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응급실 환자안전간호 실제 사례
본 내용은
"
응급실 환자안전간호 실제 사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7
문서 내 토픽
  • 1. 환자안전간호 실제 사례
    현재 ER에서 Concussion으로 치료 중인 제갈OO님은 억제대 적용 중인 환자이다. 제갈OO님은 억제대를 사지에 모두 적용하고 있다. Mental은 Alert하나, 지남력이 없는 환자이다. 제갈OO님은 EKG monitor와 nasal cannula를 적용하고 있고, Lt. Arm에 A-line과 Rt. Arm에 IV line을 유지하고 있는 환자이다. 환자가 계속해서 몸부림치고 억제대로 불편해하는 모습을 보이자 보호자가 억제대를 풀어주어 환자가 EKG monitor, nasal canuula, IV line을 제거하고, A-line까지 제거하려 하고 있었다. 환자를 발견한 즉시 간호사 선생님을 불러 다시 억제대를 적용하고 보호자에게 현재 환자의 상태를 설명하여 억제대를 마음대로 풀어주지 않도록 주의 주었다.
  • 2. 환자안전간호 - 억제대 적용 환자 간호 지침
    1) 억제 유형 (1) 화학적 억제 : 대상자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항불안제 및 진정제와 같은 약물 투여 (2) 물리적 억제 : 대상자가 제거할 수 없는 기계적 장치를 적용 (3) 폭력적 / 자해적 행동에 대한 억제 : 대상자 본인, 의료진 또는 다른 사람들의 신체상의 안전을 위협하는 대상자의 폭력적이고 자해적인 행동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상자의 움직임을 제한 (4) 비폭력적 행동에 대한 억제 : 폭력적 / 자해적 행동에 대한 억제를 제외한 모든 유형의 억제 의미 (ex. 혼돈상태에서 기관내관을 뽑을 위험이 있는 대상자) 2) 억제대 적용 목적 (1) 대상자의 낙상으로 인한 손상위험성을 감소 (2) 견인, 정맥주입, 비위관 영양, 유치도뇨관과 같은 치료행위를 방해하는 것을 예방 (3) 혼돈이 있는 대상자나 호전적인 대상자가 생명유지 장치를 제거하지 못하도록 함 (4) 대상자가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칠 위험성을 감소 3) 억제대 적용 시 간호 (1) 다른 치료적 대안이 효과가 없을 때만 사용하고, 최소한의 시간만 사용 (2) 억제대 사용할 때는 환자에 대해 주의 깊게 사정한 후 사용 (3) 환자와 보호자에게 억제의 필요성을 설명해 주고, 동의서 작성 후 차트 기록 (4) 정상적인 해부학적 자세에서 적용 (5) 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며, 억제 부위 이외의 곳은 움직임이 자유로워야 함 (6) 억제대 적용하고 있는 동안 30분마다 대상자를 사정하여 적절하게 적용되고 있는지와 피부 통합성 유지 확인 (7) 혈액순환장애 방지를 위해 2시간마다 풀어주고 피부 간호 수행 (8) 순환장애 (청색증, 창백, 냉감, 저린감, 통증, 무감각 등) 증상 있을 시 즉시 풀어 운동 (9) 뼈 돌출부위는 패드나 거즈를 대주어 피부 찰과상 예방 (10) 억제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즉시 제거 (11) 간호 기록 : 억제대 종류 및 적용하고 제거한 정확한 시간, 억제 전과 억제 중에 환자 움직임, 억제 시 행해진 간호행위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환자안전간호 실제 사례
    환자안전간호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간호 영역입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환자안전간호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낙상 예방을 위한 환경 조성, 투약 오류 방지를 위한 약물 관리, 감염 예방을 위한 손 위생 등 다양한 사례를 통해 환자안전간호의 실제 적용 방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이 환자안전간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실제 임상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입니다.
  • 2. 환자안전간호 - 억제대 적용 환자 간호 지침
    억제대 적용은 환자안전간호에서 매우 민감한 부분입니다. 억제대 적용은 환자의 자율성과 인권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신중하게 다뤄져야 합니다. 억제대 적용 환자 간호 지침에는 억제대 적용의 적응증, 적용 절차, 모니터링, 부작용 관리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또한 억제대 적용 시 환자와 보호자의 동의를 얻고, 최소한의 억제대를 사용하며, 지속적인 관찰과 평가를 통해 조기 해제를 목표로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권리를 보장하면서도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