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으로 정리한 수목의 분류
본 내용은
"
학명으로 정리한 수목의 분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0
문서 내 토픽
-
1. 가로수 및 녹지대에 식재되는 나무가로수 및 녹지대에 식재되는 나무에는 은행나무, 소나무, 곰솔, 백송,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분비나무, 전나무, 구상나무, 일본잎갈나무, 독일가문비, 히말라야시다, 메타세쿼이아, 낙우송, 편백, 서양측백, 측백나무, 화백, 아카시나무 등이 있습니다. 이들 나무는 도시 경관을 아름답게 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합니다.
-
2. 한국의 특산나무한국의 특산나무에는 히어리, 개느삼, 미선나무, 구상나무, 개비자나무, 매자나무, 아그배나무, 노각나무, 백서향, 함박꽃나무, 망개나무, 황칠나무, 개나리, 수수꽃다리, 오동나무, 괴불나무, 병꽃나무, 만병초 등이 있습니다. 이들 나무는 한국 고유의 생태계와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식물자원입니다.
-
3. 궁궐의 우리나무궁궐의 우리나무에는 자귀나무, 박달나무, 화살나무, 국수나무, 오리나무, 가죽나무, 자작나무, 음나무, 쉬나무, 개암나무, 참개암, 산딸나무, 팥배나무, 귀룽나무, 피나무, 층층나무, 복자기, 돌배나무, 야광나무, 아그배나무, 팽나무, 물푸레나무, 산사나무 등이 있습니다. 이들 나무는 궁궐 경관을 아름답게 하고 우리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식물자원입니다.
-
4. 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에는 가막살나무, 골담초, 꽃사과, 낙상홍, 누리장나무, 능소화, 등나무, 마가목, 매발톱나무, 모감주나무, 모란, 목련, 무궁화, 박태기나무, 보리수나무, 수국, 옥매, 으아리, 작약, 피나무, 해당화, 황매화 등이 있습니다. 이들 나무는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고 우리 전통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
5. 산과 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나무산과 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나무에는 말채나무, 청가시덩굴, 청미래덩굴, 때죽나무, 붉나무, 생강나무, 서어나무, 싸리, 개옻나무, 작살나무, 쪽동백, 아까시나무, 앵두나무, 으름, 찔레, 팥배나무, 까치박달, 덜꿩나무, 분꽃나무, 진달래, 두릅나무, 칡, 노린재나무, 고로쇠, 딱총나무, 당단풍 등이 있습니다. 이들 나무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자원입니다.
-
6. 쓰임새가 요긴한 나무쓰임새가 요긴한 나무에는 가래나무, 호두나무, 감나무, 고욤나무, 다래, 닥나무, 대나무, 대추나무, 매실나무, 머루, 모과나무, 밤나무, 벽오동, 복분자딸기, 뽕나무, 꾸지뽕, 산초나무, 살구나무, 오갈피나무, 오미자나무, 초피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등이 있습니다. 이들 나무는 식용, 약용, 공예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7. 옥상녹화에 쓰이는 수목옥상녹화에 쓰이는 수목에는 계수나무, 사철나무, 남천, 왜성정향, 배롱나무, 섬잣나무, 안개나무, 댕강나무, 백당나무, 불두화, 인동, 명자나무, 병아리꽃나무, 복사나무, 조팝나무, 좀조팝나무, 산철쭉, 향나무, 산수유, 팥꽃나무, 조릿대 등이 있습니다. 이들 나무는 옥상녹화를 통해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생태계를 보전하는데 기여합니다.
-
8. 기타 근교산 및 남부지방에서 볼 수 있는 나무근교산 및 남부지방에서 볼 수 있는 나무에는 중국굴피나무, 물오리나무, 고로쇠나무, 아카시나무, 쇠물푸레, 노간주나무, 두충, 시무나무, 풍년화, 개쉬땅나무, 누리장나무, 난티나무, 댕댕이덩쿨, 미국담쟁이덩굴, 노박덩굴, 마삭줄, 녹나무, 식나무, 홍가시나무, 피라칸다, 돈나무, 동백 등이 있습니다. 이들 나무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식물자원입니다.
