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받은 아동간호학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환아 Case study
본 내용은
"
A+ 받은 아동간호학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환아 Case study 입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07
문서 내 토픽
  • 1.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은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심실사이막)에 비정상적인 개구부가 생긴 것을 의미하며, 선천성 심질환 중 가장 흔한 기형이다. 크기는 바늘구멍만 한 크기부터 중격이 아예 없어지는 경우까지 다양하다. 흔히 폐동맥 협착, 대혈관 전위 등의 다른 결손과 함께 동반되며, 60~80% 정도는 자연 폐쇄된다. 좌심실의 압력이 높고 폐순환보다 체순환의 높은 저항으로 인해 좌심실의 혈액은 결손을 통해 우심실을 거쳐 폐동맥으로 흐르게 되는데, 많은 혈액량이 폐로 들어감으로써 결국 폐순환을 증가시키고 좌-우 단락으로 생긴 우심실의 압력 증가와 폐순환 저항은 우심실 근육의 비대를 초래한다. 무증상인 경우 대개 1세에 자연적으로 결손이 막히지만, 환아는 호흡곤란으로 인해 숨 쉬느라 제대로 먹지 못하고, 배가 고파 잠을 제대로 못 자므로 성장지연이 나타나며 신경질적인 아이가 된다. 또한, 세균성 심내막염과 폐혈관 폐쇄성 질병의 위험이 증가한다. 진단은 청진, 흉부 X-ray, 심전도, 초음파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보존적 치료, 내과적 치료, 완화수술, 완전교정 수술 등이 있다. 간호중재로는 호흡곤란 관리, 감염 예방, 영양 관리, 약물 투여 등이 필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심실중격결손(VSD)은 심장 내 벽인 심실중격에 구멍이 생기는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산소가 풍부한 혈액과 산소가 부족한 혈액이 섞이게 되어 폐로 가는 혈액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폐동맥 압력 상승, 울혈성 심부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VSD는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작은 크기의 VSD는 무증상으로 지내다가 성인이 되어서야 발견되기도 하지만, 큰 크기의 VSD는 영아기부터 호흡곤란, 수유곤란, 성장 지연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VSD 치료는 약물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이루어집니다. 약물 치료는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되며, 수술적 치료는 VSD를 직접 봉합하여 정상적인 심장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수술 시기와 방법은 VSD의 크기, 위치, 증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VSD는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완치가 가능한 질환입니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