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무균술의 기본원칙(수술실)/A+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무균술의 기본원칙(수술실)/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6
문서 내 토픽
-
1. 무균술의 기본원칙수술 절개 부위의 오염원은 수술실 인력, 수술 환자, 수술에 사용하는 기계와 물품, 수술에 사용하는 생리식염수, 수술실의 오염된 공기와 수술실 방문객이다. 무균술은 사람, 물품, 영역이 미생물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법이며, 외과적 무균술은 개방 상처의 오염을 막고 수술 부위를 주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여 수술이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무균 영역을 조성하여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균술의 기본 원칙에는 멸균 물품 사용, 소독 상태에 따른 물품 취급, 멸균 영역과 비멸균 영역의 구분, 습기 관리, 피부 소독 등이 포함된다.
-
2. 외과적 손 씻기외과적 손 씻기는 향균제나 소독제로 손, 손톱 및 팔의 먼지와 미생물을 제거하고 정주 세균의 수를 최소한으로 줄이며 미생물의 재성장을 늦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과적 손 씻기는 3~5분 정도 시간을 할애하여 실시하며, 필요에 따라 외과용 라텍스 장갑을 2개씩 착용한다.
-
3. 멸균 가운, 마스크, 장갑 착용수술실 의료 인력의 머리카락, 피부 및 점막은 미생물의 주요 오염원이 되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해 멸균 가운, 마스크, 장갑 등의 복장을 착용한다. 수술 가운과 장갑은 멸균 상태로 착용하며, 마스크는 코와 입을 완전히 덮도록 착용한다. 수술 중 가운이나 마스크가 오염되면 즉시 교체한다.
-
4. 수술모, 신발 덮개, 고글 착용수술모는 머리카락과 두피로부터 미생물이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머리카락과 두피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착용한다. 신발 덮개는 수술 중 혈액 및 조직액 등의 체액이 수술 의료 인력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글 또는 턱을 보호할 수 있는 보조 물품을 착용하여 수술 의료 인력이 병원성 오염원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
5. 피부 준비 및 방포시의 무균술 적용수술 절개 부위 감염증은 수술 환자의 피부도 감염원이 되므로 피부 준비와 방포시에 철저한 무균술을 지켜야 한다. 면방포 사용 시 젖게 되면 새로운 멸균 방포로 교환하거나 여러 개의 멸균 방포를 덧대어 사용한다. 무균 수술에는 polyethelene 등으로 된 접착성 방포를 사용한다.
-
1. 무균술의 기본원칙무균술은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무균술의 기본원칙에는 멸균, 무균 환경 유지, 무균 기술 적용 등이 포함됩니다. 멸균은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무균 환경 유지는 오염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무균 기술 적용은 의료진이 무균술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기본원칙을 철저히 지켜야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의 철저한 무균술 실천은 감염 예방에 필수적이며, 환자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
2. 외과적 손 씻기외과적 손 씻기는 수술 전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절차입니다. 외과적 손 씻기는 일반적인 손 씻기와 달리 더 엄격한 기준과 절차를 따릅니다. 의료진은 수술 전 5분 이상 손을 씻어야 하며, 손가락 끝부터 팔꿈치까지 철저히 씻어야 합니다. 또한 손톱 밑까지 깨끗이 씻어야 하며, 손 씻기 후에는 멸균된 수건으로 완전히 말려야 합니다. 이러한 외과적 손 씻기 절차는 수술 중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3. 멸균 가운, 마스크, 장갑 착용수술 시 멸균 가운, 마스크, 장갑 착용은 필수적입니다. 멸균 가운은 수술 중 오염을 방지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착용합니다. 마스크는 의료진의 호흡기를 통한 오염을 막아주며, 장갑은 의료진의 손을 통한 오염을 예방합니다. 이러한 개인보호장비의 올바른 착용은 수술 중 감염 예방에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멸균 가운, 마스크, 장갑을 철저히 착용하고 관리해야 하며, 오염 시 즉시 교체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 중 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4. 수술모, 신발 덮개, 고글 착용수술 시 수술모, 신발 덮개, 고글 착용은 추가적인 감염 예방 조치입니다. 