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개론] 1차, 2차 토론합본
본 내용은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개론] 1차, 2차 토론합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2
문서 내 토픽
-
1.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바람직한 한국어 교육과정은 특정 이론에 치우치지 않고 학습자의 학습목적과 교육기관의 교육목표가 조화를 이루는 교수법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과정이므로, 지나치게 학습자 중심적이거나 무조건적인 통합 설계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교육과정 설계 시 학습자와 교수자의 균형을 고려하고, 학습목표와 상황에 맞는 교수법을 적절히 활용해야 합니다.
-
2. 의사소통식 교수법의사소통식 교수법은 1970년대 언어의 사회적 현상과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등장했습니다. 이 교수법은 기존 문법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언어의 용법보다 사용을 강조합니다. 장점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기능을 신장시킬 수 있지만, 유창성과 기능만을 중시하다 보면 학습자가 올바르지 않은 문법을 습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1.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는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학습자의 요구와 목적, 언어 수준, 문화적 배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구축해야 합니다. 특히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실용적인 내용과 활동 중심의 교육과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과 자료를 활용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한국어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
2. 의사소통식 교수법의사소통식 교수법은 언어 학습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접근법입니다. 이 방법은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중심으로 언어를 학습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 다양한 언어 기능을 통합적으로 연습할 수 있어 실용적인 언어 사용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적인 수업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의 적절한 피드백과 지원이 필요하며, 다양한 실제적인 자료와 과제를 활용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