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의 종류와 특성, 예방 및 관리법
본 내용은
"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의 종류와 특성, 예방 및 관리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7
문서 내 토픽
  • 1.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SAR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은 2002년 11월 중국 광동 지역을 중심으로 발병 시작되어 수개월 만에 홍콩, 싱가포르, 캐나다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신종 전염병이다. 사스는 동물 숙주 Coronavirus 변종에 의해 동물로부터 사람으로 종간의 벽을 넘어 감염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며, 환자의 호흡기 비말이나 오염된 매개물을 통해 점막의 직·간접 접촉에 의해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발열, 권태감, 근육통, 두통, 오한 등의 전신 증상과 마른 기침, 호흡곤란, 설사 등이 있으며, 검체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로 진단한다. 예방 백신은 없으며, 일반적인 감염 예방 수칙 준수가 중요하다.
  • 2. 신종 인플루엔자 A
    신종 인플루엔자 A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생긴 새로운 바이러스로, 2009년 전 세계적으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킨 호흡기 질환이다. 돼지독감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재조합된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이며, 감염된 환자의 호흡기로부터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해 비말감염된다. 증상으로는 고열, 근육통, 두통, 오한 등의 전신 증상과 마른기침, 인후통 등의 호흡기 증상이 있으며, 비인후 도말이나 비인후 흡인액에 대해 PCR 검사로 진단한다. 항바이러스제 치료로 오셀타미버(oseltamivir)가 사용된다.
  • 3. 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중동지역 아라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2012년부터 2023년 1월 30일까지 전 세계적으로 감염을 일으킨 중증급성호흡기질환이다.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가 병원체이며, 현재까지 명확한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았지만 중동지역과 연관이 있는 경우 보고되고 있다. 증상으로는 발열, 기침, 호흡곤란, 숨가뿜 등의 호흡기 증상과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이 있으며, 검체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로 진단한다. 예방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증상에 따른 내과적 치료가 시행된다.
  • 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되어 팬데믹을 초래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주로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긴 비말을 통해 감염되며, 무증상, 경증, 중증까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코로나19 자가키트, 신속항원 검사, PCR 검사 등으로 진단하며, 백신(바이러스 벡터, RNA, 재조합 백신)과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 등으로 치료 및 예방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SAR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은 2003년 중국 광둥성에서 처음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다. SARS는 전 세계적으로 약 8,000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77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SARS는 호흡기 증상과 함께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각한 경우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다. SARS는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며, 특히 의료진과 가족 구성원 간 전파가 많았다. SARS 발생 당시 신속한 대응과 격리 조치로 전 세계적인 확산을 막을 수 있었다.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보다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2. 신종 인플루엔자 A
    신종 인플루엔자 A는 2009년 멕시코에서 처음 발생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이다. 이 바이러스는 기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다른 유전자 구성을 가지고 있어 사람들의 면역력이 없어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신종 인플루엔자 A는 발열, 기침, 인후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각한 경우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당시 신속한 백신 개발과 항바이러스제 투여, 격리 조치 등으로 전 세계적인 대유행을 막을 수 있었다. 이번 경험을 통해 향후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과 대비 체계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3. 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은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다. MERS는 주로 중동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2,500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85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MERS는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각한 경우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다. MERS는 낙타와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며, 특히 의료기관 내 전파가 많았다. MERS 발생 당시 신속한 대응과 격리 조치로 전 세계적인 확산을 막을 수 있었다.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보건 체계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다. COVID-19는 전 세계적으로 약 6억 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약 65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COVID-19는 발열, 기침, 호흡곤란, 후각 및 미각 상실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각한 경우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다. COVID-19는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며, 특히 밀접 접촉을 통한 전파가 많았다. COVID-19 발생 당시 각국 정부의 봉쇄 조치, 백신 개발, 치료제 투여 등 다각도의 노력으로 전 세계적인 확산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과 보건 체계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