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간호학 A플 간호과정 / 불안, 외로움의 위험성 / 정성을 담은 간호과정보고서
본 내용은
"
정신간호학 A플 간호과정 / 불안, 외로움의 위험성 / 정성을 담은 간호과정보고서입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3
문서 내 토픽
-
1. 뾰족한 물체로 눈 앞을 찌르는 듯한 환각과 관련된 불안대상자는 최근 2주전 뾰족한 물체가 눈앞에 나타나 찌르는 듯한 느낌을 호소하셨다. 간호사는 대상자와 라포를 형성하고 Beck 불안척도를 활용하여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또한 대상자가 보고 있는 환각의 무엇인지, 환각의 지속 시간, 및 환각의 빈도를 사정하였다. 간호중재로는 대상자가 환각을 경험할 때 환각의 불안한 감정에 대해 인정하면서 위험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시켜주고, 카드놀이, 작업치료, 음악 프로그램 활동을 제공하였다. 또한 처방된 약물 복용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마인드모임활동 및 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격려하였다. 불안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도 교육하였다.
-
2. 가족구성원의 입원과 관련된 외로움의 위험성대상자는 같이 거주 중인 셋째 언니의 입원으로 인해 혼자 있게 되어 외로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둘째 언니와는 사이가 좋지 않은 상태이며, 첫째 언니와도 연락을 한 달에 두 번 정도 하는 것으로 사정되었다. 간호중재로는 UCLA 외로움 척도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외로움 정도를 사정하고, 치료적 의사소통을 통해 대상자가 외로움과 같은 불편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또한 마인드센터 주간 재활 프로그램 중 여가활동훈련에 주 2회 이상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대상자의 가족이 입원하고 있는 기간 동안 주 2회 이상 방문하여 상담하였다.
-
1. 주제2: 가족구성원의 입원과 관련된 외로움의 위험성가족 구성원의 입원은 매우 힘든 경험일 것입니다. 병원에 입원하게 되면 가족들과 떨어져 지내게 되어 외로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가족들이 병원에 자주 방문하지 못하거나 환자의 상태가 좋지 않아 걱정되는 상황에서 더욱 외로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외로움은 우울감이나 불안감으로 이어질 수 있어 환자의 회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족들은 환자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지지와 관심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환자가 외로움을 느끼지 않도록 다양한 활동과 대화를 통해 정서적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회복을 돕고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