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5세반 1학기 관찰기록 (평가제 통과 관찰일지)
본 내용은
"
만5세반 1학기 관찰기록 (평가제 통과 관찰일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30
문서 내 토픽
-
1. 기본생활습관아이들이 의자에 앉아서 종이에 그림을 그리고 있다. OO가 왼쪽 팔을 턱에 괴고 의자를 당겨 앉지 않고 앞에 걸터앉아서 그림을 그린다. OO가 일어서서 연필을 연필꽂이에 휘두르며 꽂고 다른 색연필을 휘두르며 뽑는다. 점심시간에 OO가 젓가락으로 애호박을 잡으면서 '호박이네.'라고 말하고 입에 넣고 씹는다. 그리고 다시 젓가락으로 새우를 잡고 '이건 새우네.'라고 말하며 입에 넣고 씹는다. OO는 아침 등원시 선생님과 수줍게 인사하고 교실에 천천히 들어와 친구들을 쳐다보며 한참을 탐색하고 사물함에 가서도 가방정리를 오래하더니, 교사에게 와서는 '놀아도 돼요?' 하고 물어본다.
-
2. 신체운동옥상 놀이터로 이동하여 줄넘기를 꺼낸 OO는 두 손으로 줄넘기를 잡는다. 줄을 손으로 돌리면서 두 발로 점프를 한다. OO는 도움 없이 난간을 붙잡고 계단을 오르내릴수 있으며 여러개의 블록으로 담을 쌓을수 있고 공을 굴리거나 차려고 하고 던질 수 있다. 그리고 엄지와 검지로 물체를 잡거나 놓을 수 있으며 쓰기 도구를 잡고 끼적이기를 즐긴다. OO는 자발적으로 신체 활동에 참여하며, 또래 친구들과 함께 하는 놀이를 즐거움을 느끼는 모습이었다. 공을 이용한 축구 놀이에 흥미를 가지고, 발의 이동운동을 통해 공을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3. 의사소통공룡책을 보던 OO가 '선생님. 저희 집에는 공룡책 하나도 없어요'라고 말하자 옆에 있던 한 친구가 '저희 집엔 공룡책 진짜 많아요'라고 말하자 'OO의 말에 '몇 개나 있어?'라고 말한다. 교사가 '오늘은 자연재해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라고 말하자 OO가 '자연재해가 뭐예요?' 며 질문한다. OO는 자신이 써온 그림일기를 친구들 앞에서 천천히 읽는다.
-
4. 사회관계점심시간이 되어 배식을 받기 위해 차례로 줄을 선다. OO가 앞에 있는 친구와 이야기하며 장난을 하다가 줄을 이탈한다. 그러자 뒤에 있던 OO가 OO 자리에 선다. OO가 OO를 밀면서 '뭐야, 여기 내 자리야.'라고 한다. OO가 '아, 왜 밀어. 네가 줄에서 나갔잖아. 그럼 맨 뒤에 서야지.'라고 한다. OO가 '내가 줄 나간 지 몰랐어. 원래 자리대로 서면 안 돼? 이번엔 안 나갈게.'라고 하자 OO가 잠시 고민하더니 '그래. 대신 한 번만이야.'라고 한다. OO가 울고 있어 교사가 다가가 무슨 상황인지 물어 보았다. OO는 눈물을 흘리며 이야기를 하다가 말이 이어지지 않자 OO가 교사에게 설명을 하였다.
-
5. 예술경험채소 스티커를 교사와 함께 탐색한다. 그 후 부채를 소개하고 활동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부채에 자유롭게 붙여 나의 얼굴을 표현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콩과 가지, 오이 스티커를 이용해 눈, 코, 입을 표현한다. '동물을 사랑해요' 노래를 배워보는 시간이다. 노래를 들려주자 OO가 '선생님! 저 이 노래 처음 들어봤어요' 하며 큰 목소리로 말한다. 우리원 병풍 만들기 시간에 교사는 종이로 병풍을 접어볼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었다. 종이를 접어보더니 '우와~ 꼭 개구리다리처럼 생겼다' 라고 말한다.
-
6. 자연탐구창밖으로 고양이 두 마리가 놀이하는 것을 보고 '선생님 저 고양이 너무 귀여워요~'라 고 말을 한다. 숲에 나간 OO는 산책을 하다 벚꽃을 보고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여기 꽃이 폈네 우와 나무에 꽃이 있어'라고 말한다. 카네이션 꽃을 만들면서 직접 고른 꽃들의 이름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이름을 묻는다.
-
1. 기본생활습관기본생활습관은 개인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수면, 균형 잡힌 식단, 개인위생 관리 등은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러한 습관들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기본생활습관은 자기관리 능력을 기르고 책임감 있는 태도를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어릴 때부터 기본생활습관을 형성하고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신체운동신체운동은 건강한 삶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심폐기능 향상, 근력 강화, 유연성 증진 등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킵니다. 또한 스트레스 해소, 기분 전환, 자신감 향상 등 정신적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어린 시절부터 운동 습관을 기르는 것은 평생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양한 신체활동에 참여하며 재미와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의사소통의사소통 능력은 타인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을 익히고 실천하는 것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의사소통 능력은 문제 해결, 협력, 리더십 등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어릴 때부터 의사소통 기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사회관계사회관계 형성 및 유지 능력은 개인의 심리적, 사회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타인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공감 능력과 사회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원만한 대인관계는 스트레스 해소, 정서적 지지 등 개인의 전반적인 안녕에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어릴 때부터 또래 및 성인과의 상호작용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예술경험예술경험은 개인의 창의성, 감수성, 심미안 등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양한 예술 활동에 참여하며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고, 타인의 작품을 감상하며 새로운 관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예술 활동은 정서적 안정과 스트레스 해소에도 기여합니다. 따라서 어릴 때부터 음악, 미술, 연극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고, 창의적 표현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자연탐구자연탐구 활동은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하여 과학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실험하며 원인과 결과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성이 발달합니다. 또한 자연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환경 보호 의식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어릴 때부터 자연 탐구 활동을 통해 과학적 소양을 기르고, 자연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