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국가 - 미메시스 개념 레포트
본 내용은
"
플라톤의 국가 - 미메시스 개념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20
문서 내 토픽
  • 1. 테크네와 미메시스
    플라톤은 기술 일반을 일컫는 테크네를 미메시스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오늘날의 예술 개념과 비슷한 범주를 새로이 제시하였다. 그의 분류에 따르면 미메시스는 감각적인 현상은 물론이고 인간의 내적 태도와 같은 비감각적 영역도 그 대상으로 삼고 있다.
  • 2. 국가에서의 미메시스
    플라톤은 『국가』에서 시의 '이야기 내용'과 '이야기 방식'에 대해 비판하며, 시에 있어서 미메시스는 어떤 내적 태도와 감정을 갖고 행위하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시가 비이성적인 부분을 만족시키고 이성 대신 욕구과 감정에 즐거움만을 가져다주게 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 3. 소피스테스에서의 미메시스
    플라톤은 『소피스테스』에서 기술 전반을 일컫는 테크네 개념을 분류하면서, 미메시스를 도구를 사용해서 어떤 사물의 외관을 모사, 재현하는 행위, 결과물이자 자신의 신체를 이용해 타인의 행통이나 말투를 따라하는 행위로 정의한다. 또한 그는 당시의 소피스트들을 '의견만 가진 흉내쟁이'라고 비판한다.
  • 4. 예술추방론으로의 전개
    플라톤의 미메시스에 대한 비판적 관점은 예술추방론으로 이어진다. 그는 무지한 시인이 부정적인 가치를 미메시스하는 것을 강하게 지적하면서, 그러한 시에 자극되어 올바름과 그 밖의 다른 훌륭함에 무관심해지는 것을 경계한다. 그러나 그는 이상국가 젊은이들의 혼을 위한 시가 교육을 위해서는 좋은 성격의 미메시스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테크네와 미메시스
    테크네와 미메시스는 플라톤의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테크네는 기술, 기예, 기능을 의미하며, 미메시스는 모방, 재현을 의미한다. 플라톤은 테크네가 이데아의 모방이라고 보았으며, 예술가의 작품은 이데아의 모방이 아닌 현상세계의 모방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예술이 진리에서 멀어진다는 그의 견해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예술의 가치를 과소평가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예술은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창조적 활동이며, 현실을 새로운 방식으로 재현함으로써 우리에게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테크네와 미메시스에 대한 플라톤의 견해는 예술의 본질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2. 국가에서의 미메시스
    플라톤은 『국가』에서 미메시스가 국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강조한다. 그는 미메시스가 국민들의 도덕성과 정의감을 훼손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비극적 예술이나 코메디와 같은 모방예술은 국민들의 감정을 자극하여 이성적 판단을 흐리게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플라톤은 이러한 모방예술을 국가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예술의 가치를 지나치게 축소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예술은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현실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술은 국민들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적 결속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톤의 국가에서의 미메시스에 대한 견해는 예술의 본질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3. 소피스테스에서의 미메시스
    플라톤은 소피스트들의 수사학적 기술을 비판하면서 그들의 미메시스 개념을 비판한다. 소피스트들은 수사학을 통해 진실보다는 설득력 있는 주장을 만들어내는 데 주력했다. 이에 대해 플라톤은 소피스트들의 수사학이 진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소피스트들의 미메시스가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현실을 왜곡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는 플라톤이 소피스트들의 수사학을 진리에서 멀어진 것으로 간주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톤의 견해는 소피스트들의 수사학이 가진 창의성과 설득력을 과소평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수사학은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새로운 관점과 해석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이다. 따라서 플라톤의 소피스트들에 대한 비판은 편향된 것으로 보인다.
  • 4. 예술추방론으로의 전개
    플라톤은 『국가』에서 예술가들을 이상적인 국가에서 추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그의 미메시스 개념에 기반한 것으로, 그는 예술이 현실을 왜곡하고 국민들의 도덕성을 해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톤의 예술추방론은 예술의 가치를 지나치게 축소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예술은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현실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술은 인간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적 결속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톤의 예술추방론은 예술의 본질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예술은 이상적인 국가 건설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