-
1. 가로수 및 녹지대에 식재되는 나무가로수와 녹지대에 식재되는 나무는 도시 환경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도시의 미관을 아름답게 하고, 공기 정화와 온도 조절 등 다양한 생태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가로수로는 은행나무, 느티나무, 양버즘나무 등이 많이 사용되며, 녹지대에는 소나무, 단풍나무, 벚나무 등이 식재됩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도시민들에게 휴식과 여가 공간을 제공하며, 생물 다양성 증진에도 기여합니다. 따라서 도시 계획 시 가로수와 녹지대 조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기존 수목의 보호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
2. 한국의 특산나무한국의 특산나무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자연 자원이자 문화적 자산입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오랜 세월 동안 한반도의 기후와 토양에 적응하며 자생해왔으며, 우리 민족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습니다. 대표적인 한국 특산나무로는 느티나무, 단풍나무, 소나무, 참나무 등이 있습니다. 이들 나무는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고,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 역할을 합니다. 또한 목재, 약재, 식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이러한 특산나무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한국 특산나무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의 자연 유산을 지켜나가야 할 것입니다.
-
3. 궁궐의 우리나무궁궐의 우리나무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대변하는 중요한 자산입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오랜 세월 동안 궁궐 내에서 자라며 왕실과 깊은 연관을 맺어왔습니다. 대표적인 궁궐 수목으로는 느티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향나무 등이 있습니다. 이들 나무는 단순한 경관 요소를 넘어 역사적 의미와 상징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복궁의 소나무는 임진왜란 당시 왕실을 지켜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창덕궁의 향나무는 왕실의 기운을 상징하는 나무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처럼 궁궐의 우리나무는 단순한 자연물이 아닌 우리 역사와 문화의 일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나무들에 대한 보존과 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의 전통을 계승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
4. 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대표합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봄, 여름, 가을 등 계절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며, 우리에게 시각적 즐거움과 심미적 만족감을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벚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단풍나무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들 나무는 아름다운 꽃과 열매로 인해 우리 주변 경관을 풍요롭게 하며,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 역할도 합니다. 또한 이러한 나무들은 우리 문화와 전통에도 깊이 뿌리박혀 있어, 우리 삶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들을 보호하고 가꾸는 것은 우리 자연과 문화를 지키는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산과 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나무산과 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나무들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자연 자원입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오랜 세월 동안 한반도의 기후와 토양에 적응하며 자생해왔으며,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소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밤나무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들 나무는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고, 목재, 식용, 약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또한 이러한 나무들은 우리 문화와 전통에도 깊이 뿌리박혀 있어, 우리 삶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이러한 자연 자원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산과 들의 자생 나무들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의 자연 유산을 지켜나가야 할 것입니다.
-
6. 쓰임새가 요긴한 나무쓰임새가 요긴한 나무들은 우리 생활에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왔습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목재, 식용, 약용, 공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으며, 우리 문화와 전통에도 깊이 뿌리박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소나무, 참나무, 밤나무, 오동나무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소나무는 목재와 수지로 활용되었고, 참나무는 연료와 건축재로 사용되었습니다. 밤나무는 식용 열매를 제공하였으며, 오동나무는 공예품 제작에 활용되었습니다. 이처럼 쓰임새가 요긴한 나무들은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이러한 나무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나무들에 대한 보존과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의 전통 문화와 자연 자원을 지켜나가야 할 것입니다.
-
7. 옥상녹화에 쓰이는 수목옥상녹화에 쓰이는 수목은 도시 환경 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옥상녹화는 도시의 열섬 현상 완화, 에너지 절감, 대기 정화, 생물 다양성 증진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옥상 환경에 적합한 수목 선택이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옥상녹화 수목으로는 돌배나무, 사철나무, 담쟁이덩굴, 조팝나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내건성, 내공해성, 내풍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옥상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들 나무는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고 도시민들에게 휴식과 여가 공간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옥상녹화 사업 시 이러한 수목들의 활용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도시 환경 개선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8. 기타 근교산 및 남부지방에서 볼 수 있는 나무근교산과 남부지방에서 볼 수 있는 나무들은 우리나라의 다양한 자연 환경을 대변하는 중요한 자원입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각 지역의 기후와 토양 특성에 맞게 자생하며,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편백나무, 구상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편백나무는 남부 지방의 산림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구상나무는 높은 고도의 근교산에서 자생합니다. 동백나무와 후박나무는 남해안 지역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고, 목재, 약용, 식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개발과 환경 변화로 인해 이들 나무의 서식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근교산과 남부지방의 자생 나무들에 대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생태적 다양성을 지켜나가야 할 것입니다.
