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개 간호진단 정의, 증상과 관련 요인을 통한 간호진단 도출, 도출의 근거
본 내용은
"
4개 간호진단 정의, 증상과 관련 요인을 통한 간호진단 도출, 도출의 근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06
문서 내 토픽
-
1. Impaired comfort환자가 작년에 여러 차례 응급실 내원으로 또 다시 병원에 내원한 것에 대한 불안함을 극심하게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르게 생각한다면 그러한 경험이 또 다시 발작이 일어났구나 하는 사전 지식으로 인해 불안함이 덜 할 수도 있을 것이란 생각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는 병의 재발에 의한 응급실 내원으로 인한 불안함보다 병으로 인해 겪는 극심한 호흡곤란이 환자의 안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2.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이 간호진단의 특징은 호흡 시 불필요한 근육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현재 환자는 숨이 잘 쉬어지지 않는다는 호소, 흔히 쌕쌕거린다는 wheezing, stridor, 결정적으로 부속근을 이용해 호흡을 한다는 것을 근거로 간호진단을 내리게 되었다. 환자는 천식을 앓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기도 및 기관지의 폐쇄로 인한 호흡곤란의 확률이 높기 때문에 관련요인으로 생각하였다.
-
3. Impaired gas exchange산소의 부족과 이산화탄소의 과다가 이 간호증상의 주요한 증상이다. 환자의 동맥혈가스 분석 결과 PaO2 66mmHg PaCO2 55mmHg로 혈액속의 산소는 부족하고 이산화탄소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차적으로 폐 질환으로 인한 기도 협착 및 기관지 폐쇄로 인해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고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이 이유일 수 있다. 호흡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이 저혈압과 큰 관련이 없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순환계의 문제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
4. 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이 간호진단은 피부색이 변화하고 창백해지며 혈압이 낮아지는 것이 주요요인이다. 환자의 경우 피부색이 창백하게 변화하였고 혈압도 낮아진 상태이다. 호흡저하로 인해 혈액으로 산소의 공급이 되지 않고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에 덧붙여 순환계의 문제를 잠재적으로 고려하여 이 간호진단을 내리게 되었다. 호흡과 혈압과의 관련성이 높지 않다고 판단하여 저혈압 증상은 심장과 관련한 문제가 있기 때문이며 그로 인해 혈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피부가 창백해 질 것이라 생각하였다.
-
1. Impaired comfortImpaired comfort is a significant issue that can have a profound impact on an individual's overal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t can manifest in various forms, such as physical discomfort, emotional distress, or a combination of both. Addressing impaired comfort is crucial as it can lead to a range of negative consequences, including decreased mobility, reduced social engagement, and increased risk of complications. Healthcare providers should tak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assessing and managing impaired comfort, considering the underlying causes and implementing tailored interventions to alleviate the patient's symptoms and improve their overall comfort level. This may involve pain management strategies, environmental modifications, and the provision of emotional support and coping mechanisms. By prioritizing the restoration of comfort, healthcare professionals can contribute to the overall healing and recovery of their patients, ultimately enhancing their quality of life.
-
2.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is a concerning issue that can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an individual's health and well-being. It can be caused by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respiratory disorders, neuromuscular conditions, or even psychological factors.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s can lead to a range of complications, including hypoxia, respiratory distress, and increased risk of respiratory failure. Healthcare providers should carefully assess the underlying causes of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s and implement appropriate interventions to restore effective respiratory function. This may involve the use of respiratory support devices, respiratory muscle training, or the management of any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Additionally, patient education and the promotion of self-management strategies can empower individual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own care and improve their breathing patterns. By addressing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s in a comprehensive and evidence-based manner, healthcare professionals can contribute to the overall health and well-being of their patients.
