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비보고서]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신호발생기
본 내용은
"
[예비보고서]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신호발생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4
문서 내 토픽
-
1. Wien bridge RC 발진기Wien bridge RC 발진기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기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그 동작을 확인하는 실습을 수행했습니다. 실습에서는 Wien bridge 회로의 관계식을 도출하고, 1.63 kHz에서 발진하는 회로를 설계했습니다. 또한 발진 조건을 만족하는 저항값을 찾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출력 파형과 FFT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Wien bridge 발진기를 안정화하는 회로를 설계하고, 다이오드의 역할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
1. Wien bridge RC 발진기Wien bridge RC 발진기는 안정적이고 정확한 주파수 발진기로 널리 사용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RC 네트워크와 증폭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파수 선택 특성이 우수하고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높습니다. 또한 간단한 구조와 낮은 전력 소모로 인해 다양한 전자 기기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오디오 신호 발생기, 타이밍 회로, 계측기 등에 많이 사용되며, 정밀한 주파수 제어가 필요한 응용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발진기의 장점은 안정적인 동작, 낮은 왜곡, 간단한 설계 등이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전자 회로 설계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4. 신호발생기 예비보고서 -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A+ 인증] 10페이지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실습 4 예비보고서-신호발생기소속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담당 교수님*** 교수님제출일2021.09.30(목)분반, 조**분반, *조학번2*******이름***1. 실습을 위한 이론적 배경:신호발생기는 일정한 주파수와 위상, 크기를 가진 주기 함수를 발생시키는 회로이며 주 목적은 주파수와 신호 크기를 안정적으로 왜곡 없이 발생하는 것이다.Positive feedback Op-amp 는 다음의 식을 만족할 때 발진하게 된다.Wien bridge 신호 발생기는 발진을 일으키기 위한 위의 두 조건을 만족...2022.09.18· 10페이지 -
[A+]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신호발생기 예비보고서 8페이지
일반적으로 신호 발생기는 일정한 주파수와 위상, 크기를 가진 주기 함수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말한다. 특히, 주파수와 신호 크기를 안정적으로 왜곡 없이 발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Positive feedback 형태의 일반적인 OP 증폭기의 경우에는 식..Wien Bridge 신호발생기는 발진을 일으키기 위한 두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Positive feedback과 Negative feedback을 가지는 차등 증폭기를 사용하여 구현한다. 발진 주파수는 가변 저항 값을 통해 바꿀 수 있다. 또한, OP 증폭기의 이득이 1보다 클 ...2021.09.02· 8페이지 -
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4. 신호 발생기 A+ 예비보고서 7페이지
다이오드를 달게 되었을 때 온전하게 인가된 전압인 15V가 출력되는 것을 출력 결과로 확인 할 수 있다. 교재의 이론부의 마지막 단락을 보면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Op 증폭기의 이 득이 1보다 큰 경우에는 포화로 인해 왜곡된 파형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들은 이득 값들을 조정하여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전체 이득이 소신호에서는 1보다 크게, 대신호에서는 1보다 작거나 1에 근사한 값을 가지게 함으로써 신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림 7-3 Wien Bridge의 자동 이득 조정회로에서 에 다이오드를 달아 발생한...2022.09.15· 7페이지 -
[A+]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4. 신호발생기 6페이지
(B) [그림 6]과 같이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Wien bridge oscillator를 안정화 하는 회로를 설계, Simulator의 결과를 제출한다. 또한 출력을 안정화 하는데 다이오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서술한다.[그림 7]과 같이 안정화된 Wien bridge oscillation 회로를 구성하였으며, 그 결과는 [그림 8]과 같다. 4-3-2 (A)에서 다이오드 없이 만든 회로의 출력 파형인 [그림 3]에 비해 안정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하 생략]2023.02.06· 6페이지 -
[A+]중앙대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 실습 예비보고서4 신호발생기 10페이지
현재 R1은 10k옴 R2는 30k옴으로 gain이 1보다 크기 때문에 포화로 인한 출력파형이 왜 곡되어 나오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이오드를 활용하여 gain을 조절하여 해결 할 수 있다. 소신호에서 gain이 1보다 크게 대신호에서는 gain이 1보다 작게 만들어 왜곡을 줄일 수 있다. 소신호는 다이오드에 영향을 주지 않아 다이오드가 연결된 저항이 저항으 로서 역할을 수행하여 gain이 1보다 커지고 대신호인경우 다이오드에 영향을 주고 다이 오가 forward bias됨으로써 저항이 의미가 없어진다. 그럼 R1은 10k옴...2022.09.08·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