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리학 약물정리
본 내용은
"
약리학 약물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4
문서 내 토픽
-
1. 통증 메커니즘통증은 외부의 자극에 의해 감각신경의 말단에서 척수를 통해 중추신경계로 전도된다. 감각신경의 말단은 열, 물리적 및 화학적 자극에 의해 Na+ 및 Ca²+등이 세포 내로 유입되면, 탈분극 되어 활동전위가 발생되어 통증을 대뇌피질에 전달함으로써 통증을 느끼게 한다. 피부의 통증은 기계적 자극으로 일어나나, 근육이나 내장기관은 지각 신경이 발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 자극에는 무감각하다.
-
2. 진통약 분류진통약은 마약성과 비마약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마약성 진통약이란 모든 통증을 완화 또는 소실시키는 약물로서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의식의 소실 없이 진통작용만을 나타내는 약물이고 효능약, 부분 효능약, 순수 길항약으로 분류한다. 비마약성 진통약은 salicylates류, acetaminophen,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약(NSAIDs), 선택적 COX-2 저해약으로 분류한다.
-
3. 소화기계 구조 및 기능소화는 구강으로 음식물을 섭퓌하고 이를 분해하여 흡수되기 쉽게 하는 작용을 말하며, 이를 관장하는 기관을 소화기계라 한다. 소화기계는 입,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직장, 및 기타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화기계는 주로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으며, 그 외에도 위장관 호르몬과 같은 내분비계의 영향도 받고 있다.
-
4. 소화기계 약물소화기계에 작용하는 약물은 건위 소화약, 소화성 궤양 치료약, 최토 및 진토약, 설사 및 지사약, 장내 살균약, 담낭 및 간장질환 치료약 등이 있다.
-
5. 항균제 분류 및 작용기전원핵생물인 세균은 진핵생물인 인간에 침입하여 질병을 일으키기 때문에, 세균에 감염되었을 때 약물치료는 가능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세균에만 선택적 독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요법제 및 항생물질은 Gram(+)균 및 Gram(-)균의 성장을 모두 억제하는 약물은 광범위 항균제이고, 한 종류의 세균만 억제하는 것은 협범위 항균제라 한다. 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약물에는 유기 합성에 의해 만들어진 화학요법제와 미생물에서 만들어진 항생물질이 있으며, 작용기전에 따라 분류하면 엽산 합성을 억제하는 약물,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는 약물, 세포막 투과성을 억제하는 약물,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약물, 30S 억제제, 핵산 합성을 억제하는 약물로 구분되며 결핵 치료약, 나병 치료약, 항진균약, 항아메바약, 항말라리아약, 항기생충약, 항바이러스약 등이 있다.
-
1. 통증 메커니즘통증은 신체의 중요한 방어 기능으로, 조직 손상이나 질병을 알려주는 신호입니다. 통증 메커니즘은 복잡하지만 크게 말초 수용기에서 시작되어 척수와 뇌로 전달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말초 수용기에서 발생한 통증 자극은 척수를 거쳐 뇌로 전달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가 관여합니다. 또한 중추신경계에서는 통증을 조절하는 기전이 작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통증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효과적인 통증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
2. 진통약 분류진통약은 통증 발생 및 전달 과정에 작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약물입니다. 진통약은 작용 기전에 따라 크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아편성 진통제, 국소 마취제 등으로 분류됩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제하여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키며, 아편성 진통제는 중추신경계의 아편 수용체에 작용하여 통증을 차단합니다. 국소 마취제는 신경 전도를 차단하여 국소적인 진통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진통약의 분류와 작용 기전에 대한 이해는 환자 개인의 특성과 통증 상태에 따른 적절한 진통제 선택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3. 소화기계 구조 및 기능소화기계는 음식물을 섭취, 소화, 흡수하여 인체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중요한 기관계입니다. 소화기계는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등으로 구성되며, 각 기관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기능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구강에서는 저작과 연하, 위에서는 산 분비와 소화, 소장에서는 효소 분비와 영양분 흡수, 대장에서는 수분 흡수와 배설 등의 기능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는 소화기 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 접근에 필수적입니다.
