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신장실 조혈제
본 내용은
"
인공신장실 조혈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9
문서 내 토픽
-
1. 조혈제 종류조혈제에는 EPO(에리스로포이에틴), rHuEPO(재조합 사람 에리스로포이에틴), Epoetin alfa(1세대 ESA), Darbepoetin alfa(2세대 ESA), Methoxy PEG-epoetin beta(3세대 ESA) 등이 있다. 각 조혈제는 반감기, 작용시간, 투여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다.
-
2. EPO 투여용량만성신부전 환자의 경우 초기용량은 주 3회 50~100unit/kg이며, Hct 30~36%의 목표도달 시 감량한다. 유지용량은 주 1회 15~60㎍ 또는 2주 1회 30~120㎍이다. EPO 변경 시 이전 투여량에 따라 초기 용량을 결정한다.
-
3. EPO 효능효과EPO는 만성신부전 환자의 빈혈, 수술 환자의 자기혈 저혈, 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빈혈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
4. EPO 약동학EPO의 약동학적 특성은 제형에 따라 다르다. Epoetin alfa는 최대 발현시간이 2~3주, 반감기가 4~13시간이다. Darbepoetin alfa는 반감기가 25시간으로 길며, Methoxy PEG-epoetin beta는 IV 134시간, SC 139시간으로 가장 길다.
-
5. EPO 주의사항EPO 사용 시 심혈관계 부작용, 혈전색전증, 순수적혈구형성부전증 등의 주의사항이 있다. 또한 일부 암환자에서 생존 감소, 종양 진행 및 재발 위험 증가가 보고되었다.
-
6. EPO 보험기준만성신부전 환자의 빈혈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비골수성 악성종양 환자의 빈혈 치료에 EPO 사용이 인정된다. 혈액검사 결과에 따라 Hb 10-11g/dL 또는 Hct 30-33%까지 요양급여가 인정된다.
-
7. EPO 관련 보도EPO는 신장, 간, 심장, 뇌 등 다양한 조직에서 생성되어 광범위한 조직 보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구용 조혈제 개발 등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
1. 조혈제 종류조혈제는 빈혈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로, 크게 에리트로포이에틴(EPO), 철분제, 비타민 B12, 엽산 등으로 구분됩니다. EPO는 신장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으로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여 빈혈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철분제는 철분 결핍성 빈혈 치료에 사용되며, 비타민 B12와 엽산은 거대적아구성 빈혈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이들 조혈제는 빈혈의 원인과 증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되어야 합니다.
-
2. EPO 투여용량EPO의 투여용량은 환자의 상태와 치료 목적에 따라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신장 투석 환자의 경우 주 3회 20-100 IU/kg의 용량으로 투여하며, 암 환자의 경우 주 1-3회 40,000-60,000 IU의 용량으로 투여합니다. 투여 용량은 환자의 혈색소 수치, 철분 상태, 부작용 발생 여부 등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결정되어야 합니다. 과도한 용량 투여는 고혈압, 혈전증 등의 부작용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3. EPO 효능효과EPO는 신장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으로,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여 빈혈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신장 투석 환자, 암 환자, 만성 신부전 환자 등에서 EPO 투여로 혈색소 수치가 증가하고 수혈 횟수가 감소하는 등의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또한 EPO는 피로감 감소, 운동 능력 향상, 삶의 질 개선 등의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EPO 투여에 따른 고혈압, 혈전증 등의 부작용 발생에 대한 주의도 필요합니다.
-
4. EPO 약동학EPO의 약동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EPO는 주로 신장에서 생성되며, 간에서 대사되어 배출됩니다. 반감기는 약 4-13시간으로 비교적 짧은 편입니다. EPO는 근육 주사 또는 피하 주사로 투여되며, 피하 주사 시 근육 주사에 비해 생체이용률이 더 높습니다. EPO의 약동학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어, 개별 환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EPO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약물들에 대한 고려도 중요합니다.
-
5. EPO 주의사항EPO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고혈압, 혈전증 등의 부작용 발생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혈압 및 혈액 점도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둘째, 철분 결핍이 동반되는 경우 철분제 병용 투여가 필요합니다. 셋째, 암 환자의 경우 EPO 투여로 인한 종양 진행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넷째, 임신부, 수유부, 소아 환자 등 특수 환자군에서는 안전성 및 유효성 데이터가 제한적이므로 주치의와 상의 후 투여해야 합니다.
