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기관 내 흡인
본 내용은
"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기관 내 흡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5
문서 내 토픽
-
1.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처방을 확인한 후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4.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5.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 팔찌와 환자리스트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6. 대상자에게 산소요법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7. 대상자에게 가능하면 반좌위를 취해준다. 8. 습윤병에 증류수를 정해진 눈금까지 채운 후 증류수 마개를 닫는다. 9. 유량계와 습윤병을 연결한 후 Wall O2에 산소 유량계를 꽂는다. 10. 습윤병에 있는 산소장치와 출구와 비강 캐뉼라를 연결한다. 11. 대상자에게 연결하기 전에 비강 캐뉼라를 통해 산소가 나오는지 확인한 후 유량계를 잠근다. 12. 대상자의 비공 폐색 여부를 확인한다. 13. 캐뉼라 끝부분을 대상자의 양쪽 비강에 삽입하고 귀 뒤에 걸친 후 턱 밑에서 길이를 조절한다. 14. 유량계를 열어 처방된 산소 흡입량을 눈 높이에서 조절한다. 15. 대상자에게 가능하면 입을 다물고 코를 통해 호흡하도록 설명한다. 16. 대상자를 편안하게 해준 후 산소사용에 따른 화재 위험성과 피부 손상(코, 귀 등 접촉 부위) 등을 설명한다. 17.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8.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2. 기관 내 흡인1. 물과 비누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4.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5.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 팔찌와 환자 리스트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6. 대상자에게 기관 내 흡인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7. 흡인압을 점검한다. 8. 흡인시 체위는 의식이 있는 대상자의 경우 반좌위로 하고 무의식 대상자는 측위에서 간호사와 얼굴을 마주보도록한다. 9. 일회용 멸균 생리 식염수 30ML를 개봉한다. 10. 카테터의 개봉 부위를 약간 개봉한 후, 카테터와 흡인병이 연결되는 압력 조절구 쪽을 노출하여 흡인 라인과 연결한다. 11.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2. 양손에 멸균 장갑을 낀다. 13. 흡인 라인을 잡을 손으로 흡인기를 켠다음 흐빈 라인을 들고 흡인을 할 손으로 포장지 바깥쪽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며 카테터를 꺼낸다. 14. 삽입할 카테터의 길이를 정한 후 끝을 생리식염수로 윤활 시키고 흡인 라인을 잡은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연결관을 눌러보아 식염수가 잘 통과하는지 확인한다. 15. 연결관을 막고 카테터를 잡은 손 엄지와 검지로 카테터를 부드럽게 회전시키면서 위로 뺀다. 16. 흡인을 한 카테터는 무균용기에 있는 생리 식염수를 다시 통과 시킨다. 17. 분비물이 제거 될때까지 3-4회 같은 방법으로 흡인을 시행하되, 20-30초간격을 유지한다. 18. 흡인이 끝나면 장갑을 벗고, 흡인기를 끈 다음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19.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0.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1.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은 호흡 곤란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비침습적이며 환자의 편안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산소 공급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환자의 상태에 맞춰 적절한 산소 공급이 가능합니다. 다만 장기간 사용 시 비강 점막의 자극 및 건조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른 산소 공급 방법이 더 적합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세심한 평가와 판단이 중요합니다.
-
2. 기관 내 흡인기관 내 흡인은 기도 내 분비물을 제거하여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는 중요한 처치입니다. 그러나 부적절하게 시행될 경우 기도 손상, 감염, 저산소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무균적인 방법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필요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기관 내 흡인 전후 산소 공급, 진정제 투여 등 부작용 예방을 위한 조치도 중요합니다. 전반적으로 기관 내 흡인은 환자 관리에 필수적이지만, 숙련된 의료진의 주의 깊은 시행이 요구됩니다.
-
분비물 저류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폐포 환기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간호과정(간호진단 2개, 간호계획 18개, 간호수행 18개 포함) 8페이지
0년도 0학기ㅇㅇ간호학실습- 간호과정 사례 보고서 -간호진단: 분비물 저류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폐포 환기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실습병원실습부서실습기간지도교수제출자제출일- 목 차 -1. 간호진단2. 간호사정2-1.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2-2.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3. 간호목표3-1. 단기목표3-2. 장기목표4. 간호계획4-1. 진단적 중재4-2. 치료적 중재4-3. 교육적 중재5. 간호수행6. 이론적 근거7. 간호평가8. 느낀점9. 참고문헌#1.간호사정주관적 자료“숨을 깊게...2025.08.15· 8페이지 -
[비효율적 호흡양상 + 가스교환 장애 간호과정] 간호과정 2개, 간호계획 18개, 간호수행 18개 포함 7페이지
0년도 0학기ㅇㅇ간호학실습- 간호과정 사례 보고서 -간호진단: 호흡근의 약화 및 기침시 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폐포내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실습병원실습부서실습기간지도교수제출자제출일- 목 차 -1. 간호진단2. 간호사정2-1.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2-2.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3. 간호목표3-1. 단기목표3-2. 장기목표4. 간호계획4-1. 진단적 중재4-2. 치료적 중재4-3. 교육적 중재5. 간호수행6. 이론적 근거7. 간호평가8. 느낀점9. 참고문헌#1.간호사정주...2025.08.04· 7페이지 -
호흡곤란 보고서 6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FILE:BinData/image1.jpg..FILE:Contents/section0.xml목차Ⅰ. 시나리오3Ⅱ. 간호문제41. 호흡곤란의 정의2. 호흡곤란의 병태생리3. 호흡곤란의 원인Ⅲ. 핵심간호술과 이론적 근거5Ⅳ. 참고문헌5Ⅴ. 느낀 점7시나리오박기본(F/67)님은 금일 새벽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기침과 가래가 지난 6개월...2023.11.20· 6페이지 -
Vsim Vincent Brody (COPD) 보고서 6페이지
■ 환자 정보나이/성별67세/ 남의학진단명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신장/체중172cm, 70kg입원기록- 3년 전 폐기종 진단을 받았으며 COPD가 악화되어 2022년 5월 18일에 직접 입원하였음.- 비강 캐뉼라를 통해서 2L/min의 산소공급을 받고 있으며 94%의 산소포화도를 유지하고 있음.- 약물요법과 치료요법에 잘 반응하여 현재 resting한 상태를 보이고 있음.- 객담이 동반된 잦은 기침(productive cough) 을 하고 있음.- 50년 동안 하루에 담배 2...2024.01.25· 6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간호과정 폐렴 Pneumonia 20페이지
**의료원 **W 성인 내과 실습2019.03.11.~2019.03.22과제과제명사례 연구 보고서교수명*** 교수님제출일자2019.03.25.월작성자반3학년 6반학번/성명***Ⅰ. 간호대상자 사정1. 일반적 사항?성명: 김** (W/76)?입원일시: 19.03.09 ?병실: 72W 11호?진단명: Pneumonia, unspecified?혈액형: B+?흡연: 무 ?음주: 무 ?정서상태: 안정?수면양상: 8시간, 낮잠을 많이 잠 ?수면장애: 무?연하곤란: 무 ?의식수준: alert ?인지능력장애: 이상 없음?욕창점수(Score-Bra...2021.01.26·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