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전자회로및실험2 -ALUs(Arithmetic logic units)를 이용한 n-bit 계산기 설계
본 내용은
"
기초전자회로및실험2 -ALUs(Arithmetic logic units)를 이용한 n-bit 계산기 설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6
문서 내 토픽
-
1. 입력입력은 기본적으로 10의자리 스위치와 1의 자리 스위치를 이용하여 각각 구현합니다. 스위치로 입력한 10진수의 값을 Decimal to Binary (74147) 소자를 이용해서 2진수로 변환하고, 이를 4bit adder(74283) 2개를 이용하여 구현한 8bit BCD to Binary를 통해 binary로 변환시켜 2진수 표현 입력 스위치에는 풀업 저항을 사용합니다.
-
2. 감가산기계산기의 집적도를 고려하여 가산기와 감산기를 동시에 설계합니다. AND, OR, XOR 와 같은 기본 소자들로 FULL ADDER를 구현하고, 이를 합쳐서 가산기를 구현했습니다. 감산기의 뺄셈 연산은 빼는 값의 보수 형태를 취함으로써 구현되며, 가산기에서 더하는 값의 보수 형태를 취해주면 감산기의 형태를 취할 수 있습니다. 보수형태는 XOR 소자의 입력을 가산기에서 더하는 값과 Full adder Carry, 1과 0의 값을 줄 수 있는 스위치와 연결한 후 스위치의 1 값을 주는 것으로 구현하였습니다.
-
3. 곱셈기2진수의 곱셈 연산은 10진수의 곱셈 연산과 동일합니다. 입력 부분에 AND를 이용해 부분 곱을 구현해 주고, Adder를 이용해 가산하여 결과 값을 출력합니다.
-
4. 나눗셈기2진수 나눗셈 방식을 구현합니다. 나눗셈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나눗셈 연산을 수행합니다.
-
5. 출력각각의 사칙연산의 결과값을 배타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신호와 2진수 6bit 값의 출력을 10진수 값으로 바꾸어 FND에 구현합니다.
-
1. 입력입력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입니다. 사용자가 데이터나 명령을 컴퓨터에 전달하는 방법으로,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입력 장치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입력 기능은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컴퓨터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입력 기능의 정확성과 효율성은 컴퓨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입력 기능을 개선하고 다양한 입력 방식을 지원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컴퓨터 활용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감가산기감가산기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 장치는 이진수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덧셈과 뺄셈 연산을 수행합니다. 감가산기의 정확성과 속도는 전체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 부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이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병렬 처리 기술, 파이프라이닝 기법, 고속 반가산기 설계 등을 통해 감가산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감가산기는 곱셈기, 나눗셈기 등 다른 산술 연산 장치의 기반이 되므로, 이들 장치의 발전을 위해서도 감가산기의 성능 향상이 중요합니다.
-
3. 곱셈기곱셈기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연산 장치입니다. 이진수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곱셈 연산을 수행하는 곱셈기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처리, 멀티미디어 처리, 암호화 등의 분야에서 곱셈 연산이 빈번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곱셈기의 성능 향상은 전체 시스템의 성능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최근에는 부분 곱셈기, 배열 곱셈기, 파이프라이닝 기법 등을 통해 곱셈기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곱셈기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4. 나눗셈기나눗셈기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요한 연산 장치 중 하나입니다. 이진수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나눗셈 연산을 수행하는 나눗셈기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부동 소수점 연산, 신호 처리, 암호화 등의 분야에서 나눗셈 연산이 필요합니다. 나눗셈기의 성능은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이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반복 나눗셈, 병렬 나눗셈, 고속 나눗셈 알고리즘 등을 통해 나눗셈기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나눗셈기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5. 출력출력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입니다.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등 다양한 출력 장치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출력 기능은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출력 기능의 정확성, 속도, 다양성은 컴퓨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출력 기능을 개선하고 새로운 출력 방식을 지원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컴퓨터 활용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6-bit 계산기 설계 및 구현1. ALUs (Arithmetic Logic Units) 이번 프로젝트의 주제는 ALUs (Arithmetic Logic Units)를 이용한 n-bit 계산기 설계입니다. 6-bit 입력을 구현하고 최대한 많은 연산을 구현하고자 하였습니다. 6비트 덧셈 계산기를 제작하였고, 7 segment와 다양한 기본소자들(and gate, or gate, DIP ...2025.05.10 · 공학/기술
-
디지털 논리실험 6주차 예비보고서1. ALU 74181의 기능 ALU 74181을 이용하여 네 자리 이진수의 덧셈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74181의 A+B, XOR, A-B-1, AB minus 1 기능을 이용하여 이진수의 덧셈, 비교, 뺄셈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이진수 덧셈 구현 ALU 74181의 A+B 기능을 이용하여 네 자리 이진수의 덧셈을 구현하는 방법을 ...2025.05.06 · 공학/기술
-
서강대학교 디지털논리회로실험 9주차 - Memory Devices and dot/key-matrix interfaces1. ROM ROM은 기본적으로 n개의 address 입력 신호를 받고 b개의 출력 신호를 내보내는데, 자체 적으로 가지고 있는 2^n x b 개의 데이터 중 address의 입력에 대응하는 것을 출력한다. 이렇 게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데이터는 단순한 방법으로는 수정할 수 없고, 생산과정 중 진행 되는 입력, 혹은 값의 수정을 위해 만들어진 장치를 이용...2025.01.20 · 공학/기술
-
인하대 VLSI 설계 Microprocessor 프로젝트 결과보고서1. Microprocessor Microprocessor는 컴퓨터의 산술논리연산기로 컴퓨터 중앙 처리 장치인 CPU의 기능을 통합한 집적 회로이다. 레지스터, 산술 논리 장치, 제어 장치 등 연산 장치와 제어 장치를 1개의 작은 실리콘 칩에 집약한 처리장치를 의미한다. Memory로부터 명령어와 Data를 읽고 이를 해독해서 주어진 일을 수행한다. 정해진...2025.05.03 · 공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