수술모는 머리카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하고, 신발 덮개는 신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막아줍니다. 고글은 눈을 통한 오염을 예방합니다. 이러한 개인보호장비의 착용은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염원을 차단하여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수술 시 이러한 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 오염 시 즉시 교체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 중 감염 예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5. 피부 준비 및 방포시의 무균술 적용수술 전 피부 준비와 수술 중 방포 시 무균술 적용은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피부 준비 시 소독제를 사용하여 피부의 미생물을 제거하고, 방포 시에는 멸균된 방포를 사용하여 수술 부위를 완전히 차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 중 피부나 방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피부 준비와 방포 시 무균술을 철저히 지켜야 하며,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무균술 적용은 수술 중 감염 예방에 필수적이며,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위암 (위 절제술) 사례보고서 A+ 보장/ 성적 A+ 학기 성적 4.33 인증 O, 문헌고찰, 간호진단, 중재 이론적 근거 자세히 O 24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사례보고서성적 A+ (4.5) 만점학기 성적 4.33 인증 O인증 O, 문헌고찰, 간호진단,중재, 이론적 근거 OA+ 보장〔수술실〕1. 질병 진단명에 대한 문헌고찰Gastric Cancer (위암)1) 정의- 위암이란 원칙적으로 위에 생기는 모든 암을 일컫는 말이지만, 주로 위점막의 선세포에서 발생한 위선암을 말한다. 위암은 선암이 90% 정도 차지하며, 나머지 10% 정도는 림프종이다.- 기능 : 위는 입에서 항문까지 이어진 전체 창자 중 가장 넓은 부위로, 배의 윗부분 왼쪽 갈비뼈 아래와 명치 부위에 위...2025.06.22· 24페이지 -
CBD stone 케이스 스터디 총담관결석증 케이스스터디 22페이지
Case study CBD STONE (총담관담석증) 과목명 성인간호학실습 담당 교수님 이 름 제출일 2022.03.20 실습 기관 실습 기간 22.03.07 ~ 22.03.18 - 목 차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본론 A.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 임상증상 3) 진단기준 4) 치료적 관리 5) 합병증 및 예후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총담관결석증(CBD st...2022.04.09· 22페이지 -
핵심간호술 피하주사 4페이지
피하주사(간이 혈당측정 검사 포함)? 선행 지식① 투약의 원칙② 약물용량 계산③ 피하주사 부위 선정④ 무균술⑤ 간이 혈당측정기 사용 및 관리법● 투약의 원칙① 정확한 약(right drug)- 세 번 확인 : 약장에서 꺼내기 전, 처방된 양을용기에서 꺼낼 때, 용기를 약장에 보관할 때② 정확한 용량(right dose)- 대상자에게 적절한 용량이 처방되어야 함,물약 다량투여 혹은 정제를 여러 개 준비시 계산에 주의하기③ 정확한 시간(right time)에(날짜, 시간, 횟수)- 정확한 시간과 정확한 빈도로 투약④ 정확한 경로(rig...2016.09.23· 4페이지 -
대퇴골절 케이스 스터디 대퇴골간부골절 사례보고서 32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ⅡRt.femur shaft fx, nonunionⅠ. 서론A. 연구의 필요성B. 연구대상 및 방법Ⅱ. 본론A. 문헌고찰 - 질병의 정의 및 원인- 질병의 병태생리- 진단방법- 증상- 치료 및 간호B. 간호사정- 환자 간호력- 신체검진- 수술- 진단검사- 통증- 약물C. 간호진단 - 사정- 목표 - 계획 - 수행 - 평가Ⅲ. 결론 및 제언Ⅳ. 참고문헌Ⅰ. 서론A. 연구의 필요성*연구 목적본 연구자가 실습한 곳은 1동 7A OS병동으로 대부분 골절이나 골관절염 등으로 수술을 하기 위해서 혹은 수술 후 회복을 위해서 입원...2017.09.19· 32페이지 -
핵심기본간호술기/ 핵심간호 선행지식/ 선행지식/ 간호학과 실습/ 핵심술기 37페이지
핵심기본간호술기목적 및 선행지식1장. 활력징후 측정 ------------------------------- 12장. 경구투약 ----------------------------------- 53장. 근육주사 ----------------------------------- 64장. 피하주사 ----------------------------------- 85장. 피내주사 ----------------------------------- 96장. 정맥 수액 주입 ------------------------------ 107장. 수혈요법...2018.03.08· 3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