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을 기반으로 한 쿨 미디어의 수사학
본 내용은
"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최종 미디어의 이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5
문서 내 토픽
  • 1. 미디어와 수사학의 관계
    미디어와 수사학은 고대부터 함께해온 관계로, 뗄레야 뗄 수 없는 사이다. 미디어는 의사소통의 도구이며, 수사학은 당연히 의사소통을 통해 진행될 수 밖에 없다. 다양한 매체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이 기술은 사회를 통합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행해져야 하는 요소이다. 수사학에서는 화자를 중심으로 고려하여 설득을 하기보다는 듣는 사람을 배려하는 데에 치중하며, 청자의 입장과 태도,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만이 수용자를 궁극적으로 설득, 즉 태도의 변화와 사고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에 다다를 수 있다.
  • 2. 텔레비전의 쿨 미디어 특성
    텔레비전은 쿨 미디어의 대표적인 예이다. 텔레비전 영상은 불이 켜졌다 꺼졌다 하며 전달되고, 수평 및 수직 선으로 분할 가능한 각각의 라인인 주사선을 통해 차례대로 합쳐져 면을 이룸으로써 영상을 전달한다. 이러한 매체 자체의 특징이 각기 다른 수용의 형식을 결정짓는다. 텔레비전은 명멸하는 점이기 때문에 그 사이를 인간의 뇌가 메우고, 영화는 이미지의 나열이기 때문에 시각의 고밀도 확장이 요구된다. 또한 텔레비전은 배경의 역할을 할 수 없다. 수용자의 참여를 필수적으로 요하며, 우리가 텔레비전과 함께해야만 텔레비전은 텔레비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3. 텔레비전의 수사학적 특성
    텔레비전의 수사학은 전형적인 쿨 미디어의 수사학이다. 시청자들이 프로그램에 동질감을 느끼게 만들기 위해 감정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해놓고, 반응을 유발한다. 그렇게 되면 시청자들은 그것을 개인적 감정이라고 느끼고, 프로그램 내용에 동조하게 만든다. 하나의 감각만 자극하는 것이 아닌 여러 감각을 자극하며 상상의 여지를 주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미디어와 수사학의 관계
    미디어와 수사학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미디어는 다양한 수사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 수용자의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뉴스 보도에서는 프레이밍, 은유, 비유 등의 수사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특정 관점을 강조하거나 사건을 해석합니다. 광고에서는 감정적 호소, 권위 있는 인물의 등장, 비교 등의 수사학적 기법을 통해 제품의 가치를 부각시킵니다. 이처럼 미디어는 수사학적 전략을 활용하여 수용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며, 수사학은 미디어 메시지의 생산과 해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텔레비전의 쿨 미디어 특성
    텔레비전은 마셜 맥루한이 정의한 '쿨 미디어'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쿨 미디어는 낮은 해상도와 불완전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상상력을 요구합니다. 텔레비전은 시각과 청각 정보를 제공하지만, 화면의 해상도가 낮고 정보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수용자가 능동적으로 메시지를 해석하고 상상력을 발휘해야 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텔레비전은 수용자와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며, 수용자의 참여와 몰입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텔레비전은 수용자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자극하는 쿨 미디어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 3. 텔레비전의 수사학적 특성
    텔레비전은 다양한 수사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먼저, 화면 구성, 카메라 앵글, 조명, 편집 등의 기술적 요소를 통해 특정 관점을 강조하거나 감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뉴스 보도에서는 앵커의 표정과 목소리 톤, 화면 구성 등을 통해 사건에 대한 해석을 전달합니다. 또한 자막, 그래픽, 인터뷰 등의 수사학적 장치를 활용하여 메시지를 강화하고 수용자의 이해를 돕습니다. 더불어 텔레비전은 시각과 청각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여 수용자의 감정적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텔레비전은 다양한 수사학적 기법을 통해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수용자에게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