-
4. 소화기계 약물소화기계 약물은 소화기 질환의 예방, 치료 및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인 소화기계 약물로는 제산제, 위산분비억제제, 제吐제, 설사약, 변비약 등이 있습니다. 제산제는 위산을 중화시켜 소화불량과 위궤양을 치료하고, 위산분비억제제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위식도 역류질환과 위궤양을 치료합니다. 제吐제는 구토를 억제하고, 설사약과 변비약은 각각 설사와 변비를 조절합니다. 이러한 소화기계 약물의 작용 기전, 적응증, 부작용 등에 대한 이해는 환자 개인의 증상과 상태에 따른 적절한 약물 선택과 투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5. 항균제 분류 및 작용기전항균제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의 감염성 병원체를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약물입니다. 항균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세포벽 합성 억제제, 단백질 합성 억제제, DNA/RNA 합성 억제제, 세포막 기능 저해제 등으로 분류됩니다. 세포벽 합성 억제제는 세균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여 세균을 사멸시키고, 단백질 합성 억제제는 세균 리보솜의 단백질 합성을 차단합니다. DNA/RNA 합성 억제제는 세균의 유전 물질 합성을 방해하며, 세포막 기능 저해제는 세균 세포막의 투과성을 변화시켜 세균을 사멸시킵니다. 이러한 항균제의 분류와 작용 기전에 대한 이해는 감염 병원체와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항균제 선택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약리학, 약물] 발작의 분류, 항간질약 정리 [핵심 약리학, 은학사, 교과서 정리, 핵심정리, 요약, 요점]1. 발작의 분류 발작은 전신발작과 부분발작으로 분류됩니다. 전신발작에는 대발작, 소발작, 근간대성 발작, 열성발작, 간질지속증이 있습니다. 부분발작에는 단순 부분발작과 복합 부분발작이 있습니다. 2. 항간질약 주요 항간질약에는 benzodiazepines, phenobarbital, phenytoin, carbamazepine, divalproex, et...2025.05.10 · 의학/약학
-
약리학 정리(약의기전, 간호중재)1. 쇼크와 아나필락시스 약물 쇼크와 아나필락시스 치료를 위한 약물에는 dopamine, epinephrine, 이뇨제 등이 있다. 이들 약물의 약리기전, 치료분류, 부작용 등을 정리하였고, 간호중재로는 호흡상태 관찰, 수분섭취량/배설량 모니터링, 전해질 및 소변색 확인 등이 포함된다. 2. 염증과 면역조절 약물 염증 및 면역 조절을 위한 약물로는 NSAI...2025.05.04 · 의학/약학
-
약리학 약물정리 과제 약물20개1. 항균제(항생제) 항균제(항생제)에는 아목시실린수화물, 클라불란산칼륨(오구멘틴정375mg), 독시사이클린수화물(바이브라마이신엔정100mg), 이소니아지드(신풍이소니아짓정) 등이 있다. 이들은 세포벽 생성 및 합성을 방해하거나 테트라사이클린계열, 항결핵제 등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감염증에 사용된다. 부작용으로는 소화기계, 간장, 과민반응 등이 나타날 수 있...2025.05.08 · 의학/약학
-
약리학 자율신경계 약물 정리1. 자율신경계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구성되며, 각각의 수용체와 작용 기전이 다르다. 교감신경계는 주로 α와 β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며, 부교감신경계는 주로 무스카린성 수용체를 통해 작용한다. 이러한 자율신경계 약물들은 각 장기와 기관에 다양한 작용을 나타내며, 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 교감신경 효현제 교감신경 효현제는 β2 수...2025.01.16 · 의학/약학
-
고지혈증 치료제(설명), 고지혈증, 고지혈증의 치료제, 고지혈증 치료제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 정리1. 관상동맥심장질환 관상동맥심장질환(CAHD)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심장 근육의 운동은 산소와 영양분을 필요로 하고 관상동맥을 통해 들어오는 혈액에 의해 공급된다. 이러한 동맥이 콜레스테롤이나 지방 침전물에 의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 관상동맥심장질환이다. 2. 고지혈증...2025.05.10 · 의학/약학
