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및디지털회로실험 실험 8. 숫자표시기와 응용 예비보고서
본 내용은
"
전기및디지털회로실험 실험 8. 숫자표시기와 응용 예비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2
문서 내 토픽
-
1. 7 세그먼트 표시기7세그먼트 표시 장치는 7개의 선분(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와 아래에 사각형 모양으로 두 개의 가로 획과 두 개의 세로 획이 배치되어 있고, 위쪽 사각형의 아래 획과 아래쪽 사각형의 위쪽 획이 합쳐진 모양이다. 7개의 획은 각각 꺼지거나 켜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라비아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LED로 구현된 7세그먼트 표시 장치는 각 획 별로 하나의 핀이 배당되어 각 획을 끄거나 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2. 공통 캐소드와 공통 캐노드공통 캐소드는 다이오드의 모든 캐소드들이 공통으로 묶여 있는데 이때 캐소드는 0V나 접지에 연결된다. 불을 켤 LED 세그먼트에 +전압을 공급하게된다. 공통 애노드는 다이오드의 모든 애노드는 일반적으로 +5V에 연결된다. 불을 켜기를 원하는 다이오드들에 0V를 가하면 된다.
-
3. 정논리와 부논리높은 전압 상태를 '1'의 논리 값으로 할당하고, 낮은 전압 상태를 '0'으로 할당하는 논리 개념을 정논리(positive logic)라고 한다. 이와는 반대로 낮은 전압 상태를 '1'로 할당하고, 높은 전압 상태를 '0'으로 할당하는 개념이 부논리(negative logic)이다.
-
1. 7 세그먼트 표시기7 세그먼트 표시기는 숫자 0부터 9까지를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입니다. 이는 전자 기기에서 널리 사용되며, 간단한 구조와 작동 원리로 인해 저렴하고 효율적입니다. 7 세그먼트 표시기는 일반적으로 LED 또는 LCD 기술을 사용하며, 각 세그먼트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숫자와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7 세그먼트 표시기는 디지털 시계, 온도계, 계량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더 복잡한 그래픽을 표현할 수 있는 점 매트릭스 디스플레이가 등장하고 있지만, 7 세그먼트 표시기는 여전히 간단하고 경제적인 솔루션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2. 공통 캐소드와 공통 캐노드공통 캐소드와 공통 캐노드는 LED 회로 구성 방식의 두 가지 주요 유형입니다. 공통 캐소드 방식에서는 모든 LED의 음극이 하나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각 LED의 양극이 개별적으로 제어됩니다. 반면 공통 캐노드 방식에서는 모든 LED의 양극이 하나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각 LED의 음극이 개별적으로 제어됩니다. 이 두 가지 방식은 LED 구동 회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공통 캐소드 방식은 LED 구동 회로가 간단하고 저렴한 반면, 공통 캐노드 방식은 LED 구동 회로가 다소 복잡합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
3. 정논리와 부논리정논리와 부논리는 디지털 회로 설계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정논리는 참(true)과 거짓(false)의 두 가지 상태만을 가지는 논리 체계로, AND, OR, NOT 등의 기본 논리 게이트를 사용하여 복잡한 회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반면 부논리는 참, 거짓 외에 미정의(undefined) 상태를 추가로 가지는 논리 체계입니다. 부논리는 정논리에 비해 더 복잡하지만,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미정의 상태를 처리할 수 있는 부논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모리 회로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등에서 부논리가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정논리와 부논리는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설계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논리 체계를 선택해야 합니다.
-
전기및디지털회로실험 실험 M3. 숫자표시기 응용 예비보고서 6페이지
전기및디지털회로실험 예비레포트 담당교수 : 학과 : 학번 : 이름 : 목차 실험 명2 실험 개요2 이론 조사2 실험 기기2 예비보고서 문제풀이2 실험 순서3 참고 문헌6 실험명 실험 M3. 숫자표시기 응용 2. 실험 개요 기존에 수행했던 숫자표시기 회로의 동작을 아두이노를 이용해 되풀이 해보고, 과거 회로와 비교하여 어떤 부분을 프로그램으로 대체해 응용할 수 있는지 학습한다. 이론조사 - 숫자표시기 이전 실험 자료를 참고한다. (숫자표시기와 응용실험) 4. 실험기기 랩톱 PC, 아두이노 우노 보드, 브레드보드, 전선, 포텐셔미터, ...2023.06.30· 6페이지 -
전기및디지털회로실험 실험 8. 숫자표시기와 응용 결과보고서 8페이지
전기및디지털회로실험 결과레포트 이름 : 학번 : 학과 : 담당교수 : 목차 실험 명2 실험 개요2 실험 결과2 결과 보고서7 실험 고찰8 실험명 실험 8. 숫자표시기와 응용 2. 실험 개요 숫자표시기는 보통 7-세그먼트 표시기라 불린다. 이는 일상적으로 디지털 방식으로 십진수 숫자를 표시하는 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이 숫자표시기의 구성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구동하는 방법을 실습하도록 한다. 숫자표시기는 보통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용 디코더와 함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디코더는 어떤 숫자에 해덩하는 BCD 코드가...2024.03.12· 8페이지 -
전기및디지털회로실험 실험 M3. 숫자표시기 응용 결과보고서 7페이지
전기및디지털회로실험 결과레포트 담당교수 : 학과 : 학번 : 이름 : 목차 실험 명2 실험 개요2 실험 결과2 결과 보고서3 실험 고찰7 실험명 실험 M3. 숫자표시기 응용 2. 실험 개요 기존에 수행했던 숫자표시기 회로의 동작을 아두이노를 이용해 되풀이 해보고, 과거 회로와 비교하여 어떤 부분을 프로그램으로 대체해 응용할 수 있는지 학습한다. 3. 실험 결과 - 숫자표시기 + 아날로그 회로 (1) 보드의 적당한 아날로그 입력핀을 선정한 후 0~5V의 전압이 입력되도록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회로를 구성한다. (2) 또한 추가로 적당한...2024.03.12· 7페이지 -
논리회로설계 FSM 설계 5페이지
논리회로설계 실험 예비보고서 #8실험 8. FSM 설계1. 실험 목표순차회로의 응용회로인 FSM의 종류와 디지털 시스템에서 생기는 오류들인 glitch, chattering과 해결법인 debouncing에 대해 학습하여 동작원리와 각각의 특성을 알고, 이를 바탕으로 무어머신을 사용한 커피 자판기를 설계해본다.2. 예비 이론(1) FSM- Finite State Machine의 약자로 유한 상태 기계 또는 유한 오토마톤으로 불린다. 컴퓨터 프로그램과 전자 논리 회로를 설계하는데 쓰이는 수학적 모델이며 간단히 상태 기계라고 부르기도 한...2021.10.01· 5페이지 -
실험3광전 소자의 특성 실험 16페이지
광전 소자의 특성 실험전자공학과201935405 강태훈【목적】● LED의 특성을 이해 할 수 있다.● 7 세그먼트의 특성을 이해 할 수 있다.● 광 결합기(optocoupler)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사용기기 및 부품 】(1) 직류전원장치 (power supply unit) 2대(2) VOM, DMM 1대(3) 브레드보드(4) LED 3개 (TIL221,222, 또는 LG53RD, LG53GD, 혹은 적색, 녹색의 등가 LED)(5) 1W : 270Ω(6)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 TIL312 (혹은 등가)(7) Optocoupl...2023.07.12· 1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