-
식물 자원 보호 및 활용을 위한 국내외 연구 현황 및 내용 7페이지
주제: 식물 자원 보호 및 활용을 위한 국내외 연구 현황 및 내용- 목 차 -Ⅰ. 서론Ⅱ. 본론1. 식물 자원 보호 및 활용의 중요성2. 생물권보전지역의 개념과 기능3. 생물권보전지역과 식물자원에 대한 연구Ⅲ. 결론Ⅳ. 참고문헌Ⅰ. 서론현대사회는 각종 개발과 과학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편리함이 증가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자연파괴와 환경파괴로 인하여 이상기후와 기후변화로 각종 질병이 늘어나고 있고 또 한편으로는 인구의 고령화와 기대수명의 증가로 인하여 만성질환자가 늘어나고 있어 다양한 치료약물과 예방약 등의 연구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2022.06.23· 7페이지 -
[식물육종학및실습] 스테비아 파종, 무 파종 5페이지
[식물육종학및실습] 스테비아, 무 파종실험목적스테비아와 무에 대해서 알아보고, 각각의 식물들을 파종하는 방법을 배운다.실험이론* 파종 (seeding)- 작물의 종자를 밭이나 묘상에 뿌리는 일 (=씨 뿌리기)- 파종 시기는 생리상적기와 실제 재배상의 시기를 절충하여 결정한다.cf. 생리상 적기 : 토지의 기후 조건, 작물의 특성에 따라 결정실제 재배상 적기 : 경영상의 노동력, 수확물의 가격변동, 재해의 회피에 따라 결정- 파종 방법은 재배방식에 따라 다르다.- 파종방식의 종류(1) 흩어뿌림 : 밭 전체에 종자를 뿌리는 매우 조방적...2020.06.28· 5페이지 -
<수업계획서 쓰기- 교육대학교>(교육대학) 교직수업 듣는분들 연습하실만한 양식 및 조경식물학 수업 수업안입니다. (조경학과) 22페이지
결재지도교사계연구부장교감교장조경과 수업안교 과 목조경 식물학실시일시장 소대 상지도교사수업교생차 례Ⅰ. 교재관11. 단원의 설정12. 교재의 구성2Ⅱ. 학생관41. 학생실태 조사42. 학생실태 조사 결과 분석6Ⅲ. 지도관71. 지도관72. 지도상의 유의점73. 단원의 목표84. 본시 수업 모형9Ⅳ. 본시 수업안10Ⅴ. 판서계획13Ⅵ. 형성평가14Ⅶ. 실습 지시서15Ⅷ. PPT 자료16대단원Ⅲ정원의 시공중단원5. 포장 공사소단원벽돌 포장 공사지도대상수업일시Ⅰ. 교재관1. 단원 설정의 이유부유해지면서 21세기 사람들은 녹색환경, 친환경,...2016.06.24· 22페이지 -
분류학의 개념과 역사 11페이지
R E P O R T분류학 개념 및 역사분류학[ 목차 ]1. 분류학의 개념2. 분류학의 목적3. 계통수4. 분류학의 역사가. 원시시대나. 그리스~중세기다. 16 ~ 17세기라. 18 세기마. 19세기 전반 (경험주의적 접근)바. 19세기 후반 (진화사상의 영향)사. 20세기 전반5. 생물학적 분류와 진화적 유연관계6. 분류의 작업7. 동물분류학의 연구 단계8. 동물분류학에 관련된 용어9. 참고문헌1. 분류학의 개념어떤 과학에서도 거기에 나타난 사상을 분류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특히 생물학에서는 많은 종류의 동식물을 다루게 되므로...2016.08.11· 11페이지 -
곤충 채집사진 및 자료 31페이지
곤충학 및 실험(곤충채집 사진)※ 채집 날짜 순으로 정리.종 : 무당벌레 학명 : Harmonia axyridis 장소 : 원광대학교 수목원 채집날짜: 2009.04.06특징 : 주로 봄철에 많이 활동하며, 몸은 대부분에 딱지날개이고 광택이 난다.진딧물의 천적이다.종 : 수중다리꽃등에 학명 : Helophilus virgatus Coquillett 장소 : 원광대학교 수목원 채집날짜: 2009. 04. 06특징 : 파리목, 꽃등에과의 곤충으로 . 다리 ·더듬이는 흑갈색이며, 넓적다리마디의 기부와 무릎은 황적색이다.종 : 모메뚜기 학...2009.06.30· 3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