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시 팔달구 치안 문제
본 내용은
"
지역사회복지론 수원시 팔달구 치안 문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06
문서 내 토픽
-
1. 팔달구수원시 팔달구는 전국에서 3번째로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며, 외국인 중 중국동포(조선족)가 81%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강력범죄가 늘어나고 있으며, 팔달구의 총 범죄건수가 경기도 평균의 2배에 달하고 있어 시민들의 체감 안전도가 낮은 편이다. 팔달구는 면적이 가장 좁고 수원역과 지동시장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며, 아파트보다 다세대·다가구 주택이 많아 치안에 취약한 편이다.
-
2. 문제제기팔달구의 치안 문제로는 경찰 인력 부족,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 지역주민 간의 소통 및 상호작용 부족, 기존 정책의 실효성 문제 등이 있다. 특히 비상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등 치안 인프라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
3. 비교지역대전 유성구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범죄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안전지역으로 조사되었다. 유성구는 CCTV 설치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유성경찰서 신설과 함께 치안 인력을 보충하는 등 치안 강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4. 욕구사정팔달구 주민들은 시민 공동체 의식 회복, 보안취약지역에 대한 순찰 강화, 위험인물에 대한 계도, 재개발을 통한 주변 환경 개선, 가로등과 CCTV 확대, 경찰 인력 증원 및 순찰 강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
5. CPTEDCPTED(범죄예방환경설계)는 범죄의 구성요소인 피해자, 범죄인, 장소기회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환경의 물리적 설계를 통해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는 방법이다. 자연적 감시, 자연적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활동의 활성화, 유지관리 등의 원리를 적용하여 범죄 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다.
-
6. 실행계획표팔달구의 치안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행계획으로는 자율방범대 지역주민 참여 증진, 도로 가시성 확보, 지역사회 환경 개선, 주민참여 및 의사소통 강화, 비상벨 관리 및 보완 등이 포함되어 있다. 각 계획에는 필요자원, 행동체계, 표적체계, 실천모델, 전략, 전술, 평가기준 등이 제시되어 있다.
-
7. 결론서울 염리동 소금길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CPTED를 통해 범죄 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노란 전봇대와 비상벨, 마을 지킴이 등의 방범 인프라를 구축하고 주민 참여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팔달구에서도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치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 주제2: 문제제기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팔달구의 경우 노후화된 건물과 시설, 교통 혼잡, 주차 문제 등이 주요 문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단순히 물리적인 환경 개선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우며, 지역 주민들의 생활 패턴과 요구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지자체와 주민,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과 참여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주제4: 욕구사정팔달구 주민들의 주요 욕구는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편리한 교통 및 주차 환경 개선, 지역 문화와 역사의 보존 및 활성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지자체와 주민,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을 통해 실효성 있는 해결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팔달구가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매력적인 도시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주제6: 실행계획표팔달구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행계획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1. 노후 건물 및 시설 개선 - 건물 외관 정비, 내부 리모델링 등 - 공공시설 리뉴얼 및 유지보수 2. 교통 및 주차 환경 개선 - 도로 정비, 보행환경 개선 - 주차장 확충 및 주차 관리 시스템 구축 3. 역사 및 문화 자원 보존 및 활성화 - 문화재 보수 및 관리 - 역사 문화 탐방 프로그램 운영 4. 주민 참여 및 커뮤니티 활성화 - 주민 의견 수렴 및 협력 체계 구축 - 주민 주도 지역 활성화 사업 지원 5. 안전 및 범죄예방 환경 조성 - CPTED 기법 적용 - 방범 시설 설치 및 관리 이와 같은 실행계획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주민과 전문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통해 보완해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
지역사회복지의 문제 중 하나를 제시하고 실천과정에 맞게 설명하시오. 3페이지
주제: 지역사회복지의 문제 중 하나를 제시하고 실천과정에 맞게 설명하시오.Ⅰ. 서론지방자치제의 실시로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는 점진적인 발전을 이룩해 왔다. 지역사회복지의 중요성은 현대사회로 올수록 더욱 부각되고 있는데 고령화, 맞벌이 가족의 증가, 1인 가구의 증가, 이혼 및 재혼 가구의 증가 등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우리사회는 세계화와 더불어 급격한 사회변화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말은 더 이상 이전의 방식으로는 현대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욕구와 필요를 충족시켜줄 수 없는 말과도 같다. 그런 점에서 내가 살고...2023.03.20· 3페이지 -
지역사회 보건소 case study 33페이지
CASE STUDY 팔달구 보건소INDEX 1. 보건소 소개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PRESENTATION 팔달구 보건소 서 비 스 별 접 수 담당 전 화 번 호 FAX 민원접수 및 진료안내 보건행정팀 ∙진료실 ☎ 228-7696 ∙민원실 ☎ 228-7716 228-7620 전염병관리 및 의 ․ 약무 질병의약팀 ∙의 ․ 약무 ☎ 228-7697, 7635 ∙전염병 ․ 검사실 ☎ 228-7636~7 방문 , 정신 , 모자보건사업 및 국가필수예방접종사업 지역보건팀 ∙ 모자보건실 ☎ 228-...2019.04.16· 33페이지 -
지역사회복지론 - 내 고장 수원이 더 살기 좋은 지역사회가 되기 위한 방안 6페이지
지역사회복지론-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인구의 증가에 따른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변화와 국가정책적 과제 또한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고령친화적 산업현황과 분야들을 살펴보시고 향후 우리나라의 고령친화산업의 개선방안과 전망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자신의 견해포함)[내 고장 수원이 더 살기 좋은 지역사회가 되기 위한 방안]1. 서론'수원(水原)'이라는 명칭은 1271년(원종 12) 수원도호부가 설치되면서 처음 등장한다. 이후 수원부-수원군-수원부 등으로 변화를 거듭하다 조선시대에 와서 수원도호부-수원군-수원부-화성유수...2018.06.26· 6페이지 -
한국이민의역사와문화이야기, 레포트 만점, A+레포트 6페이지
한국 이민의 역사와 문화 이야기한국과 가깝고도 먼 당신, 조선족-한국 이민의 역사와 문화 이야기 5주 차 ‘조선족의 이민 역사와 문화’를 중심으로제출일: 2020-06-04Ⅰ.서론조선족이란 어떤 사람들인가? “중국 둥베이[東北] 지방의 랴오닝[遼寧]·지린[吉林]·헤이룽장[黑龍江] 등 동북 3성과 그 밖의 중국 땅에 흩어져 거주하고 있는 한민족 혈통을 지닌 중국 국적의 주민이다.” 한국 이민의 역사와 문화 이야기 수업 5주 차 ‘조선족의 이민 역사와 문화’에 따르면 19세기 중반 한반도 북부의 기근으로 인한 경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2020.08.07· 6페이지 -
화성대지분석 34페이지
Site Analysis Location Interview Number Of Households Survey Block Planning ContentsSite Analysis Location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수원 화성 총 길이 5.7km, 면적 1.2 ㎡ 왕권강화를 위한 새로운 정치 공간이 될 신도시 건설 왕권강화를 위해 신흥세력들을 많이 등용 이때 등용된 정약용의 첨단기술을 통해 초고속 완공 거중기 , 미석 , 아치형 성벽 , 낮은 성벽 , 재료의 변화 [ 화성성역의궤 ] 라는 자료를 통해 유지보수까지 고려Site Analys...2015.03.09· 3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