-
3. Impaired gas exchangeImpaired gas exchange is a critical issue that can have severe consequences for an individual's health and well-being. It occurs when the lungs are unable to effectively facilitate the exchange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leading to an imbalance in the body's gas levels. This can result in a range of symptoms, including shortness of breath, hypoxemia, and respiratory distress. Addressing impaired gas exchange is a complex and multifaceted challenge that requires a thorough assessment of the underlying causes, which may include respiratory diseases, cardiovascular conditions, or environmental factors. Healthcare providers must employ a comprehensive approach, utilizing diagnostic tools, targeted interventions, and ongoing monitoring to restore effective gas exchange and prevent further deterioration. This may involve the use of supplemental oxygen, mechanical ventilation, or the management of any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By prioritizing the restoration of effective gas exchange, healthcare professionals can contribute to the overall health and well-being of their patients, reducing the risk of complications and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
4. 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is a concerning issue that can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an individual's health and well-being. It occurs when the body's circulatory system is unable to effectively deliver oxygenated blood to the peripheral tissues, leading to a range of complications, such as tissue damage, impaired wound healing, and increased risk of infection. Addressing 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requires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considers the underlying causes, which may include cardiovascular diseases, vascular disorders, or even environmental factors. Healthcare providers must employ a multidisciplinary strategy, utilizing diagnostic tools, targeted interventions, and ongoing monitoring to restore 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This may involve the use of medications, vascular interventions, or the management of any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By prioritizing the restoration of 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healthcare professionals can contribute to the overall health and well-being of their patients, reducing the risk of complications and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
[A+]다발성 늑골 골절 케이스, 성인간호학, 노인간호학 간호진단3, 간호과정11. 늑골의 정의 신체의 겉모양을 이루고 있는 골격으로 새장처럼 생겨 'Rib Cage'로 칭하기도 한다. 가슴등뼈(흉추)와 가슴뼈(흉골, 복장뼈)를 결합하여 가슴부위(흉곽)를 이루는 납작하고 긴 활모양의 뼈이다. 좌우 12쌍으로 구성되어 총 24개이며, 가운데 '넥타이' 모양을 한 납작한 뼈인 복장뼈를 합하면 27개로 구성된다. 2. 골절의 정의 외부로부...2025.01.23 · 의학/약학
-
뇌경색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성인간호 A++받은 자료1. 뇌경색의 정의와 병태생리 뇌를 관류하는 동맥에 협착이나 폐색이 일어나며 뇌순환장애가 발생해서 뇌기능장애를 초래하는 것을 허혈성 뇌혈관장애 또는 동맥폐색성 뇌혈관장애라고 해서 이를 통해서 뇌에 일어나는 기능장애를 뇌경색이라 한다. 뇌세포는 산소와 당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류공급으로 뇌세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고, 대사산물을 제거한다. 뇌...2025.05.12 · 의학/약학
-
간호과정과비판적사고 교재 요약 레포트 7페이지
REPORT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교재 요약 과제과 목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교수명OOO 교수님분 반학 번이 름제출일. . .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제1장 간호과정1. 간호과정의 정의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체계적인 활동, 대상자가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맞는 간호를 계획하고 수행하고 반응을 평가함으로써 과학적이고 조직적인 문제해결 방식을 적용하는 과정2. 간호과정의 발전 과정① 국외 : 간호과정은 1955년에 시작하였고 1973년 미국간호협회가 5단계 간호실무 표준지침 채택. 현재 대부분의 간호대학...2024.01.22· 7페이지 -
급성골수성백혈병 AML (간호과정2개 A+) 7페이지
< 간호과정보고서 > 학년: 반: 학번: 이름: 1. 간호사정 - 논문의 증례(사례)에서 환아의 현재상태를 사정하여 기술하세요. (특정 시점을 잡아서 간호과정 하였습니다.) 간호사정 13세 남아 환자 내원 3일전부터 시작된 발열, 근육통으로 걷기 힘들어 ER통해 입원함. V/S 117/54-108-20-38.9℃-99% 으로 발열이 나타났고 가슴막 삼출을 동반한 우하엽 폐렴 소견을 보임. 근육통 지속적으로 호소하여 수액치료 중임. 혈액 검사상 WBC 14,480/㎣(단핵구 비율 78.4%으로 증가), ANC 650/㎣, Hb 9.6...2025.03.22· 7페이지 -
전주시 지역사회 사례보고서 19페이지
2023학년도 4학년 1학기지역사회간호학1실습전주시 지역사회 간호과정담당교수실습기관실습부서실습기간2023.05.29.~06.09실 습 조학 번이 름지역사회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내용1. 지역사회 건강문제 사정 재확인1) 지역사회 간호사정(1) 지리적 현황(2) 인구 현황(3) 주민의 건강수준 현황(4) 보건의료시설 및 서비스 이용등을 요약 분석하여 간호문제만 기술2. 지역사회 간호진단1) 건강문제 도출2) 진단의 우선순위 설정3. 지역사회 간호계획1) 목표설정2) 수행계획3) 평가계획4.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1. 지역사회 ...2024.03.28· 19페이지 -
뇌경색 8페이지
뇌경색 문헌고찰 뇌경색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실습 보고서 뇌경색 문헌고찰 뇌경색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실습 보고서 뇌경색 문헌고찰 뇌경색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실습 보고서 뇌경색 문헌고찰 뇌경색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실습 보고서 뇌경색 문헌고찰 뇌경색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실습 보고서 뇌경색 문헌고찰 뇌경색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실습 보고서 목 차 1. 뇌경색 간호실습 사례 선정 배경 및 목적 2. 뇌경색 문헌고찰 3. 간호진단(간호진단 ①, 간호진단 ②) 4. 예후 및 간호사의...2025.07.28· 8페이지 -
안녕 형아 (2005) - 소아뇌종양(수모세포종) 환자 간호 사례 연구(case study).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치료적 의사소통술 적용 1개. 11페이지
REPORT소아뇌종양(수모세포종) 환자 간호 사례 연구과 목아동간호학(2)교수님-제출일-학 번-이 름-목차Ⅰ. 이 영화를 선택한 이유 …………………………………………………………………………………1pⅡ. 아동의 질병과 관련한 문헌고찰1. 원인과 역학 1p2. 임상 증상과 진단적 검사 1p3. 치료적 접근 1p4. 일상생활 관리 2pⅢ. 영화 속에서 도출 가능한 간호진단……………………………………………………………3pⅣ. 간호과정 도출#1. 수술과 관련된 불안(Anxiety) 4p#2. 화학요법으로 인한 잦은 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 (Defi...2025.05.07·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