-
약리학약물정리_응고조절_빈혈치료_항고지질혈증 약물1. 응고조절약물 응고조절약물은 혈액 응고 과정을 조절하는 약물입니다. 혈액 응고 과정은 복잡한 연쇄반응으로 이루어지며, 응고 인자들의 활성화와 억제를 통해 혈전 형성을 조절합니다.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등이 이에 속합니다. 2. 빈혈치료제 빈혈은 적혈구 수 또는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철분 결핍, 비타민 결핍, 골수 기능 저하 등이 원인...2025.01.20 · 의학/약학
-
약리학 약물 정리 35페이지
* warfrine (Coumadin)- 치료적 분류 : 항응고제(경구)- 약리적 분류 : 비타민 K 길항제* 작용기전 및 임상적 사용- 와파린은 고관절 무릎 또는 무릎 수술중인 환자, 장기간 중심정맥 카테터 유지 또는 인공판막 환자의 뇌졸중, 심근경색, DVT 및 폐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해 투여- 이 약물은 심근경색이나 심방세동 후 혈전색전증을 방지하는 데 사용됨- 정상적인 기능은 혈장 삼투압을 유지하고 혈액을 통해 지방산, 특정 호르몬, 약물 분자 등 특정 물질을 운반하는 것- 헤파린에서 와파린으로 전환할 때 두 약물을 중복 투여...2025.03.21· 35페이지 -
약리학_주요약물정리 15페이지
1. 아드레날린성 약물 (교감시경 유사제)구분내용약물 -. Midodrine (α 수용체)"상품명및사진""미드론정(Midron Tab.)""작용기전및임상응용"" -. 혈관을 수축하여 혈압을 상승시킴으로써 저혈압(기립성, 본태성, 증후성)을치료하는 약입니다.-. 말초혈관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고, 교감신경 알파 수용체에만 직접 작용하여심장과 중추신경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기립시 많은 양의 혈액이 하지쪽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하며, 말초혈관저항을증가시켜줌으로써 인체상부의 불충분한 혈액공급을 개선시킵니다.-. 효소적 분리와 ...2022.06.02· 15페이지 -
약리학 원형약물 정리 2페이지
제 4부 심혈관계와 요로계23장 협심증과 심근경색 치료제Nitroglycerin치료적 분류 : 항협심증제약리적 분류 : 유기 질산염, 혈관이완제Atenolol(Tenormin)치료적 분류 : 항부정맥제약리적 분류 : β 아드레날린차단제Diltiazem치료적 분류 : 항부정맥제약리적 분류 : 칼슘 경로 차단제Rereplase치료적 분류 : 혈청을 녹이기 위한 약물약리적 분류 : 혈전용해제24장 부정맥 치료제Procainamide치료적 분류 : 항부정맥제약리적 분류 : 나트륨 경로 차단제Propranolol치료적 분류 : 클래스 Ⅱ 항...2021.09.23· 2페이지 -
간호약리학 약물 요점정리 12페이지
Ÿ 관상동맥질환(CAD): 관상동맥의 협착(→ 세포에 필요한 산소, 영양분 공급 중단 → 심근허혈 → 심장마비 ) or 폐색- 원인: 죽상경화증(: 관상동맥 벽 안에 지방이 낀 섬유질인 플라크가 쌓이는 것)Ÿ 협심증: 심근의 일부분에 충분한 산소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유발하는 급성 흉부 통증, 55세 이상에서 발병 ↑- 증상: 앞쪽 흉부의 지속적인 강한 통증 + 가끔 조이거나 압박하는 느낌 (왼쪽 어깨-왼쪽 팔 아래-흉추 뒤쪽-턱위로 방사) + 심한 정서적 장애(금방 죽을 것 같은 불안, 공포감) + 청색증을 동반한 호흡곤란, 다...2021.09.16· 12페이지 -
약리학 약물 종류 및 기능 정리 7페이지
콜린성 약물(직접 작용)bethanechol배뇨 촉진, 구강건조 치료, 탈수 위험pilocapine녹내장, 구강건조 치료carbachol, edrophonium녹내장 치료(간접 작용)donepezil, galantamine알츠하이머병 치료neostigmine수술 후 요정체, 중증 근무력증physotigmine중증의 항콜린성 독성 치료항콜린성 약물atropine, belladonna수술 중 분비물 억제 (수술 전 투여), 동공 확장, 응급 해독제ipratropium기관지 확장, 천식 치료scopolamine멀미약, 오심 & 구토 예방...2022.12.07·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