반부터 약 100여 년간으로 ‘분열의 시대’ 혹은 ‘파편의 시대’로 불리는 티벳불교의 암흑기이며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10세기 중반부터 12세기까지로 티...2023.08.05· 2페이지 -
이웃종교인 인터뷰 조사 보고서 (A+) 6페이지
- 이웃종교인 인터뷰 조사 보고서 -과목명|******담당교수|***학과|***전공학번|*******이름|***제출일|2021.04.**이웃종교인 인터뷰 조사 보고서성명학번전공나의 종교이웃종교인의 종교*************기독교불교이웃종교인선택 이유어머니의 가장 친한 친구가 불교 신자이십니다. 자주 만나며 함께 하는 시간이 많아 별다른 제약 없이 인터뷰를 진행하기에 문제점이 없었기 때문입니다.인터뷰 날짜04/20인터뷰 방식대면( ㅇ ), 전화( ), 이메일( ),화상( ), 기타( )이웃종교인의성별여 ( )남 ( ㅇ )이웃종교인의...2021.09.16· 6페이지 -
진언종 2페이지
진언종 (신비주의, 밀교)1. 개요진언: 산스크리트의 만뜨라를 번역한 말, 일상의 언어로써는 표현할 수 없는 ‘신비적 교의’ 를 뜻함. 이 종파는 즉신성불을 주장함과 동시에, 한편으로는 현세이익을 추구하는데에 그 특색이 있음.현교: 개방적이고 공개적인 가르침을 의미. 종교적 이상에 도달하는 방법을 대중에게 숨김없이 공개하여 누구나 배울 수 있게 하는 종교.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불교가 여기에 해당.밀교: 비밀스런 가르침. 비밀의 교의를 특정한 사람(제자)에게만 비밀리에 전수하는 종교. 즉 추구하고자 하는 종교적 이상에 이르는 통로를...2011.12.20· 2페이지 -
일본의 사찰과 신사에 대하여 12페이지
일본의사찰과 신사에 대하여지리교육과 201335515신건우목차1. 서론2.본론 -불교란?-불교의 사찰이란?-한중일 사찰의 비교.-일본의 불교.-일본의 불교 종류.-신사란?-신사의 종류 특징3. 마무리1. 서론일본에서 오사카, 교토, 고베를 여행하던 중, 우연히 사찰과 신사를 많이 오가게 되었다.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가 있었고 우리나라 불교와는 또다른 특징들을 갖고 있었다. 우리나라와 다르게 일본은 신사라는 매개체를 통해 다양한 신들을 모시고 여러 종교를 통해 소통하고 있었다. 그리고 일본인들은 다양한 종교가 꼭 사회에 필요하다고 생...2019.06.16· 12페이지 -
신라 밀교에 대한 고찰 14페이지
신라 밀교에 대한 고찰200500407 송초희1. 머리말2. 밀교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3. 밀교의 개념과 그 분류4. 신라의 밀교 수용 배경5. 신라시대 밀교수용과 전개 과정6. 신라 밀교의 성격7. 밀교의 종파8. 맺음말1. 머리말사람들은 과거 수백 년 아니 수천 년 전에도 살아왔고 지금도 살아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지구라는 이 세계가 멸망하지 않는 한은 말이다. 그런 긴 세월의 흐름에서 인간의 역사는 어찌 보면 찰나를 살아가는 인간들의 수많은 삶과 그 연속이라 하겠다. 인간들은 그 순간 속에서 자신의 삶에 대해 ...2007.12.30·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