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실무프로젝트 - 화학 실험으로 아무거나 자유롭게 만들기(젤리클리너). 예비 및 결과 레포트(PPT) 발표 대본 포함
본 내용은
"
실무프로젝트 - 화학 실험으로 아무거나 자유롭게 만들기(젤리클리너). 예비 및 결과 레포트(PPT) 발표 대본 포함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8
문서 내 토픽
  • 1. 젤리클리너 제조
    실험을 통해 베이킹 소다, 감자전분, PVA 등의 재료 역할을 이해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젤리 클리너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젤리클리너와 점도, 접착, 경화도, 인체에 무해함을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 2. PVA
    PVA는 폴리비닐 알코올로 분자들이 사슬처럼 연결되어 있는 폴리머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화장품에서도 굳어서 잘 벗겨지는 립타투나 피부마스크 등으로 쓰입니다.
  • 3. 붕사
    붕사는 슬라임을 만드는 과정에서 풀을 뭉쳐서 굳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물과 섞이게 되면 borate라는 이온을 만들게 되는데, borate는 PVA분자끼리 화학적 결합을 더 많이 만들어지게 하여 풀을 더 탄탄하고 젤리같이 응고되게 만듭니다. 하지만 붕사는 위험한 성분이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렌즈용액을 사용했습니다.
  • 4. 슬라임 제조 원리
    PVA의 분자구조는 줄줄이 긴 실처럼 생겨있습니다. 여기에 붕사를 첨가하면 붕사가 이 실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붕사가 길쭉한 PVA 분자들 사이에 들어가서 붙으면 액체 상태로 자유롭게 흐르던 PVA성분이 서로 뭉치고 붙어서 점도가 생깁니다. 붕사가 많이 붙어서 많이 엉겨붙으면 더 많이 뭉치고, 붕사가 조금 들어있으면 좀 더 점도가 낮은 슬라임이 됩니다.
  • 5. 실험 방법
    실험은 PVA, 글리세린, 정제수, 과산화벤조일을 이용한 방법과 PVA, 베이킹소다, 렌즈액, 감자전분을 이용한 방법으로 진행했습니다. 각 실험에서 성분의 비율을 달리하며 결과를 확인했고, 최종적으로 물풀 19.42g, 베이킹소다 0.46g, 렌즈액 5.87g, 감자전분 4.81g의 비율로 가장 좋은 젤리클리너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 6. 실험 결과 비교
    실험으로 만든 젤리클리너는 기존 제품에 비해 접착성과 보존성이 우수했습니다. 기존 제품은 먼지 제거가 잘 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 시 뚝뚝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지만, 실험 제품은 대량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었고 장기간 사용해도 탄성을 유지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젤리클리너 제조
    젤리클리너는 다양한 성분들이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제품입니다. 주요 성분으로는 PVA, 붕사, 글리세린 등이 있습니다. 이들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되면 점성이 있고 끈적한 젤리 형태의 클리너가 만들어집니다. 젤리클리너는 청소 및 세정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좁은 틈새나 구석진 곳을 깨끗이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조 과정에서는 각 성분의 배합 비율과 혼합 방법이 중요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제품 개발이 가능합니다.
  • 2. PVA
    PVA(Polyvinyl Alcohol)는 합성 고분자 물질로, 물에 잘 녹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VA는 접착제, 코팅제, 섬유 가공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젤리클리너 제조에 중요한 성분입니다. PVA는 물과 결합하여 점성이 있는 젤 형태를 만들어내며, 이를 통해 청소 및 세정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PVA의 분자량, 용해도, 점도 등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제품 개발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용 목적에 맞는 최적의 젤리클리너를 만들 수 있습니다.
  • 3. 붕사
    붕사(Borax)는 천연 광물 성분으로, 젤리클리너 제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붕사는 PVA와 반응하여 가교 결합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젤리클리너의 점성과 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붕사는 살균 및 소독 효과가 있어 젤리클리너의 위생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붕사의 첨가량은 젤리클리너의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배합이 필요합니다. 과량 첨가 시 젤리가 너무 단단해질 수 있으며, 부족할 경우 점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젤리클리너 제조 시 붕사의 역할과 적정량 사용이 중요합니다.
  • 4. 슬라임 제조 원리
    슬라임은 PVA, 붕사, 글리세린 등의 성분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점성이 있는 물질입니다. 슬라임 제조의 핵심 원리는 PVA와 붕사의 가교 반응입니다. PVA는 물에 잘 녹는 고분자 물질로, 붕사와 반응하여 가교 결합을 형성합니다. 이 가교 결합으로 인해 슬라임의 점성과 탄성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글리세린은 슬라임의 유동성을 높이고 수분 보유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슬라임 제조 시 각 성분의 배합 비율과 혼합 방법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물성의 슬라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
  • 5. 실험 방법
    슬라임 및 젤리클리너 제조를 위한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PVA, 붕사, 글리세린 등의 성분을 준비합니다. 이후 PVA를 물에 녹인 후 붕사를 천천히 넣으면서 잘 섞어줍니다. 여기에 글리세린을 추가하여 최종적인 슬라임 또는 젤리클리너 용액을 만듭니다. 이 때 각 성분의 배합 비율과 혼합 순서, 속도 등이 중요합니다. 완성된 용액은 점성과 탄성, 유동성 등의 물성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조정할 수 있습니다. 실험 과정에서는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정확한 측정과 기록이 필요합니다.
  • 6. 실험 결과 비교
    슬라임 및 젤리클리너 제조 실험을 통해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각 성분의 배합 비율, 혼합 방법, 반응 시간 등에 따라 최종 제품의 물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붕사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젤리클리너의 점성이 높아지고, 글리세린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동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PVA의 분자량과 용해도에 따라서도 제품의 특성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면 최적의 슬라임 및 젤리클리너 제조 조건을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실험 변수를 조절하여 목적에 맞는 제품 개발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