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구조시스템 풍하중 계산 과제
본 내용은
"
건축구조시스템 풍하중 계산 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30
문서 내 토픽
-
1. 고정하중 계산해당 건물은 라멘구조로 파악되며, 라멘구조는 보통 150mm 이상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사용한다. 하지만 마감의 종류와 두께, 보, 기둥의 부피, 설비에 의한 하중, 칸막이벽에 의한 하중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상황임을 고려해 마감재, 보, 기둥의 하중대신 슬래브두께를 150mm보다 두꺼운 250mm로 가정하여 고정하중을 산정할 것이다. 철근콘크리트의 단위중량: 24.0kN/m³이고 건축대학 건물 B동의 한 층 면적: 413.944m²이므로 1~7층 각 층별 고정하중은 2,483.664kN이며, 1층~7층 고정하중 총 합은 19,869.312kN이다.
-
2. 활하중 계산건축구조물은 등분포활하중과 집중활하중 중에서 구조부재별로 더 큰 하중효과를 발생시키는 하중에 대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건축물은 집중활하중보다 등분포활하중이 불리한 경우이므로, 등분포활하중을 적용해서 설계한다. 용도별 면적을 측정하고 기본등분포활하중을 적용하여 1층의 활하중은 1,353.62kN, 2층~6층의 각 층별 활하중은 1,542.02kN, 7층의 활하중은 2,562.62kN이며, 1층~7층 활하중 총 합은 10,084.32kN이다.
-
3. X방향 풍하중 계산주골조설계용 풍하중을 산정할 때에는 각 건축구조물 표면의 양면에 작용하는 풍압의 벡터합으로 한다. 설계 풍압은 설계속도압, 가스트영향계수, 주골조설계용 풍압계수를 곱하여 산정한다. 1층~5층의 각 층별 풍하중은 34,835.62kN, 6층의 풍하중은 34,434.82kN, 7층의 풍하중은 37,250.98kN이며, 1층~7층 풍하중 총 합은 245.86kN이다.
-
4. Y방향 풍하중 계산주골조설계용 풍하중을 산정할 때에는 각 건축구조물 표면의 양면에 작용하는 풍압의 벡터합으로 한다. 설계 풍압은 설계속도압, 가스트영향계수, 주골조설계용 풍압계수를 곱하여 산정한다. 1층~5층의 각 층별 풍하중은 36,744.54kN, 6층의 풍하중은 36,321.77kN, 7층의 풍하중은 39,292.25kN이며, 1층~7층 풍하중 총 합은 259.34kN이다.
-
1. 고정하중 계산고정하중 계산은 구조물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정확한 고정하중 계산을 위해서는 구조물의 자중, 마감재 중량, 설비 중량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실제 하중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구조 설계 및 안전성 검토에 필수적입니다. 또한 고정하중 계산 시 구조물의 용도, 재료, 형태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하중 산정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과도한 여유 설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2. 활하중 계산활하중 계산은 구조물의 실제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구조물의 용도, 사용 인원, 설비 배치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합리적인 활하중을 산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합니다. 또한 활하중 계산 시 구조물의 사용 용도에 따른 동적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공연장이나 체육관과 같은 시설물의 경우 동적 활하중이 크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적절히 반영해야 합니다. 활하중 계산의 정확성은 구조물의 안전성과 경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
3. X방향 풍하중 계산X방향 풍하중 계산은 구조물의 내풍 설계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정확한 풍하중 계산을 위해서는 구조물의 형상, 높이,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지역별 풍속 특성, 지형 조건, 건물 배치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합리적인 풍하중을 산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과도한 설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층 건물이나 장스팬 구조물의 경우 X방향 풍하중이 크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풍하중 계산 시 동적 특성을 고려하여 구조물의 진동 및 변형을 적절히 반영해야 합니다.
-
4. Y방향 풍하중 계산Y방향 풍하중 계산은 구조물의 내풍 설계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정확한 Y방향 풍하중 계산을 위해서는 구조물의 형상, 높이, 주변 환경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또한 지역별 풍속 특성, 지형 조건, 건물 배치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풍하중을 산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과도한 설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장방형 평면 구조물이나 고층 건물의 경우 Y방향 풍하중이 크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풍하중 계산 시 동적 특성을 고려하여 구조물의 진동 및 변형을 적절히 반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건국대 건축구조시스템 풍하중 계산 과제 1페이지
건물의 X방향 폭을 22m, Y방향 폭을 21m, 층고 3.3m, 지표면 조도구분은 B로 가정한다2020.12.29· 1페이지 -
(A 레포트) KDS 14 20 10 (4.2.2)의 하중조합에 대해 작성하고 각각 하중의 의미에 대해서 작성하시오. 5페이지
과 제- REPORT -과 목 명 :철근콘크리트성 명 :***아 이 디 :***- 유니와이즈원격평생교육원 -[과제주제]KDS 14 20 10 (4.2.2)의 하중조합에 대해 작성하고 각각 하중의 의미에 대해서 작성하시오.1. KDS 14 20 10 (4.2.2)의 개요KDS 14 20 10 (4.2.2)의 하중조합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정의부터 알아야 할 것이다. 국가 건설 기준이란 건설 공사의 설계 또는 시공 시 시설물의 안전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설계자, 시공자 등이 반드시 준수하여...2025.01.01· 5페이지 -
삼풍백화점붕괴 재난분석_지역사회간호학(재난분석, 문제점, 극복방안, 법적변화, 정체적 분석 및 제안, 의의, 재난 시 간호사로서의 역할 등) 11페이지
재난 및 환경사건에 대한 설명1995년 6월 29일 삼풍백화점의 붕괴사고는 거대한 분홍빛 건물이 갑자기 무너진 황당한 건축적 사건을 넘어 한국 사회를 근본적으로 되돌아보게 하는 사건이다. 이 사고로 502명의 사람들이 한순간에 목숨을 잃었고 900명이 다쳤으며 6명의 실종자가 나와 직접적인 피해자만 1445명이며 한국전쟁 이후 가장 많은 사람이 죽은 단일 사고였다. 이러한 사고를 통해 한국 사회의 안전에 대한 신뢰가 약화되었고 불안과 불신이 커졌다.건물개요서울시서초구에위치한삼풍백화점은삼풍건설산업 이 30억 원의 자본금을 들여 87년...2024.05.31· 11페이지 -
건축 종합설계 (계획) 33페이지
건축공학종합설계과제- 건축물의 기본설계의 구체화 및 통합설계 -▣Chapter1.건축설계(1) 건축개요 .................................................................................. 3~51.1 설계 개요1.2 층별 면적표(2) 대지현황 ................................................................................... 6~72.1 위 치 도2.2 전경사진2.3 대지현황평면도(3) 대지현황분석 .....2019.05.09· 33페이지 -
초고층 빌딩 조사 보고서 45페이지
R E P O R T초고층 빌딩에 대한 조사과목명담당교수이름학과명학번제출일자차 례01 서론조사 관점 소개02 본론1초고층 건물의 필요성2초고층 건물의 문제점3초고층 건물의 구조적 특징-모멘트 저항 골조 시스템-골조&가새구조 시스템-전단벽 구조 시스템-골조&아웃리거 시스템-골조 튜브 시스템-트러스 튜브 시스템-이중 튜브 시스템-묶음 튜브 시스템4사례조사를 통한 구조 설명-터닝 토르소 타워03 결론느낀점04 추가자료1.다양한 사례를 통한초고층 빌딩구조시스템2.초고층 빌딩의 재난 사고i01.서론-관점소개: “초고층 건물 대안인가 재앙인가...2015.04.06· 4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