-
6. EPO 보험기준EPO는 국내 건강보험 급여 대상 약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보험 급여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장 투석 환자의 경우 혈색소 수치가 10g/dL 미만인 경우 급여 인정되며, 암 환자의 경우 항암 치료로 인한 빈혈 치료 시 급여 인정됩니다. 그 외 만성 신부전, 골수 억제 치료 등으로 인한 빈혈 환자에서도 일정 기준 하에 급여 적용됩니다. 보험 급여 기준은 환자의 상태와 치료 목적에 따라 달리 적용되므로, 주치의와 상의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7. EPO 관련 보도EPO와 관련된 주요 보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EPO의 부작용 및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고혈압, 혈전증 등의 부작용 발생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보도되고 있습니다. 둘째, EPO의 적응증 확대 및 새로운 제형 개발 등 EPO 관련 기술 혁신 동향이 보도되고 있습니다. 셋째, EPO 사용에 대한 보험 급여 기준 변화 및 약가 인하 등 정책적 이슈들이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보도들은 EPO 사용에 대한 의료진과 환자들의 관심을 환기시키고 있습니다.
-
인공신장실 처치 및 검사(복막평형검사(PET), 조혈제(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보고서 6페이지
처치 및 검사, 투약-인공신장실-1) 처치 및 검사 과제 양식1. 목적- 혈장과 투석액 사이의 용질의 투과율을 측정함으로써, 복막의 특성을 검사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투석의 효율성 확인- 복막을 통한 물질 이동 능력을 평가하는 반정략적 방법- Creatinine과 glucose의 복막투석액과 혈청내의 비율을 측정하여 peritoneal membrance의 clearance와 ultrafiltration rate를 평가2. 적응증복막투석환자의 정기검사3. 절차1. 복막투석실의 창문과 문을 모두 닫고, 손위생을 실시한다.2. 환자가...2023.05.13· 6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인공신장실 SBAR (5개) 12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인공신장실 SBAR1. past history2. present state3. main medication4. Examination1) Abnormal Lab. (정상수치, 환자에게 초래된 결과, 교정방법)2) Abnormal x-ray, diagnostic studies5. SBAR 적용 (5개)1. past history환자정보: 김00 49/M2024년 1월 S/D (slip down) 이후 Lt. tibia Fx 소견하에 ‘open reduction of fracture with internal fi...2024.08.06· 12페이지 -
인공신장실 케이스,A+++, 신부전 12페이지
병동실습 보고서▣ 실습기관 / 조▣ 학번▣ 실습기간2019.03.18.~03.29▣ 이름병 동HDR(인공신장실)성별 / 나이F/56주진단명?End stage Kideny Disease, stage 5부진단명?Diabetic nephropathy?old myocardial infarction?Type 2 Diabetes mellitus수 술 명Lt. AVF(arteriovenous fistula)동정맥루 수술■ [Front][사례학습 대상자 관찰내용 및 간호문제 목록에 따른 기술서]#1.말초부종1. 간호문제를 나타내는 주관적 자료1)...2020.07.31· 12페이지 -
말기신부전 인공신장실 케이스 간호과정3개 A++++++자료 27페이지
사 례 연 구 보 고 서- 성인간호학실습IV (인공신장실)ESRD, End Stage Renal Disease말기 신부전실 습 기 관 : 00대학교병원 인공신장실실 습 기 간 : 2023.00.00~2023.00.00목차Ⅰ. 서론1. 연구필요성 및 목적2.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말기 신부전 (ESRD, End Stage Renal Disease)3.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Ⅱ. 자료수집1. 간호력2. 현재 병력3. 건강력 조사4.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결과5. 경구, 비경구적 주입 약물(oral, parenteral and fluid...2023.11.17· 27페이지 -
성인간호실습 인공신장실 투석실 CKD 만성콩팥병 15페이지
Case Study만성콩팥병(CKD, chronic kidney disease)교과목간호학선택실습담당교수실습장소인공신장실실습기간학번이름제출일(1) 사례연구A. 간호사정1. 일반적 사항작성일 : 2019년 8월 23일작성자 : 김00 정보제공자 : 보호자(아내)성명임00Unit No.00000000병실인공신장실입원일2015-12-23연령73세성별M입원경위외래√응급실기타입원방법도보√Wheel chairstretcher car기타간호사정:영역 1. 건강증진 (Health promotion)내원 이유/주호소(c.c) : CKD5. 혈액투석...2022.09.20· 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