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 햄릿 1~5막 리뷰 및 토론 정리
본 내용은
"
[A+ 과제] 경희대학교 고전읽기 셰익스피어 햄릿 1~5막 리뷰 + 토론 정리 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5
문서 내 토픽
  • 1. 햄릿의 아버지 죽음에 대한 애도
    햄릿 왕자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2년도 아니고 두 달도 되지 않은 기간 동안 슬퍼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클로디어스 왕은 햄릿의 지나친 애도를 막으려 하는데, 이는 혹시 자신의 죄책감을 자극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또한 권력을 위해 형의 부인을 차지하기 위해 형을 죽인 것이 옳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 2. 유령의 실존 여부
    유령은 실제로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호레이쇼, 마셀러스, 바나도가 유령을 목격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햄릿이 혼자 유령을 따라가 대화를 나눈 것이 실제로 있었는지는 의문입니다. 햄릿이 유령과의 대화를 망상하여 삼촌을 증오할 합리적인 이유를 만들어냈을 수도 있습니다.
  • 3. 햄릿의 성격적 결함
    1막까지는 햄릿의 성격적 결함이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유령을 따라가려는 모습은 당연한 반응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령과의 대화 이후 극도로 충격받은 햄릿의 모습을 통해 1막 이후 햄릿의 성격이 더욱 극단적으로 변하여 결함이 두드러지리라 추측됩니다.
  • 4. 유령의 복수 조건
    유령이 제시한 복수의 조건은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햄릿의 영혼이 햄릿의 어머니께 어떤 벌도 획책하지 않고, 그녀는 하늘에 맡기는 것'은 가능할 것 같습니다. 또한 '비록 네가 복수를 추구하더라도, 네 심성을 부패시키지 말 것'이라는 조건 역시 가능해 보입니다.
  • 5. 햄릿과 오필리아의 사랑
    햄릿은 오필리아를 진정으로 사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가 '하늘의 맹세'를 달았다는 점에서 오필리아를 진정으로 사랑한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햄릿의 행동은 오필리아에게 고통을 주었기 때문에 이를 진정한 사랑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 6. 햄릿의 애도
    햄릿의 애도는 지나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햄릿을 둘러싼 인간들의 애도가 햄릿에게 잔인할 정도로 짧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프로이트의 이론에 따르면 산 사람이 죽은 사람을 너무 그리워하며 떠나보내지 못하면 우울증이 온다고 합니다.
  • 7. 클로디어스의 외교적 대응
    클로디어스의 외교적 대응은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쟁은 한 나라의 백성 전반을 괴롭히는 일이므로, 클로디어스가 외교적으로 노르웨이에 대응하려 노력한 것은 현명한 판단이었습니다.
  • 8. 햄릿의 연극 계획
    햄릿은 유령의 말이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 연극을 계획했습니다. 이를 통해 클로디어스의 반응을 살펴 범인 여부를 판단하고자 했습니다. 이는 햄릿이 유령의 말을 무조건 믿지 않고 근거를 찾고자 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 9. 오필리아의 죽음
    오필리아의 죽음은 애도의 기간을 충분히 갖지 못한 결과로 보입니다. 거트루드는 오필리아가 죽도록 내버려 두었는데, 이는 오필리아가 햄릿을 미치게 만든 원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 10. 복수극의 현대적 의미
    복수극이 현대에도 인기 있는 이유는 현실에서 가해자에게 합당한 처벌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복수극을 통해 잠재적 피해자인 관객들이 간접적인 쾌감과 후련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유령의 실존 여부
    유령의 실존 여부는 작품 전반에 걸쳐 중요한 주제로 다뤄집니다. 햄릿은 아버지의 유령이 나타나 클로디어스의 범죄를 고발하자 이를 믿고 복수를 결심하지만, 유령의 진실성에 대해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합니다. 이는 햄릿의 성격적 결함인 과도한 회의주의와 관련이 있으며, 동시에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어 작품의 복잡성을 더합니다. 유령의 실존 여부는 독자들에게도 지속적인 의문을 제기하며, 이는 작품의 깊이를 더해줍니다.
  • 2. 주제4: 유령의 복수 조건
    유령이 햄릿에게 복수를 요구하는 것은 작품의 핵심 사건 중 하나입니다. 유령은 자신의 죽음이 불법적이었음을 고발하며, 햄릿에게 복수를 명령합니다. 이는 복수의 정당성과 윤리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합니다. 햄릿은 유령의 말을 믿고 복수를 결심하지만, 이 과정에서 자신의 성격적 결함으로 인해 많은 갈등을 겪습니다. 유령의 복수 요구는 작품 전체의 주요 동기가 되며, 이를 통해 복수의 윤리적 문제와 인간의 내면 갈등을 잘 보여줍니다.
  • 3. 주제6: 햄릿의 애도
    햄릿의 애도 과정은 작품의 핵심 주제 중 하나입니다. 그의 아버지 죽음에 대한 깊은 슬픔과 분노, 어머니의 빠른 재혼에 대한 실망감 등은 그의 내면 갈등을 잘 보여줍니다. 햄릿의 애도 과정은 복잡하고 심리적으로 고통스러우며, 이는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을 잘 드러냅니다. 또한 이는 작품의 비극적 결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햄릿의 애도 과정은 작품의 주제와 주인공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주제8: 햄릿의 연극 계획
    햄릿의 연극 계획은 작품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그는 아버지의 유령이 말한 진실을 확인하기 위해 연극을 계획하고 실행합니다. 이는 햄릿의 회의주의와 우유부단함을 잘 보여주며, 동시에 현실과 연극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어 작품의 복잡성을 더합니다. 햄릿의 연극 계획은 진실 규명과 복수의 정당성 문제를 제기하며, 이는 작품의 주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 5. 주제10: 복수극의 현대적 의미
    『햄릿』은 전형적인 복수극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이는 단순한 복수 행위를 넘어 인간의 내면 갈등과 비극적 운명을 잘 보여줍니다. 햄릿의 복수 계획은 그의 성격적 결함으로 인해 지연되고 실패하며, 이는 복수의 윤리성과 정당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합니다. 이를 통해 작품은 복수극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현대적 의미를 부여합니다. 즉, 복수의 문제를 인간의 내면 갈등과 비극적 운명의 맥락에서 다루며, 이는 작품의 깊이와 의미를 더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