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학 레포트] 피부질환에 관한 모든 것
본 내용은
"
[병리학 레포트] 피부질환에 관한 모든 것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6
문서 내 토픽
  • 1. 피부의 구조
    피부(skin)는 인체를 감싸고 있는 하나의 생체기관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는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인체 방어, 감각기관의 기능을 가지며, 인체가 건조해지는 것 방지, 체온조절에 관여, 자외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 내부 장기의 질환을 반영, 면역기관의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의 가장 바깥층은 표피이며, 4~5층의 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아래층은 기저층(성장층)이며 새로운 세포를 생산한다. 이 세포들이 점차적으로 표면을 향해 올라오면서 죽고, 피부의 두껍고 단단하게 하는 단백질인 케라틴(keratin)으로 채워지게 된다. 표피(epidermis)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은 편평한 죽은 방어세포로 구성되며, 계속 떨어져 나가면서 보충된다. 표피의 일부 세포는 멜라닌을 생성하여 피부의 색이 되고 햇빛을 막아준다. 진피(dermis)는 표피 아래에 있으며 결합조직, 신경, 혈관, 림프계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층은 피부를 지지하고 영양을 공급한다. 진피 아래의 피부밑조직은 주로 결합조직과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 2. 원발진과 속발진
    원발진(일차병소)과 속발진(이차병소)은 다음과 같다. 원발진에는 피진(macule), 구진(papule), 반점(patch), 판(plaque), 팽진(wheal), 결절(nodule), 종양(tumor), 소수포(vesicle), 대수포(bulla), 농포(pustule), 낭종(cyst), 모세혈관확장증(telangiectasis)이 있다. 속발진에는 인설, 태선화, 켈로이드, 반흔, 찰상, 균열, 미란, 궤양, 가피 등이 있다.
  • 3. 염증성 피부질환
    접촉성 피부염은 세제, 화장품, 옻칠 등의 자극인자에 의한 알레르기성 염증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 소인과 환경인자로 인해 가려움증이 심한 습진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건선은 두꺼운 은백색의 비늘에 싸인 홍반이 생기는 만성 염증성 피부병이다. 담마진은 심한 가려움과 구진이 다수 보이는 일과성의 알레르기성 질병이다. 수포성 질환에는 심상성 천포창과 수포성 천포창이 있다.
  • 4. 감염성 피부질환
    매독은 매독균 감염으로 인한 전염성 성병이며, 후천성 매독과 선천성 매독이 있다. 바이러스성 질병으로는 단순포진, 수두, 대상포진, 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등이 있다.
  • 5. 피부종양
    표피유래 종양으로는 지루성 각화증, 유표피 낭포, 일광성 각화증, 보웬병, 편평상피암 등이 있다. 피부부속기 유래 종양으로는 각질극세포종, 기저세포암, 파제트병 등이 있다. 멜라닌세포 유래 종양으로는 색소성 모반, 악성 흑색종 등이 있다. 피부의 연부 종양에는 피부섬유종, 융기성 피부섬유육종, 카포시육종 등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원발진과 속발진
    피부 질환을 진단할 때 원발진과 속발진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발진은 피부 질환의 첫 번째 증상으로 나타나는 병변을 말하며, 이는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반면 속발진은 원발진에 이어 나타나는 병변으로, 질환의 진행 과정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수두의 경우 붉은 반점이 원발진이며, 이후 수포가 생기는 것이 속발진입니다. 이처럼 원발진과 속발진을 구분하면 피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감염성 피부질환
    감염성 피부질환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등의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화농성 피부 감염증, 바이러스성 피부 감염증, 진균성 피부 감염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피부 병변 외에도 전신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염원의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적절한 항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개인 위생 관리와 감염 예방 교육이 중요하며,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